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초고속 네트워크

Search Result 366, Processing Time 0.052 seconds

R&D Trends of Next Generation Very High-speed Network, JGN and Multimedia (차세대 초고속 네트워크 JGN의 연구개발 동향과 멀티미디어)

  • 이재기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19-39
    • /
    • 2000
  • 인터넷의 급속한 발전과 보급에 힘입어 정보(컴퓨터), 통신(네트워크), 방송 기술분야의 경계가 점차 모호하게 도리 정도로 통합 및 융합되면서, 통신과 방송, 고정과 이동, 유선과 무선의 구분이 무의미하게 되고 있다. 또한 정보통신 인프라스트럭쳐도 디지털화, 고동화, 다양화로 발전하여 브로드밴드 인프라 인프라스트럭쳐로 이행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통신 및 방송기술을 궁극적인 인간 삶의 질을 향상시키면서 국가 경쟁력 향상을 도모하는데 이용하려는 세계 각국의 차세대 초고속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개발이 1990년대 중반부터 시작되어 현재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세계 각국에서 구축되고 있는 대표적인 차세대 초고속 네트워크의연구개발동향과 특히 아시아직역의 선두적인 위치에 있는 일본의 차세대 초고속 네트워크인 JGN의 연구개발형향을 소개한다. 또한 세계 각국의 차세대 초고속 네트워크들이 지향하는 목표와 방향 및 앞으로 극복하여야할 과제들에 대하여 기술한다.

  • PDF

TCP Congestion Control based on Dynamic Available Bandwidth Estimation for High-Speed Networks (초고속 네트워크에서 동적 가용대역폭 획득 기반 TCP 전송기법)

  • Park, Min-U;Choo, Hyun-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05a
    • /
    • pp.995-998
    • /
    • 2008
  • 무선 통신 기술의 발전과 함께 802.11n과 같은 광대역 네트워크 인프라의 구축이 확대됨에 따라, 이에 적합한 높은 성능을 낼 수 있는 전송 계층의 프로토콜이 필요하다. 유선 환경에서 개발된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는 현재 가장 널리 이용하는 전송 프로토콜이다. 하지만 높은 에러율과 긴 딜레이가 발생하는 무선 네트워크상에서는 패킷 손실의 원인을 구별하지 못하기 때문에 성능이 저하된다. 또한, 광대역폭을 지원하는 초고속 네트워크상에서 TCP가 동작할 경우 기존 무선 네트워크에서 처리하는 혼잡윈도우 값보다 커진 값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기 때문에 가용대역폭을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초고속 네트워크 안에서 slowstart threshold에 기반하여 가용대역폭을 동적으로 획득하고, 높은 전송률을 보장하는 TCP VEST(TCP Vegas-based Estimator with Slowstart Threshold)를 제안한다. TCP VEST는 기본적으로 송신자기반 무선네트워크에서 우수한 성능을 지원하는 TCP WestwoodVT의 패킷 손실원인 구분법을 사용한다. 그리고 TCP VEST는 패킷 손실의 원인을 구분하고 각각의 경우에 따라서 전송량을 slowstart threshold 값의 변화에 맞춰 조절한다. NS-2를 통한 성능평가에서 VEST는 WestwoodVT와 비교했을 때 링크 에러율이 1%인 환경에서는 20% 이상의 전송률 향상을 나타내며, Westwood와 비교했을 때는 60%의 성능향상이 있다. 또한 초고속 네트워크에서 5%와 10% 사이의 에러율을 가질 때에는 WestwoodVT와는 50%, Westwood와는 300% 이상의 성능향상이 나타남을 보인다. 이를 통해 VEST가 기존의 무선 네트워크와 더불어 초고속 네트워크에서도 동적으로 대역폭을 획득함으로써 높은 전송률을 지원하는 것을 입증한다.

초고속 통신망 구축 기술

  • 김재열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15 no.3
    • /
    • pp.33-44
    • /
    • 1998
  • 본 논문은 초고속 통신망 구축을 위한 요소기술 분야중에서 가입자망 고속화를 위한 기술과 ATM 기간망 구축시의 기술적 고려사항들을 고찰한다. 또한 초고속 통신망의 효율적인 운용과 자원 관리측면에서 예상되는 ATM 기반 통신망의 문제점과 네트워크 엔지니어링 기술의 역할에 관해서 살펴본다.

  • PDF

Technical Prevention Scheme for the Information-Superhighway Infrastructure (초고속정보통신기반의 기술적 보호)

  • Park, Jeong-Hyeon;Kim, Seong-Yeon;Kim, Seong-Gyu;Park, Yeong-Ho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2 no.3 s.45
    • /
    • pp.18-32
    • /
    • 1997
  • 초고속정보통신기반에서의 보호는 크게 사용자 측면, 서비스 측면, 네트워크 측면 그리고 관리 측면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측면들 가운데 초고속정보통신기반 보호기술이 가장 절실한 네트워크 측면에서의 보호를 크게 OSI, TCP/IP, ATM으로 나누어 검토하여, OSI 참조모델을 위한 NLSP와 TLSP방식, TCP/IP를 위한 IP보호 방식, 그리고 ATM 보호방식을 각각 제시했다.

Design Security Features of High Speed Network (초고속 정보통신망 시스템에서 보안 기술 설계)

  • 장승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c
    • /
    • pp.192-194
    • /
    • 2000
  • 초고속 통신망 시스템에서 CNM(Customer Network Management) 시스템은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한 자원 관리 및 정보 관리의 책임을 맡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에 대한 보호는 네트워크 관리보다 훨씬 중요하다. CNM 시스템에 대한 외부 불순 세력의 접근은 전체 시스템의 파괴를 의미한다. 본 논문은 초고속 통신망 시스템에서 CNM 시스템에 대한 보안 기능 및 요구사항에 대한 설계 내용을 중심으로 언급한다. 보안 기능을 만족하기 위한 CNM 시스템 내의 기능으로 IDS의 설치와 방화벽의 설치를 들 수 있다.

  • PDF

Network Analysis Infrastructure for KREONET (KREONET에서의 네트워크 분석 인프라 구축 연구)

  • Kim, Kook-Han;Lee, Man-Hee;Kwak, Jai-Seung;Byeon, Ok-Hwan;Chin, Yong-Oh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10b
    • /
    • pp.1375-1378
    • /
    • 2001
  • 네트워크에 흐르는 트래픽 측정을 효율적으로 함으로서 트래픽의 종류와 양을 알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측정 네트워크의 트래픽 특성과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본 고에서는 초고속 연구망 환경에 적합한 네트워크 분석 인프라(NAI) 구축을 제시한다. NAI 구성은 네트워크 링크를 모니터링하는 수동적 측정 방법 MRTG 와 NAVI, 그리고 인위적으로 트래픽을 발생시켜 그 결과를 분석하는 능동적 측정 방법 PingER 와 AMP 두 가지 종류로 나뉜다. 현재 초고속 연구망에서 적용중인 네트워크 트래픽 분석 측정 도구 하나씩 알아보고, 국내 외로 링크된 네트워크 트래픽의 특성과 상태를 균형적으로 분석 할 도구에 대한 모델을 알아본다.

  • PDF

e-VLBI 실현을 위한 초고속 네트워크 설계

  • 송민규;김현구;김광동;노덕규;위석오;오세진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3.10a
    • /
    • pp.79-79
    • /
    • 2003
  • e-VLBI(electronic VLBI)는 각 관측 사이트에서 얻은 대용량의 VLBI 데이터를 영상합성처리 센터로 전송하기 위하여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기술이다. 이는 전세계의 관측소에서 얻어낸 막대한 용량의 데이터를 실시간, 준-실시간 형태로서 데이터센터에 전송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으로서 초고속정보통신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이라 할 수 있다. 한국천문연구원에서는 현재 2007년 완공을 목표로 연세대, 울산대, 탐라대에 건설되는 20m 안테나와 대덕전파천문대의 14m 안테나를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e-KVN(Korean VLBI Network) 계획을 추진중에 있으며 이는 각 관측소에서 얻은 VLBI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1024Mbps로 데이터센터까지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것을 그 궁극적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e-VLBI를 구현함에 있어서 첨단화된 네트워크 및 하드웨어 기술은 필수라고 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e-KVN의 백본망으로서 예상되고 있는 KOREN과 10GbE으로 구성된 네트워크 토폴로지에 대해 간략히 기술하고 e-KVN의 향후 전망 및 보완해야 할 네트워크 기술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PDF

The Design of e-VLBI using High-Speed Network (초고속네트워크를 이용한 e-VLBI 설계 및 구현)

  • Song Min-Gyu;Kim Hyun-Goo;Minh Young-Chul;Kim Kwang-Dong;Roh Duk-Gyoo;Oh Se-Jin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08a
    • /
    • pp.165-171
    • /
    • 2003
  • e-VLBI(electronic VLBI)는 각 관측 사이트에서 얻은 대용량의 VLBI 데이터를 영상합성처리 센터로 전송하기 위하여 초고속정보통신망을 이용하는 기술이다. 이는 전세계의 관측소에서 얻어낸 막대한 용량의 데이터를 실시간, 준-실시간 형태로서 데이터센터에 전송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으로서 전세계에 걸쳐 구축된 초고속정보통신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이라 할 수 있다. 한국천문연구원에서는 연세대, 울산대, 탐라대에 건설되는 20m 전파망원경과 대덕전파천문대의 14m 안테나를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e-KVN(Korean VLBI Network) 계획을 추진 중에 있으며 이는 각 관측소에서 얻은 VLBI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1024Mbps로 데이터센터까지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것을 그 궁극적 목표로 하고 있다. 본 논문은 크게 5장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먼저 1장 서론과 2장에서는 각각 VLBI와 e-VLBI에 대한 간략한 소개와 원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3장에서는 e-VLBI의 작동 메커니즘, 4장에서는 e-KVN의 명세 및 현재 구상하고 있는 e-KVN의 네트워크 토폴로지에 대해 기술하고 5장에서 e-KVN의 전망 및 구축에 있어서 예상되는 문제점 및 향후 보완해야 네트워크 기술에 대해 간략히 언급하는 것으로 결론을 맺도록 한다.

  • PDF

홈네트워크 보안 관련 기술

  • 전용희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1 no.3
    • /
    • pp.81-95
    • /
    • 2004
  • 기간 망을 위한 훌륭한 네트워크 인프라로부터 가입자 망, 홈 네트워크에 이르기까지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환경을 위한 요구가 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보통신부에서는 홈 네트워크 산업을 신성장 동력 산업 중의 하나로 선정하였으며, 관련 산업의 집중 육성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중략)

사이버 아파트 네트워크 기본 설계에 관한 연구

  • Choe Chang-Geun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8a
    • /
    • pp.85-104
    • /
    • 2002
  • 최근 정부(정보통신부)는 사이버 아파트를 포함하여 초고속 정보통신망을 2005년까지 구축하여 각 가정당 10Mbps의 고속 정보통신서비스를 실현한다는 계획을 발표하고, 초고속 정보통신을 활성화하므로 정보통신 선진국 진입을 위하여 "초고속 정보통신 건물 인증제도"를 발표, 현재 시행하고 있다. (1999.7 제정발표) 그러나 시행 과정에서 아파트 중앙 관리실에 있는 MDF 이후의 광케이블과 기타 공사는 건설회사에서 시공하고 중앙 관리실 MDF 이전의 광케이블 공사와 중앙관리실 LAN시설 등의 공사는 통신 전문업체로 하여금, 입주자 별도 부담금으로 시공하고 있다. (컨소시엄구성) 최근 아파트 분양열기 고조로 건설회사 마다 "초고속 정보통신아파트"인증 1등급이라고 선전 및 분양광고 중인데 실제는 "1등급"이 아니고 "2등급" 또는 "3등급"인 경우가 있어, 정부가 목표하는 각 가정당 10Mbps, 개인당 2Mbps 고속정보통신 서비스는 실현성 문제점이 있다. 정부의 인증심사 기준에 중앙관리실 장비 등에 대한 것은 심사기준에 누락되어 있고 또 사생활 정보보호를 위한 대응기술, 시스템 준비 정도까지 포함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한 뒤 인증을 부여하여야 한다는 것이 본인의 연구 초점이다. 사이버 아파트란 광통신을 주축으로 영상과 음성, 데이터를 자유 자재로 전송 처리하는 초고속 정보통신망을 이용하는 것으로 LAN 장비를 이용하여 각 세대간 통신은 물론 누구나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 설계된 아파트를 말한다. 사이버 아파트의 네트워크에는 금융, 홈쇼핑, 예약, 지역정보, 관공서, 의료서비스, 레저 생활정보 등 차별화된 콘텐츠 확보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핵심은 사이버 아파트의 현 실태와 문제점, 정부의 인증심사 기준의 미비점과 문제점, 사이버 아파트의 기능, 구성요소, 시스템 구축, 서버활용도, 장비들에 관한 것과 그리고 정부의 사이버 아파트 육성정책, 정보보호 대책과 관련업체들의 동향 등을 연구하여 요약 정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