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초등학교 공간디자인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2초

참여디자인 방법론을 적용한 초등학교 옥외공간 계획모형 - 서울 돈암초등학교를 대상으로 - (A Design Model on Outdoor Space of Elementary School based on Participatory Approach - Case Study on Seoul Don-Am Elementary School -)

  • 허윤선;임승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1-11
    • /
    • 2010
  • 초등학교 옥외공간은 어린이의 가장 가까운 생활공간이자 교육공간이다.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의해 초등학교 옥외공간의 새로운 역할과 방향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어린이의 시선과 요구에 맞춘 공간 조성은 미비한 실정이다. 실제 이용자인 어린이의 구체적이고 다양한 요구를 담아내지 못하는 현실 속에서 이러한 아동참여디자인 과정의 도출과 적용 과정은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옥외공간의 아동참여디자인 과정에 의한 설계가 필요함을 인식하고, 관련 연구 및 관련 법규의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아동참여디자인 과정 모형을 구축한 후, 서울 돈암초등학교 옥외공간 설계에 적용하였다. 스스로의 의견을 제안하고 표현하는 데에 미숙한 어린이가 쉽게 참여디자인 과정에 참여하고 의견을 표현할 수 있도록 흥미로운 도구와 게임 방법 등을 포함하여 디자인 과정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아동참여디자인 과정은 흥미유발 및 대상지 인지단계, 기대파악 및 표현단계, 계획요소도출 단계, 공간구상 및 공간배치단계, 의사결정 및 최종계획안 도출단계 등의 5단계로 구성된다. 이러한 과정을 서울 돈암초등학교 옥외공간의 계획 및 설계 과정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참여자 중심의 설계와 전문가 중심의 설계는 그 디자인 목표가 다르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결과물보다는 디자인 과정에 의미를 두고 가시적으로 보이는 물리적인 디자인의 개선뿐만 아니라 공간에 내재되어 있는 비물리적인 디자인의 개선을 기대한다. 즉, 참여디자인 과정을 통하여 시설물 개선 및 배치계획 제안이라는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어린이의 참여와 관심이라는 소프트웨어를 모두 개선하여 어린이가 바라는 초등학교 만들기의 초석을 만들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옥외공간의 실제 이용자인 어린이의 요구를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아동참여디자인 과정을 도출하여 과정 모델의 형태로 제시하였다는 점과 이 과정을 대상 초등학교 옥외공간에 적용하여 설계에 반영하였으며, 이 설계 경험을 바탕으로 공간에 대한 참여의식과 주체의식, 주인의식과 책임의식을 고양시킴으로써 어린이가 주체가 되는 초등학교 옥외공간을 조성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둔다.

생태적 개념을 도입한 초등학교 실내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patial Design of Elementary School Based on Ecological Approach)

  • 윤지영;송주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118-126
    • /
    • 2004
  • This study started from the premise that the future elementary school should be designed based on ecological approach in order to restore the emotionality of children. This study aimed at providing a guideline for designing the interior of elementary schools based on ecological approach.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the regulations for green buildings were explored. Also 7 elementary schools which were evaluated as good school design through renowned books representing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chosen and analyz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chool design included natural lighting by roof lighting, natural ventilation, greening, and use of natural materials. This study suggested three categories as a the guideline for the interior space of eco-school design; energy efficiency, greening and sustainability, which included natural lighting, natural ventilation, heating and cooling, planting, materials and water recycling.

크로우 아일랜드 초등학교의 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nig Characteristics of Crow Island Elementary School)

  • 이정우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논문집 2부
    • /
    • pp.852-855
    • /
    • 2012
  • 크로우 아일랜드 초등학교는 미국 근대교육 및 학교 건축사에서 기념비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1940년 건립된 이래 현재까지도 초등학교로서 그 기능을 유지하고 있으며 진보적인 교육철학이 학교 건축으로 구체화된 사례로 학교건축의 원론적 가치들은 시대의 흐름에도 불구하고 유효함을 웅변해 주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크로우 아일랜드 초등학교의 계획 특성을 자기 수용형 단위교실의 구성, 아동중심공간의 실천, 통합디자인의 적용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보고 그 의미를 고찰하였다.

  • PDF

Ecoloy개념을 적용한 초등학교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 일본 오사카시 초등학교와 부산시 초등학교 사례분석 - (A Study on the elementary school design based on ecological approach - Focused on the shared space of the elementary school of in Osaka Japan and Busan Korea -)

  • 윤지영;송주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36-140
    • /
    • 2004
  • This study starts from the premise that future elementary school should be designed based on ecological approach. In order to restore the emotionality of children, school should provide and protect our natural environment by greening and energy saving.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Osaka and Busan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 of elementary schools in terms of ecology. The shared spaces such as halls, corridors, stairs and rest areas of fourteen schools were chosen and analyzed by the design analysis list. The list included the guidelines including greening, lighting, heating and cooling, ventilation and use of materials. The results showed that Korean schools require void space for more natural lighting, ventilation and insulation, while Japanese schools have problems in use of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s, natural lighting and interior greening. This study reveals that ecological approach including greening and natural lighting should be considered in future elementary school design to make the school environment more agreeable and economical.

  • PDF

초등학교 주변구역의 아동친화도시형 공공디자인에 관한 연구 -중국 선전시(深圳市)를 연구대상으로- (A Case Study on Child-Friendly Public Design in The Surrounding Areas of Shenzhen Elementary Schools in China)

  • 조다다;홍관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354-366
    • /
    • 2020
  • 본 연구 목적은 아동친화도시의 관점에서 초등학교 주변 환경에 적용된 공공디자인을 살펴보고 이를 위한 개선방안과 지침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먼저 <아동권리공약>을 기준으로, UN에서 발표한 아동친화도시의 관련 문헌 및 선전시 아동친화도시와 관련된 문헌을 종합하여 아동친화학교의 주변환경에 적용된 공공디자인의 5대 원칙을 도출한다. 5대 원칙은 안전한 환경, 보호 조치, 보행에 적합한 환경, 혼자 외출할 수 있는 환경, 편리과 재미있는 환경이다. 다음으로는 앞서 도출한 5대 원칙을 기준으로 중국 선전시 복전구에 위치한 25개 국립초등학교의 주변 환경에 적용된 공공디자인을 조사, 연구하고, 5대 원칙에 따라 공공디자인의 품질수준을 평가하였으며, 낮은 품질 수준의 공공디자인이 존재한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선전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주변의 공공디자인에 존재하는 문제는 공공공간, 공공시설, 그리고 공공매체 디자인이라는 세 가지 방면에서 개선이 가능하며, 보다 환경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아동을 보호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아동의 보행환경에 적합하고 아동이 혼자서도 쉽게 다닐 수 있게 되며, 아동의 생리와 심리적 요구에 부합한 편리성과 재미있는 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디자인을 통해 아동에게 친화성을 유발할 수 있을 것이다. 선전시 초등학교 주변 환경을 위한 개선 방법은 선전시의 아동 친화도시를 조성하기 위한 발전적 지표가 될 것이다.

창의·인성 교육을 고려한 초등학교 공간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Planning of Elementary School in consideration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 최형주;조진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7권1호
    • /
    • pp.12-22
    • /
    • 2018
  • 본 연구는 초등학교 현장에 창의 인성교육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공간조성 계획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제 창의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학교의 공간조성 현황과 공간 활용 실태를 조사하였다. 또한 창의 인성 교육측면에서 학교공간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 및 요구도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창의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이루어지고 있는 주요 공간별 총 23가지의 구체적인 디자인 기준(Design Criteria)을 도출하였다. 둘째, 학교 현장에서 창의 인성 교육을 위해 교사들이 많이 이용하고 있는 공간들의 우선순위와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셋째, 학생들의 창의 인성 함양을 위해 새로이 필요한 공간의 종류와 우선순위로 조사하였다. 넷째, 창의 인성 교육을 위한 14가지의 구체적인 공간계획 방향을 제시하였다.

초등학교 저학년 단위학습공간의 다양화를 위한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 우수시설초등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to Diversify Unit Learning Space for Low Grade in Elementary School - Concentrated on the Excellent Educational Facilities -)

  • 천선영;김형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27-230
    • /
    • 2007
  • The expansion of open education and the 7th revision of educational curriculum have brought big changes in the school facilities. In response to the integrated curriculum for the first and second grades of elementary school, various plans, such as open classroom, expanded classroom size, and the installation of multi-purpose space, have been attempted. However, such plans have appeared in the form of an open classroom--a uniform spatial composition. As a result, a plan for unit learning space to support the educational curriculum and activities for low grade levels is still insufficient. In the case of advanced countries, a lot of studies on space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to develop the creativity of children and to facilitate free-style learning, and such space is actually applied to a real educational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will analyze the spatial composition of unit learning space for low grade level elementary schools in Korea. From the cases of advanced countries, a more concrete proposal will be suggested to diversify unit learning space for low grade levels.

  • PDF

서울시내 초등학교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 실태에 관한 연구 - 유니버설 디자인 7원칙의 적용 현황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Universal Design Application of Elementary Schools in Seoul - Focused on the Analysis of the Application Status of Universal Design 7 Principles -)

  • 이규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20권1호
    • /
    • pp.1-10
    • /
    • 2021
  • 본 연구는 초등학교 물리적 환경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수준을 유니버설 디자인 7가지 원칙을 기준으로 평가하여 공간 및 시설 측면의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243개소를 대상으로 현장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적용수준이 낮은 시설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정보' 및 '사용상의 융통성'과 관련한 환경개선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적은 신체적 노력' 원칙의 적용성 향상을 위해 대지선정과 설계 초기부터의 계획 적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