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초기기업 가치평가

Search Result 29,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The Study about Developing More Rational Valuation Model to the Early Stage Companies (초기기업에 대한 정량적 가치평가 모델 구축에 관한 탐색적 연구)

  • Kang, Sang-Wook;Yang, Young-Seok;Yang, Soo-Hee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2 no.4
    • /
    • pp.15-24
    • /
    • 2017
  • The major goal of this paper falls on developing new rational valuation model, to help companies and investors in the early stage of growth as to preparing and negotiating valuation of investment, by applying new reasonable discount indexes of calculating Discount Cash Flow in valuation of the start-up which has been recognized the critical fatal flaws of DCF with them. There are three specific studies done in this paper. First, this paper found the solid and viable bases of rational discount indexes as to applying DCF in valuing companies in the early growth stage with reviewing the previous studies including Berkus method, Scorecard Method, and Risk factor Summation method classified the most effective tools of valuing pre-revenue generating companies. Second, this paper quoted and analyzed the previous models and studies, so called, 'DCF-Prime' of applying DCF method as to value companies in the early growth stage by taking all risk factors innate to the companies in the early growth stage as the discount rate Beta coefficient. Third, this paper propose more viable and solid valuation models, so called, 'DCF-Plus'of combing all validated valuation factors in Berkus, Scorecard, and Risk Factor Summation methods into applying separate discount bracket after DCF Valuation over the companies in the early growth stage instead of taking them as the factors of discount rate, beta coefficient, like the previous model of DCF-Prime. DCF-Plus mainly developed in this paper will not only provide more rational valuation bases as to investment negotiation between companies and investors in the early growth stage, but also providing more accountable guidelines to companies in the early growth as to prepare investment raising and accelerating their company's value by themselves.

  • PDF

A Modified Real Options Valuation Model for Early Stage Start-Ups in the Game Industry (초기 게임개발사 특성을 고려한 가치평가 모형 연구)

  • Yoo, Changsok;Poe, Baek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3 no.3
    • /
    • pp.69-76
    • /
    • 2013
  • The financial value of early stage start-up has a tendency to depend more on the non-financial factors, but these are not efficiently reflected in the traditional valuation models. Therefore, most of valuation practices for early stage start-ups heavily relied on the guts of experts. To remedy this, this study suggests a model to directly reflect the non-financial factors especially for the real options approach. Actual process of valuation and the adjustment way were develop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stage start-ups in the game industry.

The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Numbers in the New CEO's Early Years of Service (최고경영자 취임 초기 회계수치의 가치관련성)

  • Gong, Kyung-Tae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35 no.1
    • /
    • pp.143-154
    • /
    • 2016
  • In this research, The new CEO is expected to increase a reporting income through earning management for individual benefit such as a good reputation, high compensation and CEO' s contract extension in the early years of service, of which may influence value relevance of the accounting numbers. We investigate the change of value relevance from 2004 to 2014, compare firms with a change of CEO and firms with non-change of CEO and analysis the value relevance in the early years and in the late years of the new CEO. The results of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value relevance of EPS of firms with change of CEO are decreased, whereas value relevance of BPS are increased in the regression of all sample. Second, value relevance of EPS are decreased, whereas value relevance of BPS are increased in the early years of the new CEO. This research makes a contribution to provide the first proof about influence of value relevance by the earning management in the early years of the new CEO in Korea.

  • PDF

한국기술거래소, 기술사업화 정책 포럼 개최

  • Korea Venture Business Association
    • Venture DIGEST
    • /
    • s.72
    • /
    • pp.16-17
    • /
    • 2005
  • 지난 3월 23일 한국기술센터 국제회의장에서는‘기술가치평가와 연계한 기술금융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정책포럼이 열렸다. 산자부가 주최한 포럼에서 박기영 정보과학기술보좌관은 기술가치평가의‘신뢰성 제고’와‘수요기반 확충’을 중심으로 기술가치평가시스템 구축 방안을 제시했으며, 박봉수 기술신용보증보증기금 이사장은‘기술신보의 기술가치평가시스템을 기술금융의 인프라로 적극 활용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장흥순 협회 공동회장은‘초기단계 벤처투자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이날 포럼은 연구기관, 중소∙벤처기업, 금융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해 기술가치평가에 대한 높은 관심과 중요성을 여실히 보여준 행사였다.

  • PDF

플랫폼 비즈니스 기업에 대한 투자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허태환;민경세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11a
    • /
    • pp.79-84
    • /
    • 2023
  • 플랫폼은 산업 전반에 걸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비즈니스 생태계를 변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에 따라서 플랫폼 기업의 가치가 빠르게 상승하고 있으며 좋은 플랫폼 기업을 발굴하여 육성하는 것이 곧 국가경쟁력 향상으로 이어지고 있다. 플랫폼 비즈니스 기반의 기업은 플랫폼 특성인 네트워크 효과와 수확체증 현상이 영향력을 발휘하기 전인 사업 초기에는 충분한 수익 발생이 어렵고 승자독식의 산업구조로 인해 치열한 선두 경쟁을 강요받고 있기에 기업 성장을 위해서는 투자유치를 통한 자금을 확보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플랫폼 비즈니스 기반의 기업에 대한 투자자의 투자결정요인을 도출하고 각 요인 간의 중요도 차이를 분석하여 투자를 준비하는 플랫폼 기업에게 투자자의 관점을 이해하고 사업을 검토하는 데 참고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여 플랫폼 기업의 투자유치 성공률을 제고 및 플랫폼 생태계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투자자의 투자결정요인과 플랫폼 가치평가에 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플랫폼 기업에 적합한 14가지의 투자결정요인을 도출한 뒤 계층화를 통해 플랫폼, 시장, 창업자/팀, 재무, 제품/서비스의 5가지 주요 요인을 선정했으며 투자자를 대상으로 AHP 분석기법을 활용한 1:1 쌍대비교 설문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가장 높은 중요도를 나타내는 요인은 플랫폼 특성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본 연구에서 선정한 플랫폼 특성인 플랫폼 규모, 핵심 참여집단 확보 여부, 가치 고착 용이성, 확보한 데이터 가치가 플랫폼 기업의 가치평가에 적절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추가로 플랫폼 기업에 대한 투자경험 유무로 그룹을 나누어 중요도를 비교한 결과 플랫폼에 투자한 투자자가 그렇지 않은 투자자에 비하여 플랫폼 기업이 확보한 데이터 가치에 대해 높은 중요도를 두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 PDF

Balanced valuation and management initiatives (균형가치평가와 경영권 방어)

  • Lim, Deuk-Soo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6a
    • /
    • pp.8-13
    • /
    • 2002
  • 기업의 가치평가방법은 DCF법을 비롯하여 OPM, 증권거래법에 의한 본질가치평가방법, 상속세법에 의한 재산가치평가방법, 비교법, 일정성장배당모형 등 여러가지가 있다. 이중 각 평가방법은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탄생된 것이나 영리를 위한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M&A나 A&D 또는 경영의 지표로 이용하려할 때 그 편파성 때문에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그들의 균형을 취하는 평가방법을 알아보고, 장기적인 차원에서의 경영을 전제로 벤처기업자금조달과 맞물려있는 경영권 방어에 대하여 살피므로써 벤처기업인들이 안정적인 경영을 수행하거나 창업초기에 일찍 경영에 대한 분명한 목표를 설정하고 자신의 역량을 생산적인 곳에 사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틀을 제시해 본다.

  • PDF

A Case Study of Modified Real Options Valuation Model for Early Stage Start-Ups in the Game Industry (초기 게임개발사 가치평가 모형 사례 연구)

  • Yoo, Changsok;Jung, Jaeki;Poe, Baek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4 no.4
    • /
    • pp.67-74
    • /
    • 2014
  • Real options valuation models are now proved as a effective valuation method both in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However, to use real options model for early stage start-ups, additional non-financial information is crucial in the valuation process. Previous studies theoretically suggested the modified real options valuation model and process to use non-financial information in the valuation of early stage startups, but there is no empirical evidence on the suggested model.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modified real options valuation model using a case study. The case study result showed that the modified real options valuation effectively reflect the non-financial information in early stage startups, and decrease the forecasting error in the valuation process.

The Effects of Financial Information to the Firm Valuation for Information Technology Related Companies : Evidences from Software, Degital Content, Internet Related Companies listed in KOSDAQ (회계정보가 정보기술 관련 산업의 기업가치 평가에 미치는 영향 : 소프트웨어, 디지털콘텐츠, 인터넷 관련 코스닥 상장기업을 중심으로)

  • Kim, Jeong-Yeon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17 no.3
    • /
    • pp.73-84
    • /
    • 2012
  • With transition to Knowledge society and introduction of information industry, there are many companies which have higher stock price than the suggested value from its financial information. To explain similar cases in capital markets, many researchers focus on non-financial information such as Web Traffic data or intangible assets such as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rather than traditional financial analysis. Besides, the relationships between financial and non-financial information with firm value are changed according to industry lifecycle. As Industry grows, financial information of company is more important for firm valuation in Capital market. We'd like to review the changes of relationships between financial information and firm valuation in Capital market especially for "Software", "Digital Contents", and "Internet" companies listed in Kosdaq market during 2000~2011. The result of data analysis shows the financial information gets more important after 2007. Inversely, it provides analytical bases that related industry gets mature. Also we show that intangible properties are more relevant to stock price of those technical based companies than others.

기업 정보보호 투자에 대한 경제성 평가의 접근방법에 관한 연구

  • 남성훈;임종인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05.10a
    • /
    • pp.282-295
    • /
    • 2005
  • 본 연구는 기업이 정보보호 투자 시 필요로 하는 경제성 평가의 접근방법을 제시한다. 기업은 윤리경영을 기초로 사업과 서비스를 통한 수익창출을 목표로 한다. 그리고 기업은 안정적인 사업, 서비스의 정보환경을 확보,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인 정보보호 활동을 통하여 Risk를 줄이는 작업을 해 오고 있다. 기업의 정보보호 활동과 패턴은 초기의 정보보호 기본기능을 도입, 구축하는 단계에서 탈피하여 점진적으로 종합적인 관리체계로 발전되고 있으며 이와 병행하여 산출되는 정보와 정규화 되는 Data를 기초로 정량적인 관리가 이루어 지 는 시점에 와 있다. 기업의 정보보호 투자에 대한 경제적인 효과를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관리하는 활동은 아직도 초기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그러므로 기업이 정보보호 투자 시 발생되는 피해비용의 감소와 사업 및 서비스 등에서 예측되는 경제가치 창출에 대한 기대효과의 정량적인 관리를 통해 투자의 기준을 제시하여 기업에서 효과적인 정보보호 투자가 이루어지도록 함에 있다.

  • PDF

실물옵션을 이용한 대규모 단계적 투자프로젝트의 평가모형에 관한 연구

  • 최성호;김규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612-619
    • /
    • 2003
  • 실물옵션은 전통적인 경제성 평가기준의 하나인 순현재가치 분석법이 의사결정 과정에서 경영의 유연성을 무시함으로써 투자 혹은 자산의 가치를 낮게 평가하는 단점을 제거하고 이를 평가에 적절히 포함시킬 수 있다고 여겨지고 있어 새로운 평가방법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정보기술(IT) 분야에서는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에 전통적인 현금흐름할인 방법이 효과적이지 못할 수 있다. (1) 우선, 정보통신 분야에서 대부분의 정보기술 기반 투자 프로젝트는 막대한 자본이 소요되기 때문에 기업들은 이를 피하기 위하여 단계적인 투자계획을 세우는 경우가 많다. (2) 또한, 초기 기반에 대한 투자의 주요한 혜택이 대부분 그 이후 단계의 투자에서 구현되기 때문에 성급한 초기투자에 대한 경제성 평가는 이후의 혜택을 무시할 가능성이 많아진다. (3) 마지막으로 초기의 투자 프로젝트에 참여하지 못하면, 이 후의 프로젝트에 참여하기 어렵기 때문에 미래의 혜택을 얻을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여러 가지 이유로 이를 적절히 평가할 수 있는 실물옵션 평가방법이 선호된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통신 분야의 투자와 같은 대규모 프로젝트의 특징을 평가방법의 입장에서 살펴보고, 실물옵션 개념을 응용하여 이러한 투자 형태의 평가를 위한 모델을 개발하고 적용방법을 생각해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