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초산모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25초

산후 4개월된 초산모와 경산모의 모성 역할 긴장 및 모성역할 획득정도 차이 (A Comparison of Primiparous and Multiparous Mothers on Maternal Role Strain and Maternal Role Attainment)

  • 이혜경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41-250
    • /
    • 1994
  • 어머니와 아기의 관계는 가장 기초적인 인간관계로서 아기의 탄생은 한 가족의 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아기 출산후 어머니들이 겪는 변화는 초산모와 경산모가 달라 새로 태어난 아기의 양육도 책임지며, 다른 자녀와의 관계도 유지해야하는 경산모는 초산모보다 더 많은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Rubin(1967)은 이것을 다자손(poly-Progeny)의 문제라고 서술하면서, 경산모의 어려움을 언급하였다. 그러나 사회에서나 간호현장에서는 처음 어머니가 된 초산모를 어떻게 도와야 하는가에 주로 관심을 갖고 있으며, 그동안 이루어진 연구도 초산모를 대상으로 하는 것들이 대부분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후 4개월된 초산모와 경산모의 모성역할 긴장과 모성역할 획득정도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모성역할 획득 중 모성역할 수행과 모성 정체감은 초산모와 경산모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아기와의 상호작용은 초산모가 경산모보다 더 많이 한다고 보고 하였다. 모성 역할 긴장은 경산모가 초산모보다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연령과 남편의 지지를 공변량 처리하여 보았을 때도 경산모가 초산모보다 모성역할 긴장을 더 느끼고 있었다.

  • PDF

초산모 모유수유를 위한 부부교육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Couple Breast-feeding Education Program for the Enhancement of Primipara Suyu)

  • 박윤희;박미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329-338
    • /
    • 2017
  • 연구목적은 초산모 모유수유를 위한 부부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여 초산모에게 모유수유 자기효능감과 배우자 지지 및 모유수유 만족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연구였다. 연구대상은 임신 34주 이후에 출산하고 모유수유를 희망한 초산모였다. 모유수유를 위한 부부교육프로그램대상은 출산모 부부였으며, 프로그램은 출산 후 1일째부터 3일 동안 매일 1회 20분~40분간 총 80시간을 운영하였다. 대상자 수는 실험군 32명, 대조군 31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Win을 활용하여 $x^2$-test, Fisher's exact test,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서 부부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초산모는 참여하지 않은 초산모보다 모유수유 자기효능감(t=3.44, p=.001), 모유수유 관련 배우자 지지(t=3.03, p=.004), 모유수유 만족감(t=3.64, p=.001) 점수가 더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므로, 초산모의 모유수유를 위한 부부교육프로그램이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을 임상실무에서 초산모 모유수유를 촉진하는 교육적 중재로 적용할 것을 권한다.

배우자지지가 초산모의 산후우울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융합적 효과 (Convergence effect of spouse's support on postpartum depression and self-efficacy in primipara)

  • 양지운;정인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71-180
    • /
    • 2018
  • 본 연구는 배우자지지가 초산모의 산후우울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융합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37명의 정상만삭아를 분만한 초산모와 그들의 배우자를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배우자는 산후관리와 아기돌봄에 대한 교육자료와 함께 3회의 교육을 받은 후 산후 1주부터 6주까지 산후관리와 아기돌봄을 실천하였다. 산후 1주와 6주에 각각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으로 분석하였다. 산후 1주와 6주의 산후우울 유병률은 각각 24.3% 와 0% 였다. 배우자의 지지는 초산모의 산후우울을 감소시켰고 자기효능감을 증가시켰으며(p<.001), 산후우울에는 산후도우미, 월수입, 산전우울이, 산후 자기효능감에는 임신 중 입원치료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p<.05). 본 연구결과는 대상자수를 확대하고 대조군을 설정한 후속연구 후 초산모의 산후우울감소와 자기효능감증진 프로그램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

초산모와 경산모의 신생아 간호교육 요구도 비교 (A Comparison of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Mothers' for the Infant Care Between Primipara and Multipara)

  • 고효정;임경희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8권2호
    • /
    • pp.217-228
    • /
    • 2002
  • This study is designed to compare differences of the infant mothers' nursing educational needs between primipara and multipara. And also this study will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Infant care educational programs based on personal characteristic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1 infant-mothers who just experienced delivery.

  • PDF

융복합 시대 초산모의 모아애착에 미치는 영향 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Mother-to-infant Attachment in first time Mothers under in Convergence Erat time Mothers)

  • 김현진;채미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9호
    • /
    • pp.393-40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초산모의 모아애착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서, 2021년 4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S 시의 초산모 148명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했다. 통계분석에는 기술통계와 t-test, ANOVA, 상관관계, 단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모아애착은 산모 피로도(r=-.65, p<.001) 및 불안정도(r=-.62, p<.001) 와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초산모의 모아애착에는 산모 피로도(β=-.52), 불안정도(β=-.48), 육아도우미 유무(β=.10)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귀분석 결과, 설명력은 64.3%(F=89.19, p<.001)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나타난 초산모의 모아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기반으로 산모 피로와 불안감을 줄이고 모아애착을 향상시키는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영아 수면건강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of an Infants' Sleep Health Program Using a Video for SIDS Prevention Education and Measurement of the Program's Effects)

  • 장숙;김일옥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1권1호
    • /
    • pp.11-19
    • /
    • 2015
  • 목적 수면은 인간의 기본적인 생리욕구이며, 건강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특별히 영아기는 수면주기가 불안정하고 영아급사증후군의 위험이 높아 초산모를 위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으로 초산모를 위한 영아 수면 건강과 SIDS 예방 동영상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본 영아 수면건강과 SIDS 예방 동영상 교육 프로그램은 Dick, Carey와 Carey (2009)의 체제적 교수설계모형에 따라 문헌고찰과 자문위원들의 자문과정을 거쳐 개발되었으며, 소책자, 동영상 및 PPT 슬라이드로 구성되었다. 산후조리원에 입소한 출산 2주 이내의 초산모들을 대상으로 편의 모집한 총 78명 중 최종적으로 분석한 연구대상자는 59명이었다. 실험군 I, II에게 영아 수면건강과 SIDS 예방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실험군 II에게는 교육 2주 후 동영상 강화교육을 추가로 실시하였다. 실험군 I, II와 대조군 모두 교육 전과 교육 4주 후에 영아 수면 건강과 SIDS 예방에 대한 지식, 어머니 역할 자신감을 측정하였다. 결과 영아의 수면 건강과 SIDS 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 I, II는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영아 수면 건강과 SIDS 예방에 대한 지식 및 어머니 역할 수행 자신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교육 2주 후에 동영상 강화교육을 받은 실험군 II는 실험군 I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영아 수면 건강과 SIDS 예방 동영상 교육 프로그램은 초산모의 영아 수면 건강과 SIDS 예방에 대한 지식과 어머니 역할 자신감을 상승시키는 데 효과적임이 입증되었고, 동영상 강화교육은 현장 강의를 대신할 수는 없으나 초산모를 위한 교육에 보조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육계 병아리 육추기간에 균일도를 향상시키는 방법

  • 유재석
    • 월간 닭고기
    • /
    • 통권130호
    • /
    • pp.76-80
    • /
    • 2006
  • 해마다 2~3월은 복 물량 대비 병아리 발생이 시작되는 시기로써 이른바 초산병아리가 부화장마다 분양되고 있다. 올해도 역시 초산병아리가 현장에 많이 분양되면서 2~3월에 생산성이 극히 낮아지는 현상이 반복되었다. 물론 극히 일부 초산을 제외하고 초산이든 노계든 그에 맞는 사양관리를 정상적으로 해 준다면 큰 문제가 없으나 생산성이 낮은 농장에서는 초산병아리가 입실되어도 피크병아리가 입식됐을 때와 마찬가지로 사양관리를 해 주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는 것이 필자의 판단이다. 육추관리는 모든 것을 잘해줘야 하지만 특히 초산병아리가 입식 됐을 때는 피크 병아리가 입식됐을 때보다 두 배의 관리를 해줘야 정상관리를 할 수 있다. 그런 관리를 하지 못했을 때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이 층아리가 발생하여 계군 균일도를 떨어뜨리는 문제이다. 2~3월달 농장을 방문하면서 이점이 가장안타까웠기에 필자가 다시 한번 펜을 들게 되었다. 육계는 마라톤이 아니라 단거리인 100m달리기와 같아서 입추기간동안은 육추관리는 100m에서의 '스타트'와 같아서 그 기간이 바로 사육성적을 결정하고 후에 회복할 시간이 없다. 문제된 병아리가 입식되어도 정상적인 육추관리를 해 준다면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싶다.

  • PDF

습식법과 예열처리법 및 Extrusion 공정에 의해 제조한 초산전분의 이화학적 성질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tarch Acetates Prepared by Conventional, Preheat Treatment and Extrusion Process)

  • 김종태;류기형;김동철;김철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59-667
    • /
    • 1990
  • 옥수수전분을 무수초산과 아세틸화반응을 시켜 슬러리상태의 재래적인 방법과 예열처리에 의한 방법 및 extrusion 공정에 의하여 초산전분을 제조하여 이화학적 성질을 비교하였다. 재래적인 방법으로의 초산전분을 제조(CSA)할 경우 최고의 치환도를 갖는 반응 최적조건은 반응온도 $35^{\circ}C$와 반응 pH8.5이었다. Anhydrous glucose unit에 대하여 무수초산의 mole비를 0.03에서 0.2로 증가시킬 경우 최적조건에서의 치환도는 0.019에서 0.082로 증가한 반면 아세틸화반응 수율은 31.6%에서 20.5%로 감소되었다. 예열처리를 $65^{\circ}C$$90^{\circ}C$에서 처리하여 초산전분제조(PSA)시 치환도는 각각 0.027과 0.040 이었다. Extrusion 공정에 의한 초산전분제조(WESA)시 치환도는 0.02이었다. 초산전분의 호화개시온도와 호화 enthalpy는 치환도가 증가함에 따라 원료전분보다 낮아졌다. 모든 초산전분시료가 원료전분에 비하여 투명도가 증가되었고 색도에 있어서 명도는 감소되었고 황색도는 증가되었다. WESA 시료는 원료전분, CSA 및 PSA 시료에 비해 낮은 곁보기점도를 보였으며 뉴우톤성 유체에 접근하였다. 고유점도는 CSA와 WESA 시료가 원료전분보다 낮았으나 PSA 시료는 약간 큰 값을 보였다. 초산전분겔의 노화시간상수는 모든 초산전분시료가 원료전분보다 큰 상수값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