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초경량 재료

Search Result 34,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초경량 내부구조 접합판재 제작을 위한 금속내부구조의 설계 변수 분석

  • 정창균;윤석준;성대용;양동열;안동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64-64
    • /
    • 2004
  • 최근 복합재료, 신소재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빔(beam), 바(bar), 패널(panel) 등 초경량 구조재료가 개발되고 있다. 이중 금속 내부구조재를 가진 접합판재(Inner Structured and Bonded panel, ISB panel)은 3차원 형상의 내부구조재가 강성 및 강도를 증가시키는 반면, 부피의 대부분이 비어있어 비강도 및 비강성을 크게 개선시킨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트러스 형태의 금속 내부구조물은 허니컴 형상의 내부구조와 유사한 정도로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다.(중략)

  • PDF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Hydrogen-Gas Filling Process of Ultra-Light Composite Tanks for Fuel-Cell Vehicles (연료전지자동차용 초경량 복합재료 탱크의 수소 충전 특성 연구)

  • Yoo, Gye-Hyoung;Kim, Jong-Lyul;Lee, Taek-Su;Lee, Joong-Hee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5 no.7
    • /
    • pp.813-819
    • /
    • 2011
  • In this research, we investigated the hydrogen-gas filling characteristics of ultra-light composite tanks that have a plastic or aluminum liner inside the composite shell. The study was performed for different gas and tank temperatures. The temperature changes at various positions in the Type-4 tank during hydrogen-gas filling were monitor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the filling conditions.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for a Type-3 tank. As the filling speed was increased, a quicker temperature rise was observed, and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ver the entire region showed significant discrepancies.

콜타르 핏치로부터 제조한 리튬 이온 이차전지 부극재료의 특성

  • 홍현진;양갑승;윤광의;이동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508-511
    • /
    • 1998
  • 최근 들어 이동통근의 발달로 말미암아 이에 적합한 초경량, 초소형 전지의 개발이 요구된 Li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흔한금속이며 그 환원 전위가 3.04V고 금속 중 가장 큰 전위값을 갖고 있다. 현재 상업화되어 있는 리튬이차전지는 정극에 대부분 LiCoO$_2$을 부극에 탄소재료를 사용하고 있다. (중략)

  • PDF

Development of Ultralight Composite Wheelchair Frame (초경량 복합재 의자차 차체 개발)

  • 강지호;김수현;김천곤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posite Materials Conference
    • /
    • 2002.05a
    • /
    • pp.215-218
    • /
    • 2002
  • In this paper, we applied composite material of high specific stiffness and strength to the fabrication of a folding wheelchair frame for the replacement of conventional metal wheelchair frames. A one-body composite frame was designed and the finite element analysis was performed on this design. Some specimens of joint parts were manufactured and strength test was done. With the results of analysis and test, some modification was done and a prototype was produced.

  • PDF

Development of Membrane material for Stratospheric Airship (성층권 비행선용 막재료 개발)

  • Kang, Wang-Gu;Woo, Kyeong-Sik;Lee, Han-Geol;Kim, Dong-Min;Yeom, Chan-Hong;Lee, In;Hong, Eu-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posite Materials Conference
    • /
    • 2005.04a
    • /
    • pp.221-225
    • /
    • 2005
  • 성층권 비행선 기낭용 막재료를 개발하였다. 성층권 비행선을 구현하기 위한 초경량/고강도의 막재료를 설계 개발하였다. 요구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벡트란, 테들라 등의 최신 고분자 화합물을 적층한 막재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막재료에 대한 유한요소 미세구조 모델링을 수행하고, 물성치를 예측하였다. 막재료에 대한 물성시험을 수행하였다. 단위 시편에 대한 강도-강성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유한요소 예측치와 비교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hybrid wire and cable using the ultra-light, heat-resistant and high tenacity fibers (초경량 고내열 고강도 섬유활용 하이브리드 wire & cable 개발에 관한 연구)

  • Jung, Moon-Kyu;Sohn, Soon-Il;Jin, Sung-Woo;Jeung, Han-Kyu;An, Seung-K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2.03a
    • /
    • pp.21-21
    • /
    • 2012
  • 수송용 산업의 하나인 국내 조선업계는 2008년 말 이후 세계 조선경기 불황 속에서도 2009년 451억달러, 2010년 491억달러의 사상최대 수출액을 달성한 바가 있고 세계 조선사 순위에서는 1위에서 5위까지 한국 조선소 등이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개별 기업 경쟁력은 우위에 서있지만 중국과의 격차가 많이 좁혀지고 있어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특히 최근에는 탄소배출량이 적은 친환경 선박의 제조가 선박업계 전반의 화두로 대두되고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시도가 시도되고 있는데 그중에 하나가 선박의 경량화이다. 금속외장 전선은 선박 무게의 10~13%를 차지하고 있고 전체 사용 전선의 30~40%를 차지하고 있어 선박에서의 금속외장 전선의 무게를 줄이기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조선산업 뿐만 아니라 자동차 분야에서도 금속 외장전선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자동차의 연비 향상을 위한 경량화 연구가 더욱 절실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송용으로 사용되는 전선의 금속외장을 경량 고강도 섬유를 활용한 하이브리드 wire로 대체하기 위한 편조 기술 및 편조 장치를 개발하기 위한 설계 및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초경량 고강도 섬유 Armor의 제조기술 및 최적 공정 개발을 위한 연구로서 경쟁사 샘플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고, 사용된 섬유의 성분 분석 및 물성시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원형직기 개발을 위한 구조부 설계를 위해 ANSYS해석을 수행하고 저신율 고강도인 아라미드의 이징모션 시스템 개발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개구 형성방법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초경량 고강도 hybrid 케이블 아라미드 편조 표면 및 내부 가교에 의한 가공 기술을 연구하였다. 아라미드 섬유의 발수성 향상을 위한 코팅재료 선정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고, 자외선 경화공정에서 조건별 데이터를 정립하여 솔루션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

CSP 3N 박판재료의 기계적 물성 및 Woven Wire 구조물 인장 시험 기법 개발에 관한 연구

  • 안동규;이상훈;김민수;한길영;정창균;양동열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53-53
    • /
    • 2004
  • 최근 자동차/항공기 등의 판재나 구조물을 첨단기능성 재료로 제작하여 연료소비량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승객의 안정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초경량/고강도/고강성/고내충격성 재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두개의 금속 박판사이에 3차원 금속 구조체를 대면적에 분포시킨 후, 판재와 구조체를 접합하여 재료의 무게를 현저히 감소시키는 반면 강도/강성/내충격성을 향상시키는 ISB(Internally Structured Bonded)판재 개발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고 있다.(중략)

  • PDF

롤포밍을 위한 박판 미세구조물 기초 연구

  • 김형종;최두선;제태진;박재현;정동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257-257
    • /
    • 2004
  • 자동차, 항공. 선박, 가전, 건축 및 방위 산업 등 현대 사회의 핵심 기간산업은 제품의 대부분을 금속 판재를 이용하여 제품을 생산한다 따라서 향상된 물성 특성을 갖춘 금속 판재를 이용함으로써 기존 제품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현대 사회는 에너지 자원이 점차 고갈되어 가고 있고 소비자의 기호 수준이 향상되어 고성능의 제품을 요구하고 있으므로, 높은 에너지 효율성과 구조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초경량 고강도 재료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중략)

  • PDF

플라스틱 비구면 Pick-up 렌즈의 사출조건에 의한 수차변화

  • 이승수;조언정;현동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210-210
    • /
    • 2004
  • 최근 광 디스크로부터 신호를 검출하고 기록하는 핵심장치인 장 Pick-up이 점차로 고기능화, 소형화, 경량화 되면서 광 기록장치들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초소형, 초경량 광 Pick-up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광 Pick-up의 무게와 크기에 큰 영향을 미치는 렌즈의 재료를 유리에서 플라스틱으로 전환하고, 비구면 렌즈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플라스틱 비구면 렌즈를 대량 생산하기 위해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 사출성형이고, 소형, 경량, 휴대기능을 강조하는 제품동향으로 인하여 플라스틱 렌즈의 주요 생산기술인 사출성형의 중요성이 날로 부각되고 있다.(중략)

  • PDF

Properties of quasi-noncombustible ultra-lightweight geopolymer (준불연 초경량 지오폴리머의 물성)

  • Kim, Yootaek
    • Journal of the Korean Crystal Growth and Crystal Technology
    • /
    • v.29 no.3
    • /
    • pp.132-139
    • /
    • 2019
  • EPS (expanded polystyrene) is one of the most used building materials for insulation that is favored by its excellent heat insulation, economical efficiency and lightweight characteristics. However, EPS is vulnerable to the fire and producing large amount of toxic gases in case of fire. Therefore, ultra-lightweight geopolymer which can replace EPS is fabricated by using IGCC (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 fused slag and Si sludge as raw materials and the possibility of replacement on ultra-lightweight geopolymer for EPS as an insulation building material was evaluated in this study. Ultra-lightweight geopolymer can be fabricated with the pulverized IGCC fused slag having low carbon content and density, compressive strength, thermal conductivity were $0.064g/cm^3$, 0.04 MPa, and 0.072 W/mK, respectively. The thermal conductivity of ultra-lightweight geopolymer is 1.5~2.0 times higher than that of EPS suggested in the KS M 3808; however, the thermal conductivity value of geopolymer is meaningful and competitive to that of EPS in the market. Therefore, ultralightweight geopolymer can be applicable to the building material for thermal insulation purpose and have an enough possibility to replace EPS in the future because it is not only much safer than EPS in case of fire but also it can be fabricate by using waste materials from the indu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