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초기수위

Search Result 212,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Sensitivity Analysis of the Leachate Level of a Landfill to Hydraulic Properties of Cover Soil and Waste (매립장의 복토재와 폐기물 수리특성에 대한 침출수위의 민감도 분석)

  • 주완호;장연수;김용인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oundwater Environment
    • /
    • v.5 no.2
    • /
    • pp.110-115
    • /
    • 1998
  • In this paper, the sensitivity of the leachate level is analyzed using the program HELP to reduce the high leachate level on the landfill. Hydraulic parameters analyzed were porosity, field capacity, wilting point and initial water content of cover soil and waste. Also, the influenc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itial water content and the field capacity on the leachate level in the landfill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ensitivity analysis show that the increase of the porosity and the wilting point decreases the leachate level, while the increase of the field capacity and the hydraulic conductivity increases the leachate level. Major parameters to the change of the leachate level were the hydraulic conductivity in the case of cover soil and the porosity, the field capacity and the initial water content in the case of waste.

  • PDF

Experimental Study on Influence of Levee Breach Depth on Flood Wave Propagation in Inundation Area (제방붕괴깊이 조건에 따른 제내지 범람홍수파 거동 실험)

  • Yoon, Kwa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899-90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제방붕괴에 의한 제내지 홍수파 거동 해석의 일환으로 제방붕괴시 제방의 붕괴깊이에 따른 제내지에서의 홍수파의 거동 양상을 수리실험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다양한 제방붕괴폭과 초기하도수위 및 제방붕괴고 조건에 대해 범람홍수파의 전파속도와 제내지에서의 최대수심의 변화를 실험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범람홍수파 선단(wave-front)의 이동속도는 동일한 하도수위조건에서는 붕괴고가 높을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제방붕괴시 월류수심 $H_w$가 범람홍수파 전파속도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모든 실험조건에서 최대수심은 일정한 경향을 띠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방인근 지점에서 최대수심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붕괴부로부터 일정 지점이 지나면 수위가 급격히 감소하여 거리에 관계없이 일정한 최대수심을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동일 수위조건이라면 제방붕괴고가 낮을수록 제내지로 유입되는 유량이 증가하여 초기에 제방붕괴부 주위에서 수심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범람홍수파의 전파속도와 최대수심을 산정하는 식을 무차원변수를 이용하여 제시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flood operation technique (PDH Matrix) of pumped storage power plant dam (양수발전댐의 홍수기 운영 기법 (PDH Matrix) 개발)

  • Jeong, Changsam;Kim, Siyoung;Lee, Seungoh;Lee, Dongye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20-120
    • /
    • 2022
  • 우리나라 친환경 에너지 생산의 주요 축을 담당하고 있는 양수발전댐의 홍수 시 정교한 수계운영을 위한 방안으로 강우-유량-댐 수위 매트릭스(이하, PDH Matrix)를 개발하고 양수발전소상-하부댐 연계 운영에 따른 홍수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지역은 강원도 양양군 서면에 위치하고 있는 국내 최대 양수발전소인 양양양수 발전소로 총 저수용량 92만 m3의 콘크리트 중력식댐으로 유역면적은 약 125 km2이다. 양양양수 발전댐의 수계운영을 위한 PDH Matrix는 지속기간별 강수량 규모에 따른 홍수량 및 댐 최고수위 추정치를 판단할 수 있는 조견표로 강우규모 30 - 360 mm (30분 간격, 12개 강우규모) 및 지속기간 1-24시간 (1시간 간격, 24개 지속기간)인 총 288개의 강우조건별 홍수수문곡선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홍수수문곡선을 입력자료로 기존 댐 운영 방식인 AutoROM을 적용하여 저수지 홍수추적을 HEC-ResSim 모형으로 수행하고 최종적으로 개별 강우사상에 대한 강수량-유량-댐 수위 테이블을 작성하였다. 홍수기 댐 운영에 따른 최고수위는 초기 댐 수위조건에 따라 변동되므로 초기 댐 수위 조건(EL. 115 - 117 m, 1 m 간격)별 PDH Matrix를 각 각 개발하였다. 또한, 양수발전소의 특성상 상부댐으로 양수 또는 발전 방류에 따라 홍수 시 댐의 치수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상, 하부댐 운영에 따른 홍수영향 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하부댐에서 상부댐으로 양수 시 시간에 따른 하부댐 저수지의 수위변화 양상을 추정하였으며 극한적 홍수상황을 고려하기 위하여 상부 저수지가 만수인 상황에서 불가피하게 하부댐으로 방류가 필요한 상황에 대비한 홍수기 운영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하부댐-상부댐을 연계하여 운영하는 양수발전댐의 홍수기 수계 운영 방안을 수립한 첫 연구로 향후 연구에서 개발한 강우-유량-댐 수위 매트릭스(PDH Matrix) 작성 기법을 타 양수발전소 수계 운영 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stimation of MFFn for Paddy fields (논지역의 초기세척비율(MFFn) 산정)

  • Choi, Dong Ho;Yoon, Kwang Sik;Baek, Sa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42-542
    • /
    • 2015
  • 비점오염원은 기상조건과 토지이용에 따라 시간에 따른 오염부하량의 변동폭이 크게 발생하며, 강우초기에 오염물질의 농도가 크게 나타난다. MFFn은 강우지속시간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는 오염물질의 부하량과 유출량을 특정시점에서 강우유출율과 오염물질 유출율을 계산할 수 있으며, 강우가 시작될 때 0, 종료될 때 1의 값을 나타내며, 1보다 크면 초기세척이 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MFF20에서 평균값이 2.5이면 초기우수유출수의 부피 20%에 오염물질 부하량의 부피 50%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논에서의 초기세척비율 정량화하기 위해 영산강수계 논지역(이하, 학야지구)과 섬진강수계 논지역(이하, 적성지구) 각 1개유역을 선정하여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수문 및 수질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유역면적은 학야지구는 13.69 ha 이며, 적성지구는 8.06ha 이다. 두 지역 모두 외부유입이 없으며, 배수로가 구조물화 되어 있어 관측이 용이한 지점이다. 논에서 강우시유출되는 오염물질을 산정하기 위해서 배수로 말단에 압력식 수위계와 자동채수기를 설치하여 일정간격으로 관측하였으며, 수위별 유량관측을 통해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산정 후 유량으로 환산하였다. 채취된 수질은 수질공정시험법을 통해 BOD, COD, TOC, T-N, T-P, SS를 분석하였으며, 관측된 유량과 수질자료를 이용하여 부하량을 산정하고, MFFn을 이용하여 초기세척비율을 정량화 하였다. BOD COD, TOC, T-N, T-P, SS 의 논 초기세척비율은 n 값이 10% 때 중앙값이 각각 1.3, 1.18, 1.13, 1.2, 1.13, 1.1 였으며, 13%, 11.8%, 11.3%, 12%, 11.3%, 11% 가 유출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n 값이 20%일 때 1.3, 1.1, 1.1, 1.25, 1.2, 1.2 이였으며, 26%, 22%, 22%, 25%, 24%. 24%가 유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n 값이 30%일 때 1.25, 1.0, 1.0, 1.25, 1.13, 1.3 였으며, 37.5%, 30%, 30%, 37.5%, 33.9%, 39%가 유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Hydraulic${\cdot}$Hydrologic Dam Risk Analysis through Improving Estimation Methods of Dam Water Surface Level (댐 수위 추정 방법의 개선을 통한 수리${\cdot}$수문학적 위험도 분석)

  • Kwon, Hyun Han;Moon, Young 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863-869
    • /
    • 2004
  • 댐의 수리${\cdot}$수문학적 월류 확률 추정시에 가장 민감한 불확실성 변량은 댐의 초기수위라 할 수 있으며, 특히 자료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고 댐마루(dam crest)의 높이를 초과하지 않으면서 경계를 갖는 분포형을 추정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매개변수적 확률분포 추정방법으로 이러한 문제점을 적절히 반영할 수 없으며 통계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이상화시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비매개변수적 핵밀도함수 방법과 Bootstrap 기법을 적용하여 수위의 신뢰구간을 추정하였다. 연 최대치 자료를 이용한 비매개변수적 핵밀도함수 기법을 이용한 해석결과에서는 댐의 설계빈도를 상회하는 비교적 큰 위험도 나타냈으며 홍수기의 평상수위고 가정하는 Bootstrap Resampling을 적용한 위험도는 5.11E-06의 간을 나타났다. 가장 극심한 기상상태를 가정한 해석 결과인 1.1972E-03은 본 댐은 여수로의 설계빈도가 1,000년 빈도로서 설계당시보다 확률수문량이 크게 증가된 현재 여수로 방류능력 및 안전성 상태로 고려해보면 적당한 위험도 값으로 추정된다.

  • PDF

An Analysis of Groundwater Flow at Bugok Area Using MODFLOW (MODFLOW 모형을 이용한 부곡온천지역 지하수 유동해석)

  • Chung, Sang-Ok;Lee, Young-Dae;Min, Byung-Hyung
    • Water for future
    • /
    • v.27 no.1
    • /
    • pp.79-88
    • /
    • 199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se groundwater flow in the Bugok hot spring area using the MODFLOW model which can simulate three dimensional groundwater flow both in confined and unconfined aquifers. Based on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1) The hydraulic conductivity and the specific storage of the aquifer were 0.0135 m/day and 0.020, respectively, and the model-predicted groundwater elevation agreed well with the observed one. 2)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groundwater level declines at the end of the one-year simulation period when the annual recharge rate is small and the annual pumping rate high, which is the worst combination. Except that combination, the groundwater level does not decline at the end of one-year simulation period indication the pumping rates used were allowable. 3) The safe yield depends upon the magnitudes of the recharge and pumping rates. The pumping rate should not produce excess decline of groundwater level around April when the water level is the lowest in a year.

  • PDF

Modeling on the Prediction of Flow Rate and Groundwater Level Drawdown Associated with Tunnel Excation in Fractured rock (단열암반내 터널 굴착에 따른 지하수유출 및 주변지역의 지하수위 하강예측 모델링)

  • Lee Byeong-Dae;Sung Ig-Hwan;Jeong Chan-Ho;Kim Yong-Je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15 no.3
    • /
    • pp.289-301
    • /
    • 2005
  • Groundwater level drawdown of the first stage resulted from groundwater leakage into tunnel was predicted by an analytical approximation. And numerical modeling was performed to predict the flow rates into tunnel and the groundwater level decline in the vicinity of future proposed tunnel area using a groundwater flow model MODFLOW. Groundwater level of the first stage was predicted to decrease by 15.3 m in analytical approximation. The flow rates in the total length of the future tunnel, when it is excavated, would be approximately $1,870m^3/day$ in numerical model. The model predicts that the groundwater levels in the area around the future tunnel are expected to drop between 5 to 25 m relative to current groundwater levels. Under condition for a $50\%$ tunnel conductance increase, the flow rate was estimated to be $2,518m^3/day$ and the groundwater level drawdown was predicted to be between 5 to 35 m The flow rate and the predicted groundwater level drawdown under a $2,518m^3/day$ tunnel conductance decrease was estimated to be $1,273m^3/day$ and between 2 to 12 m.

Hydraulic & Hydrologic Design Criteria for an Emergency Discharge of Reservoir (I) (댐 비상방류 설계기준 선정을 위한 수리수문학적 검토(I))

  • Son, Kwang Ik;Yi, Jaeeu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8 no.3
    • /
    • pp.149-158
    • /
    • 2015
  • It is well known that emergency outlet works have to be provided for the safety of dams. However, concept of emergency outlet works did not applied for the design of the most dams in Korea. Korean design standard for low-level outlet works does not provide enough design criteria which could be used in design of emergency outlet works. In this research, as-built status and hydraulic design criteria of outlet works, such as drawdown rate or hydraulic pressure due to the impounded water depth, were examined. Another relationship between drawdown rate and the dam slope stability was also examined with SEEP model. It was found that 25% reduction of impounded water depth decreases the pressure forces about 50%. Therefore, outlet works should be designed to drawdown properly at the beginning of the emergency. Seepage analysis of dam bodies showed that most of Korean dams could safely stand for 1m/day drawdown rate. Higher drawdown rate could result high discharge so the drawdown rate must be related with the flood risk of downstream. Finally, multi-stage design was recommended that faster discharge for the initial 25% of water depth in 7-10 days than the rest of it in 1-2 months.

A Study on the Backwater effect analysis for Discharge computation at the Confluence (합류부 유량산정을 위한 배수영향 분석에 관한 연구)

  • Lee, Tae Hee;Yun, Seong Hak;Shin, Hee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26-326
    • /
    • 2020
  • 하천의 본류와 지류가 만나는 합류부 흐름특성은 단일 하천에 비하여 수위, 유속, 경사, 유량 등 복잡한 수리학적 특성이 나타나게 된다. 특히, 홍수기 큰 호우사상이 발생하는 경우 본류와 지류에서 유입되는 각 유량의 크기에 따라 수위에 영향을 미치고 지류와 본류에 배수(back water)가 발생한다. 이러한 배수영향은 합류부 유량 산정에 있어서 매우 복잡한 요소로 작용한다. 일반적인 단일 하천에서는 수위가 증가하면 유량이 증가하여 수위관측소 수위 자료를 기반한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이용하여 유량을 산정한다. 그러나 합류부에서는 배수영향으로 인하여 수위가 증가하더라도 수면경사가 완만해져 수위-유량관계곡선식 변수인 수위를 이용한 방법으로는 유량산정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조석 및 배수 영향 등 고리형 수위-유량관계가 발생하는 하천에서는 ADCP를 이용한 자동유량계측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자동유량계측 시설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경제적 측면만 본다면 주요 지점이 아닌 모든 합류부에 설치하는 것은 어려움이 많다. 금강에 위치한 영동군(양강교) 관측소의 경우 하류 약 400m 우안측에서 유입되는 영동천의 영향으로 호우사상이 발생 할 경우 배수영향으로 고수위에서 상류 금산군(제원대교) 관측소와 첨두유량의 도달시간 및 유량 크기에서 역전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초기 단계로서 영동군(양강교) 관측소가 위치한 금강과 영동군(초강교) 관측소가 위치한 영동천이 만나는 합류부에 수위계를 설치하였다. 호우사상별 유출에 따른 본류와 지류의 수면경사를 분석하여 배수영향이 시작되는 수위와 수위 상승으로 배수영향이 미미해지는 수위를 분석하여 배수영향 특성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분석은 기존 배수조건에서 왜곡된 유량 자료를 생산하는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앞으로 정확한 유량산정 방법을 제시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추후 합류부에서 배수영향 조건의 고리형 수위-유량관계곡선식 매개변수로 수위 외에도 수면경사를 고려한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 PDF

태풍양상에 다른 해일의 수치해석적 특성

  • 강주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3.07a
    • /
    • pp.175-177
    • /
    • 1993
  • 열대성 저기압에 의해 발생되는 태풍 또는 폭풍은 주변해역에 평균수위상승(setup)을 유발하며 진행하게 된다. 우리나라에는 주로 하절기에 남해평양에서 발생한 해풍의 영향을 받아 해일 등의 피해를 입게 되는데, 이러한 해일은 여러가지 수위상승효과가 복합된 결과이다. 즉, 폭풍 도착전 발생하는 초기수위상승(initial setup), 저기압 중심 주변의 급격한 압력경사에 의한 수위상승(pressure setup), 폭풍의 진행속도가 발생된 파의 속도에 근접할 경우 압력차에 의한 수위상승이 더욱 증폭되는 장파수위상승(long wave setup), 바람과 바닥 마찰에 의한 수위상승(wind and bottom stress setup), Coriolis힘에 의한 수면상승(Coriolis setup) 등 여러 가지 효과에 의해 해일이 발생하게 된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