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초기모형

Search Result 1,300,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Study on Factors of Career Development in Scientist and Engineer Laborforce (과학기술인력의 경력개발 촉진 요인에 대한 분석)

  • Hong, Seong-Min;Chang, Sun-Mi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24 no.3
    • /
    • pp.139-159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factors which promoting career development of scientist and engineer laborforce. We made up three logit analysis models to figure out the factors affecting the career of scientist and engineer laborforce. Dependent variables were composed of job attributes in 2011, current job attribute, changing of working conditions, efforts of job seeking, university education, and personal characters. Three analysis model were composed of demand side model which including job attributes factors, supply side model which focus on employment or university education characters and total model including the demand and the supply factors. The results showed a stable career to the development of scientist and engineer laborforce's job attributes on the demand side than the supply side, such as a college education even more important. After all, the initial stable jobs and good matching policy were the most important policies to be seated in the science and engineering professions.

영광 3호기 가연성흡수봉 종류에 따른 노심특성 분석

  • 최기용;이국종;이해찬;정선교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a
    • /
    • pp.219-224
    • /
    • 1996
  • 노심설계에서 현재 사용되는 일체형 가연성 흡수봉인 Gd, ZrB$_2$ 그리고 Er의 한국표준형 원전 노심 설계에의 타당성을 노심 F$\Delta$H 제어, 저누출 장전모형 설계, 농축도/주기길이 그리고 주기말의 잔존 페널티 등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초기노심의 경우는 영광 3호기 1주기 장전모형에 동일 연료집합체를 사용한 Gd/ZrB$_2$/Er의 경우와 ZrB$_2$/Er 최적장전모형에 동일 연료집합체를 사용한 경우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평형노심은 Gd/ZrB$_2$/Er 모두 동일한 장전모형을 사용한 18개월 주기길이의 노심에 대하여 동일한 농축도에서의 주기길이차이와 동등 주기길이를 내는데 필요한 농축도 요구량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초기노심 평형노심 모두 F$\Delta$H 제어에는 ZrB$_2$/Er가 Gd보다 유리하였으며, 저누출 장전모형의 설계에도 ZrB$_2$와 Er가 Gd보다 유리하였다. 평형노심에서 동일한 주기길이를 내는데 요구되는 농축도는 ZrB$_2$에 비하여 Er는 0.182 w/o Gd는 0.063 w/o 높게 나타났으며 동일 농축도를 사용할 경우 주기길이는 ZrB$_2$에 비하여 Gd는 165 MWD/MTU 그리고 Er은 575 MWD/MTU가 짧게 나타났다. 따라서, F$\Delta$H 제어와 저누출 장전모형은 설계에는 ZrB$_2$와 Er가 Gd보다 유리하였으나 Er의 경우 주기말에서의 잔존 페널티가 매우 크다는 단점이 있다.

  • PDF

A Finite Difference Model for Tsunami Propagation (지진해일 전파 모의를 위한 유한차분모형)

  • Ahn, Seong-Ho;Ha, Tae-Min;Cho, Yong-Sik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2a
    • /
    • pp.107.2-107.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지진해일의 전파 과정을 모의함에 있어 선형 천수방정식의 수치분산을 이용하는 기법이 아닌 선형 Boussinesq 방정식을 직접 차분하는 유한차분기법을 제안하였다. 기법의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Gauss 분포의 초기 자유수면변위를 갖는 문제에 착용하여 선형 Boussinesq 방정식의 해석해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선형 천수방정식을 차분화한 수치모형에 비하여 정확한 결과를 제공하였고 분산보정기법을 이용한 수치모형과 동일한 정확도를 보였으나 본 수치모형을 이용했을 때 계산 효율이 개선되었다.

  • PDF

The Impact of Reading on Self-Efficacy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Using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독서가 자기효능감과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

  • Sungjae Park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53 no.4
    • /
    • pp.293-318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reading on self-efficacy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The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nel II data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rough analyzing the data with latent growth model, the growth trajectories for reading, self-efficacy,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were identifi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ree variances were analyzed using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As results, reading books, self-efficacy,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were decreased, as times go by. Next, the intercept of reading was postively related with self-efficacy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Finally, self-efficacy mediated between the intercept of reading and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it'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ison of Runoff Analysis Between GIS-based Distributed Model and Lumped Model for Flood Forecast of Dam Watershed (댐유역 홍수예측을 위한 GIS기반의 분포형모형과 집중형모형의 유출해석 비교)

  • Park, Jin-Hyeog;Kang, Boo-Si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9 no.3
    • /
    • pp.171-182
    • /
    • 2006
  • In this study, rainfall-runoff analysis was performed for Yongdam watershed($930km^2$) using KOWACO flood analysis model based on Storage Function Method as lumped hydrologic model and Vflo which was developed for real-time flood prediction by University of Oklahoma. The results shows that, the hydrographs of lumped and distributed model with uncalibrated parameters which estimated from physical or experimental relationship show significant biases from observed hydrographs. However, the hydrograph at Cheoncheon site from the distributed model follows the actual hydrograph to an extent that no more calibration is necessary. It encourages that distributed model can have advantages for application in real-time flood forecasting as physically based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which can construct event-independent basin parameter group.

  • PDF

Improvement on L-THIA ACN-WQ model for expanded application to the watersheds (유역 확대 적용을 위한 L-THIA ACN-WQ 모형의 개선)

  • Kum, Donghyuk;Park, Youn Shik;Ryu, Jichul;Jeon, Ji-Hong;Lim, Kyoung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15-315
    • /
    • 2018
  • L-THIA ACN-WQ 2016 모형 개선 연구에서는 침투량 산정, 다중 기상지점 등 유역 규모 확대를 목적으로 엔진 개선과 모형의 최적 매개변수 선정을 위해 최적화 알고리즘을 활용한 자동보정 모듈을 개발하였다. 개선된 침투량 초기손실 산정 계수를 적용한 침투량 산정 방법을 Green-Ampt 모형의 침투량 산정 결과와 비교한 결과 편차는 매우 작았으며, Green-Ampt 모형을 통해 산정된 침투량 범위 내에 분포되어 개선된 침투량 산정 방법의 결과가 유효한 값을 의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도출된 초기손실 산정 계수를 관계식으로 개발하여 L-THIA ACN-WQ 2018 모형 내에서 CN에 따른 초기손실량이 산정되도록 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침투량 및 기저유출량이 산정된다. 유역 규모 확대를 위해 다중 기상지점이 적용되도록 엔진 코드를 개선하였으며, 평창A와 고부A 유역을 대상으로 단일 기상지점과 다중 기상지점 적용에 따른 유출 해석을 유량지속곡선을 통해 비교 한 결과 다중 기상지점 적용에 따라서 평창A와 고부A 유역 모두 유황구간이 크게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부A 유역은 우황 변동 특성이 크게 나타났는데, 지역적 강우 특성이 뚜렷한 유역에서는 유출해석에 매우 중요한 영향인자로 작용되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L-THIA ACN-WQ 2018모형을 이용함에 있어 유역 특성에 알맞은 최적 매개변수 산정을 위해 유량 및 TN, TP 자동보정 툴을 개발하였다. 자동보정툴은 2개의 보정방안으로 개발하였다. 첫 번째는 유역 전체에 대해 하나의 최적매개변수를 도출하는 것이며, 두번째는 유역 내 다중 보정 지점을 통해 소유역별 최적매개변수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모형의 활용 목적 및 가용 가능한 보정 자료 등을 고려하여 모형의 최적 매개변수를 도출할 수 있다. 이렇게 개선된 L-THIA ACN-WQ 2018 모형을 총량단위유역 한강 평창A와 금강 고부A에 적용한 결과 유량은 NSE 0.76, 0.85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TN, TP의 NSE는 0.64 ~ 0.86 로 매우 높은 적용성 결과가 도출되었다. Ryu(2016)의 연구 결과와 비교해보면 평창A는 NSE와 $R^2$ 수치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유량 모의에서 일별 예측값 변화 폭에 큰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L-THIA ACN-WQ 2016모형 결과에서는 일별 유량의 변동성이 매우 크지만, L-THIA ACN-WQ 2018 모형에서는 일별 유량 변동폭이 크게 감소하여, 유량 모의에 큰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Case Study of Modified Real Options Valuation Model for Early Stage Start-Ups in the Game Industry (초기 게임개발사 가치평가 모형 사례 연구)

  • Yoo, Changsok;Jung, Jaeki;Poe, Baek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4 no.4
    • /
    • pp.67-74
    • /
    • 2014
  • Real options valuation models are now proved as a effective valuation method both in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However, to use real options model for early stage start-ups, additional non-financial information is crucial in the valuation process. Previous studies theoretically suggested the modified real options valuation model and process to use non-financial information in the valuation of early stage startups, but there is no empirical evidence on the suggested model.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modified real options valuation model using a case study. The case study result showed that the modified real options valuation effectively reflect the non-financial information in early stage startups, and decrease the forecasting error in the valuation process.

A Service Network Design Model for Less-than-Truckload Freight Transportation (소화물 운송 서비스 네트웍 설계 모형 연구)

  • 김병종;이영혁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7 no.5
    • /
    • pp.111-122
    • /
    • 1999
  • A service network design model for LTL freight transportation is formulated as a mixed integer Programming Problem with two heuristic solution a1gorithms. The Proposed model derives the transportation Path for each origination-destination pair, taking into account transportation cost over the links and handling costs over the nodes. The first algorithm searches for a local minimum solution from a given initial solution by improving the quality of solution repeatedly while the second a1gorithm searches for a better solution using Simulated Annealing Method. For both solution algorithms, the initial solution is derived by a modified reverse Diikstras shortest Path a1gorithm. An illustrative example, Presented in the last part of the Paper, shows that the proposed algorithms find solutions which reduce the cost by 12% and 15%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initial solution.

  • PDF

A Time Series Forecasting Using Neural Network by Modified Adaptive learning Rates and Initial Values (적응적 학습방법과 초기값의 개선에 의한 신경망 모형을 이용한 시계열 예측)

  • Yoon, Yeo-Chang;Lee, Sung-Duck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5 no.10
    • /
    • pp.2609-2614
    • /
    • 1998
  • In this work, we consider the forecasting performance between nearal network and Box-Jenkins method for time series data. A modified learning process is developed for neural network approach at time eries data, ie, properly adaptive learning rates selecting by orthogonal arrays and dynamic selecting of initial values using Easton's cotroller box. We can obtain good starting points with dynamic graphics approach. We use real data sets for this study : the Wolf yearly sunspot numbers between 1700 and 1988.

  • PDF

Uptake and Elimination of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TCDD) and 3,3 ,4,4 ,5-pentachlorobiphenyl(PCB126) in Japanese Medaka(Oryzias latipes) (일본송사리에서 TCDD 및 PCB 126의 흡수 및 배설)

  • 김영철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 /
    • v.28 no.2
    • /
    • pp.131-139
    • /
    • 2002
  • 초기생애단계의 일본송사리를 실험어류로 사용하여 TCDD와 PCB 126의 생물농축정도를 비교 측정하였고, TCDD와 PCB 126의 체외 배설에 대한 동태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생물농축실험은 초기생애단계의 새끼치어 및 어린 물고기에 TCDD와 PCB 126을 여러 농도로 물에 용해시켜 96시간 동안 정체된 상태로 폭로시킨 후 생물농축계수(BCF)와 지방-표준화한 생물농축계수(BCF$_{L}$)를 측정하였다. TCDD와 PCB 126의 일본송사리 초기생애단계의 새끼치어 및 어린 물고기에서 측정된 96-h BCF값 및 96-h BCF$_{L}$값은 폭로된 농도와 상관없이 비슷하게 나타나 반면, 생체크기가 클수록 그 값은 작게 나타났다. 일본송사리 새끼치어, 어린 물고기, 성어의 생체 내 총 지방함량은 각각 5.7, 4.2, 4.6%로 측정되었다. 체외배설 동태실험은 어린 물고기에 TCDD와 PCB 126을 3가지 농도롤 물에 용해시켜 96시간 동안 정체된 상태로 폭로시킨 후, flow-through장치로 공급되는 맑은 물로 옮겨 42일간 사양하면서 0, 7, 14, 21, 28, 42일에 생체 내 TCDD와 PCB 126 잔류량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배설은 1차 반응속도론적으로 이루어졌으며 한 구획모형보다 두 구획모형이 더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두 구획모형을 사용한 분석에서 TCDD와 PCB 126의 체외배설 반감기(t$\frac{1}{2}$) 및 배설속도상수($\beta$)는 각각 27.2일과 32.3일 및 0.025/d와 0.021/d로 측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