• Title/Summary/Keyword: 초생수로

Search Result 16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pplication of Turf grass VFS for Water Pollution Degradation in Saemangeum Watershed (새만금유역 수질오염저감을 위한 잔디초생대 적용)

  • Lee, Seul-Gi;Iang, Jeong-Ryeol;Choi, Kyung-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47-647
    • /
    • 2015
  • 본 연구는 새만금 유역에 잔디초생대 적용 시 수질오염 저감효과와 적용비용을 산출해 보았다 또한 초생대 본래의 기능 외에 잔디의 활용성에 대해서도 평가해 보았다. 새만금유역 내 익산시 밭경지에 세로 22m${\times}$폭 5m 규모로 대조구 1개소, 처리구 2개소를 각각 조성하여, 처리구 말단에 세로 2m${\times}$폭 5m 규모의 잔디 초생대를 조성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시험포의 경사는 8%이며, 토성은 양토로서 토양배수등급이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기간동안 모니터링 실시한 강우에 대해 각 시험구별로 측정된 유출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초생대 처리구의 대조구 대비 유출저감 효과는 14.1~64.0%로 나타났으며, 비점오염저감효과는 SS 9.8~73.9%, T-N 24.0~84.2%, T-P 31.6~80.9%으로 나타났다. 잔디초생대 적용시 소요되는 총비용의 산정은 초생대 조성을 위한 잔디구입비 및 관리비용, 초생대 조성 면적만큼의 작물재배 포기로 인한 손해비용 등을 고려하여 산출하였다. 그 결과 초생대 조성을 위한 잔디구입 및 조성비용과 유지관리비용은 1,730천원/ha로 소요되는 것으로 산정되었으며,, 초생대 구역의 작물 재배포기로 감수해야 할 손해비용은 1,649천원/ha로 산정되어 잔디초생대 적용을 위한 총비용은 3,379천원/ha/year로 산정되었다. 또한 차년에는 조성비용은 제외할 수 있으므로 유지관리비용 및 손해비용만을 고려한 1,899천원/ha/year이 소요되는 것으로 산정되었다. 잔디의 활용성 평가는 초생대가 완전 피복된 후 잔디를 일정부분 떼어 내어 판매할 경우를 고려하여 파악해 보았다. 그 결과 초생대 40% 규모의 잔디를 떼어내 판매할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수익은 1,260천원/ha/year으로 추정되었으며, 떼어낸 부위의 잔디 재활착은 정상적으로 진행됨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잔디초생대는 새만금유역의 수질오염 저감효과 뿐만 아니라 잔디판매를 통한 농민 소득증대에 기여할 수 있으므로 초생대의 현장 적용성은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ffects of VFS(Vegetative Filter System) for Reducing Non-Point Source Pollution (초생대 밭경지 비점오염저감 효과)

  • Choi, Kyung-Sook;Jang, Jeong-R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35-435
    • /
    • 2012
  • 농경지 중에서 밭은 논보다 농약 비료 사용률이 매우 높기 때문에 논에 비해 비점오염물질 배출량이 훨씬 심각한 것으로 조사되고 있어 밭경지 비점오염저감기법 개발 및 체계적인 제어대책 수립이 무엇보다도 절실하다. 현재 선진국을 중심으로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는 밭경지 비점오염 제어기법들 중 초생대에 대한 성공적 연구사례 및 적용사례에 대한 자료가 상당히 많이 제시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초생대를 적용한 밭경지 비점오염저감에 대한 기술개발 및 체계적인 연구가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생대의 현장설치 및 모니터링을 통해 초생대의 비점오염부하 저감효과에 대한 기초조사를 실시하고 우리나라 밭경지에서의 적용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초생대 현장 실험을 위한 시험포는 경상북도 군위군 효령면에 위치한 경북대 농생대 부속농장 밭경지 $1,500m^2$ (455평)를 선정하였다. 시험포는 1개의 대조구와 6개의 처리구로 구성하였으며, 각 시험구의 크기는 길이 12m ${\times}$ 폭 4m (초생대 길이 2m ${\times}$ 폭 4m 포함)로 하였다. 초생대 조성을 위한 초종선정은 초생대 조성이 용이하고 관리효율성이 높은 초종으로서 손쉽게 구할 수 있고, 우리나라 기후와 토양특성에 적합하며 초생대 기능에 부합한 것으로 선정하였다. 초생대 시험포장에 재배할 작물은 우리나라 대표 밭작물인 콩으로 선정하였으며, 작물재배를 위한 퇴비, 비료, 제초제 등은 농촌진흥청에서 제시한 표준재배법에 준하여 시용하였다. 초생대 비점오염저감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시험포장에 플륨, 수위계, 강우계 등으로 구성된 모니터링시스템을 설치하였으며, 플륨의 수위-유량 캘리브레이션을 실시하였다. 실험을 위해 2회의 인공강우와 1회의 자연강우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생대 조성이 유출률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인공강우의 경우 초생대 설치에 따라 유출률의 범위가 14.5~95.8% 정도로 감소되는 현상을 보였으며, 자연강우에서도 6.1~11.3% 정도의 유출률 감소를 보였다. 초생대 시험구별 유출률에 차이를 나타낸 이유는 현장실험시의 시험구별 지면조건과 초생대 초종별 특성(초장, 경경, 밀도 등)의 차이에 기인한 결과로 사료되었다. 비점오염저감효과 측면에서는 기존 밭농사 방식을 그대로 채택한 대조구에 비해 초생대 시험구에서 TS의 경우 15.6~90.3%, T-P의 경우 49.9~87.8%, T-N의 경우 6.7~91.1%의 저감율을 각각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초생대 기법이 우리나라 밭경지 비점오염부하를 저감시키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imulation of Sediment Reduction Effects of VFS in Saemangeum Watershed (새만금유역 초생대 유사저감효과 모의)

  • Lee, Seul-Gi;Iang, Jeong-Ryeol;Choi, Kyung-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72-272
    • /
    • 2015
  • 본 연구는 초생대 필지단위 모의프로그램인 VFSMOD-W(Vegetative Filter Strip MODel-W) 모형을 이용하여 새만금 유역의 밭경지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시나리오에 기반하여 초생대기법을 적용 하였을 경우의 유사저감효과에 대해 모의해 보았다. '새만금유역 농업비점오염 저감기법 개발'과제의 일환으로 초생대 현장실험을 위해 조성된 익산 밭경지 시험포의 실측치를 이용하여 모형의 보정이 이루어졌으며, 결과는 유출량의 경우 NSE=0.833와 $R^2=0.99$를, 유사량의 경우 NSE=0.794와 $R^2=0.99$로 각각 매우 높게 나타났다. 모의를 위한 시나리오는 새만금유역의 밭경지 특성을 고려하여 1ha, 5ha, 10ha의 밭규모에, 밭경사는 7%와 15%으로, 토성은 양토인 정방형 형태의 밭경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초생대 초종은 Grass mixture로 적용하였고, 규모는 밭경지 면적의 10%로 고정하여, 50mm, 100mm, 150mm, 200mm의 일강우량에 대해 초생대 유출 및 유사에 대한 모의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새만금유역에 초생대 적용 시 유출저감효과는 밭경사 7%와 15%일 때 1.5~13.5%와 1.4~12.1%의 범위로 각각 나타났으며, 경사에 따른 차이는 미비하였으나 강우량과 밭경지 규모에 따른 유출저감효과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유사의 경우에는 밭경사 7%와 15%일 때 20.4~97.0%와 15.7~86.0%의 저감효과를 각각 보였으며, 유출에 비해 초생대 적용에 따른 유사저감효과가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강우량의 차이에 따른 유사저감효과는 50mm일 때 58.4~97.0%, 200mm일 때 15.7~32.9%를 나타내어 강우인자의 영향이 밭규모와 경사 등의 밭경지 특성에 비해 유사 발생량 및 저감효과에 가장 크게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본 모의 결과를 통해 새만금유역의 초생대기법 적용은 새만금호의 수질오염저감 및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현장 실용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현장인자들에 적합한 세부적인 설계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 PDF

부화장 위생관리

  • 윌리암 체이스
    • KOREAN POULTRY JOURNAL
    • /
    • v.19 no.12 s.218
    • /
    • pp.62-64
    • /
    • 1987
  • 이상 열거한 위생프로그램은 결코 돈이 많이드는 어려운 작업이 아니다. 조금만 주의하면 좋은 품질의 병없는 초생추를 얻을수 있고 부화율도 최소한 0.5$\%$개선 할 수 있다. 그리고 여러분의 고객이 초생추를 받아보고 더욱 만족을 얻을 수 있다. 특히 3일령부터 7일령 사이의 육추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부화장의 비누 몇장 더 소비하고, 관리 교육을 위한 약간의 노력을 투자하므로써 여러분은 더욱 우수한 하이라인 병아리로 여러분의 하이라인 고객을 만족하게 해줄 것입니다.

  • PDF

Change of Weeds Occurrence, Early Growth and Yield of Soybean at Simultaneous Planting with Rye as Living Mulch (초생피복용 호밀과 동시파종 시 잡초발생, 콩의 초기생육 및 수량 변화)

  • Seo, Jong-Ho;Moon, Jung-Kyung;Kwon, Young-Up;Ku, Ja-Hwan;Kim, Si-Ju
    • Weed & Turfgrass Science
    • /
    • v.2 no.3
    • /
    • pp.236-241
    • /
    • 2013
  • Introduction of rye living mulch in soybean production is important for labor-saving and reduction of herbicide usage for weeding by weed suppression and for soil conservation by mulching of rye. Soybean and rye were row-planted and broadcasted simultaneously at different planting times (May 15, May 25, June 5) and row widths (35 and 70 cm) in 2010, different soybean cultivars (Daepoong, Singi) and planting times (May 15 and June 1) in 2011, respectively, and investigated weed occurrence, early growth and yield of soybean. Acalypha australis, which is known to herbicide-resistant weed, could be controlled ecologically by rye living mulch. Occurrence of Acalypha australis was controlled effectively also by mixture of alachlor and linulon at no mulch in 2011. Early growth amount of soybean plant per area was increased by narrow row width (35 cm) at rye living mulch, which was helpful in the control of weeds, but grain yield of soybean with narrow row was decreased compared to conventional row width (70 cm) at the planting in early June. It is concluded that soybean planting as row width 70 cm in early June is proper at simultaneous planting with rye.

Effects of Blooming in Ground Cover on the Pollinator Network and Fruit Production in Apple Orchards (사과원 피복 초생의 개화가 화분매개자 네트워크와 사과 생산에 미치는 영향)

  • Son, Min Woong;Jung, Chuleui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60 no.1
    • /
    • pp.115-122
    • /
    • 2021
  • Pollinators are not only crucial for plant reproduction, but also important for crop production. These pollinators are affected by the diversity of plants within orchards. Thus,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blooming on the ground cover on pollinator diversity, network, fruiting rates and subsequent apple size during harvest season in apple blooming period. Total ten orchards were selected; Five with ground covered mostly by dandelion while the another five without ground cover. The orchards with dandelion bloom showed 16 pollinator groups and 801 pollination network interaction, while 14 pollinator groups and 589 interaction were found from orchards without ground cover blooms. es. Overall pollinators' abundances were not different. But bumble bees and caliphorid flies were more abundant in orchards with ground cover blooming. There was no significant in fruiting rates, but the apple size was significantly bigger in orchards with ground cover. These results may indicate that blooming on the ground cover during apple flowering season would increase pollinator diversity and influence fruit quality later on in apple orchards, and pose importance of floral diversity for sustainable apple production system.

The Characteristics of Nutrients Effluent in the Small Sized Stream Situated near the Greenhouse Site (시설재배지 주변 소하천에서 영양염류의 유출특성)

  • Yu Chan;Yoon Yong Cheol;Ahn Byung Kwan;Ok Jung Heun
    • KCID journal
    • /
    • v.11 no.2
    • /
    • pp.72-81
    • /
    • 2004
  • In this study, the runoff characteristic of nutrients in the small sized stream was investigated with seasonal change. The area considered was greenhouse site situated near Nam river, Jinju, Korea. In this site, groundwater was used for the irrigation and

  • PDF

A study on the localization of incipient propeller cavitation applying sparse Bayesian learning (희소 베이지안 학습 기법을 적용한 초생 프로펠러 캐비테이션 위치추정 연구)

  • Ha-Min Choi;Haesang Yang;Sock-Kyu Lee;Woojae Seong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42 no.6
    • /
    • pp.529-535
    • /
    • 2023
  • Noise originating from incipient propeller cavitation is assumed to come from a limited number of sources emitting a broadband signal. Conventional methods for cavitation localization have limitations because they cannot distinguish adjacent sound sources effectively due to low accuracy and resolution. On the other hand, sparse Bayesian learning technique demonstrates high-resolution restoration performance for sparse signals and offers greater resolution compared to conventional cavitation localization methods. In this paper, an incipient propeller cavitation localization method using sparse Bayesian learning is proposed and shown to be superior to the conventional method in terms of accuracy and resolution through experimental data from a model ship.

Study on the analysis of model propeller tip vortex cavitation inception (모형 추진기 날개 끝 보텍스 캐비테이션 초생분석 연구)

  • Seol, Hanshin;Kim, Seong-Yong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7 no.6
    • /
    • pp.387-395
    • /
    • 2018
  • In this study, the noise characteristics of the propeller tip vortex cavitation and its inception were analyzed experimentally. Generally, tip vortex cavitation is the first appeared cavity that occurs in a propeller. If propeller tip vortex cavitation is appeared, the level and characteristics of underwater radiated noise changes dramatically compared with the non-cavitating propeller.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analyze the noise characteristics of the propeller cavitation and to detect the cavitation inception in the development of the propulsion system for military vessel and underwater weapon system. The change of noise characteristics due to the inception and growth of the propeller tip vortex cavitation was analyzed. Various imaging-noise measurement and analysis technique were used to determine the inception of propeller cavitation.

Simulation of sediment reduction effects of VFS in uplands of Saemangeum watershed (새만금유역 밭경지 초생대 유사저감효과 모의)

  • Lee, Seul Gi;Jang, Jeong Ryeol;Choi, Kyung Soo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1 no.6
    • /
    • pp.535-542
    • /
    • 2018
  • The study was intended to simulate the sediment reduction effects of the Vegetative Filter Strip (VFS) in uplands of Saemangeum watershed through VFSMOD-W model application. The model was calibrated by using the field data and the simulation scenarios were designed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uplands characteristics in Saemangeum watershed. The simulation scenarios were considered various size and slope of uplands including 1 ha, 5 ha, 10 ha of field size with width-length ratio of 1 : 1 having 7% and 15% of slopes under the daily rainfall of 50 mm, 100 mm, 150 mm, and 200 mm in order to mimic the different fields conditions. The effluent reduction ranged from 2.9~13.5% and 2.9~12.1% for runoff, and 33.8~97.0% and 27.1~85.9% for sediment under the field's slope of 7% and 15%, respectively. The VFS reduction effects showed different degree of influence from field size, slope, rainfall amounts. Based on the simulated results, the sediment contributing non-point source pollution expected to be reduced in the condition of VFS constructed 10% of fields in outlet of less than 10 ha of uplands having less than 15% of the slo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