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초강력 태풍

Search Result 3,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Analytical Study on the Peak of Typhoons (태풍의 피크기에 관한 분석 연구)

  • Seol, D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10a
    • /
    • pp.94-95
    • /
    • 2014
  • 10년간(1992-2011년)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태풍의 피크기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얻어진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최대풍속 20-29m/s와 40-49m/s의 태풍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초강력 태풍이라고 구분할 수 있는 최대풍속 50-59m/s의 태풍도 많은 수를 차지한다. 최대풍속 50m/s 이상의 초강력 태풍은 전체 태풍 수의 24%를 차지하고 최대풍속 60m/s 이상의 태풍도 존재하여 이에 대한 항해자의 경계를 요한다. 태풍의 피크기가 주로 나타나는 곳은 북위 15도에서 25도, 동경 120도에서 140도의 해역이다. 태풍 피크기의 유지시간은 12시간 이내가 전체 태풍의 27%(59개), 13-24시간이 29%(64개), 25-48시간이 30%(66개)를 차지하여 대부분의 경우 피크기의 유지시간은 2일 이내이다. 초강력 태풍은 주로 9월에 발생하고 5월, 8월, 10월에도 높은 빈도수를 보여 이 시기에 발생하는 태풍에 대하여 각별히 주의할 필요가 있다.

  • PDF

Analytical Study on the Peak Stage of Typhoons (태풍의 피크기에 관한 분석 연구)

  • Seol, Dong-Il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8 no.6
    • /
    • pp.695-700
    • /
    • 2014
  • This paper analyzed the peak stage of typhoons by using 10 years(2002~2011) data.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the characteristic and tendency of peak stage of typhoons for navigators of ship.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yphoons of maximum wind speed 20~29m/ s and 40~49m/s account for 25% and 24% of whole typhoon, respectively. Ultra Typhoon of maximum wind speed 50m/ s and over accounts for 24% of whole typhoon. Peak stage mean arrival time from tropical depression and tropical storm are 3.6 days and 2.1 days, respectively. Duration time of peak stage is within 2 days and mean duration time of peak stage is 31hours. Latitudes and longitudes that mainly appears peak stage are at $15^{\circ}{\sim}25^{\circ}N$ and $120^{\circ}{\sim}140^{\circ}E$. This dangerous sea area has the oceanic environmental characteristic that Taiwan and Philippines are locate west side and a vast the North Pacific occupy east side. Navigators of ship in this dangerous sea area keep strict watch. Ultra Typhoons occur most frequently in September. Peak stage of Ultra Typhoon also appears at $15^{\circ}{\sim}25^{\circ}N$ and $120^{\circ}{\sim}140^{\circ}E$.

Examination of Typhoon scale rating with Hazard Magnitude (재해규모를 고려한 태풍분류방법 검토)

  • Kim, Tae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69-369
    • /
    • 2021
  • 기후변화로 인하여 태풍의 발생 횟수가 증가하고, 태풍 크기가 점차 대형화되며, 강도 또한 강해지는 추세에 있다. 우리나라도 매년 7월에서 10월 사이에 태풍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나, 태풍피해의 빈도나 피해 규모는 일정하지 않으며, 이는 태풍 진로와 태풍 크기 및 강도와 관계있다. 태풍에 대한 분류는 태풍의 크기와 중심부로 불어오는 풍속에 따라 강도로 구분하며, 태풍의 크기에 따른 분류는 풍속 15m/sec 이상 되는 영역의 반경에 따라 소형(300km 미만), 중형(500km미만), 대형(800km미만), 초대형(800km이상) 등 4계급 구간으로 구분하고, 태풍의 강도는 17m/s~25m/s 범위내의 태풍은 강도를 정하지 않으며, 중(25m/s~33m/s), 강(33m/s~44m/s), 매우강(44m/s~54m/s), 초강력(54m/s 이상)으로 구분한다. 최근 10년간 자연재해 중 태풍으로 인한 피해는 1조 6825억원으로 우리나라 자연재해 총피해액인 3조 6280억의 46%를 차지하며, 원인별로 가장 큰 피해를 야기하며, 또 태풍 루사, 매미는 단일 재해로는 최대규모로 알려져 있다. 태풍으로 인한 재해는 호우, 강풍, 풍랑으로 인한 피해가 동시에 발생하기 때문이며, 재해에 대한 대비 활동도 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재해예방 측면에서 재해가 우려되는 기상 상황(호우, 강풍, 태풍 등)이 예측되고, 예측된 기상상황 하에서 피해 정도를 추정할 수 있다면 재해 예방을 위하여 적절한 대비를 취할 수 있을 것이다. 태풍은 적도부근 태평양에서 발생하여 이동하는데, 이동경로와 태풍강도는 기상 상황에 따라 변동이 심하므로, 태풍으로 인한 재해를 예측하고 예방하기 위한 대비에도 어려움이 있다. 또 태풍에 대한 기상특보는 태풍의 진로, 크기, 강도를 중심으로 강우량과 최대풍속이 예보되는데, 이것만으로 피해정도를 예측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 우리나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태풍을 대상으로, 태풍시 발생한 호우와 풍속이 태풍으로 인한 피해 규모와 관련이 있는 지 여부를 평가하고, 이들 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