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체험공간구성

Search Result 151,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실감 체험을 위한 공간기반 XR 콘텐츠 제작과 언리얼 엔진의 활용

  • Kim, Gi-Tae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27 no.4
    • /
    • pp.59-65
    • /
    • 2022
  • 최근 미디어 발달은 융합된 형태로 구성되고 있으며, 실감 혹은 사실감에 입각한 체험의 양질의 성장이 필요한 시대를 영위하고 있다. 공간을 기반으로 다양한 랜드마크로 미디어의 장르를 표현하고 있으며, 실감미디어는 무한 확장의 개념에서 발달하고 있다. XR(eXtended Reality)의 성장에 따른 융합된 H/W와 S/W를 기반으로 대규모 공간과 다중체험 그리고 수준 높은 그래픽 퀄리티를 요구하고 있으며, 이에 기반한 국내 최초 공간기반 XR 콘텐츠 국립광주박물관의 신한선의 여정의 제작 과정을 소개한다.

A system for experience of assembling digital heritage using the miniatures of architectural component (부재 미니어처를 이용한 디지털 건축 문화재 조립 체험 시스템)

  • Lee, JiHyung;Kang, kyung-kyu;Kim, Jae 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4.01a
    • /
    • pp.35-38
    • /
    • 2014
  • 디지털 문화재 콘텐츠는 현실에서 체험하기 힘든 문화재를 디지털 기술의 특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경험을 극대화할 수 있고, 문화재 보수, 교육 등에 활용될 수 있다. 그런데 기존의 디지털 건축물 문화재는 실재 문화재의 구조 및 구성을 무시하고 외형만 만들어져 있어서 다양한 형태로 바꾸어 활용하기 곤란하며, 디지털 건축물 문화재 자체가 가상공간에 존재하여 현실체험에 제한을 받고 있다. 본 논문은 사용자가 현실공간에서 부재 미니어처를 이용하여 미니어처 문화재를 조립하고 그 결과를 가상공간의 디지털 문화재로 연결하여 다양한 체험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로서 현실 체험과 가상 체험이 연결되어, 보다 효과적인 체험이 가능하고 건축 문화재에 대한 보다 전문적인 학습이 가능하게 된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acility Model for Safety Training Class in School (학교 내 안전체험교실의 시설모형 개발 연구)

  • Park, Sung-Chul;Ahn, Yoo-Jeong;Song, Byung-Joon;Cho, Jin-ll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
    • v.16 no.2
    • /
    • pp.19-33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education programs for safety training class, create unit spaces and present components and methods of utilizing the spaces for the development of facilities models closely related to various policy, operation plan and facility construction projects promoted by related institutions such as the Ministry of Education, schools, architects and companies. This study is divided into five steps. First, we reviewed the literature related basic directions for safety education and facility plan, second, field survey included both field conditions such as spatial size and facility configuration and analysis of operating conditions like hours of operation and personnel. Base on literature review and field survey, it were used to analyz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xisting safety training classes, and five facility models was developed based on the Delphi method and expert participatory design. The result show that the facility models (drafts) of safety training class were developed as follows: (1)the facility model for traffic safety(pedestrian safety, vehicle safety, subway safety) (2)the facility model for first aid(emergency rescue, how to report) (3)the facility model for disaster safety(fire evacuation safety, life earthquake safety) (4)the facility model for elevator safety(elevator safety, escalator safety) (5)the facility model for drugs and violence safety (smoking drinking, sexual harassment safety, food safety) The safety training class can be composed by combining or separating each module according to affordable space size of each school.

The Design Improvement Plan of Seoul Forest Visitor Centers for Little Children (서울시 유아숲체험장의 공간 개선 방안)

  • Kim, Minjung;Jeong, Wookju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9 no.6
    • /
    • pp.49-63
    • /
    • 2021
  • The Forest Visitor Centers for Little Children who means preschoolers is an educational facility that achieves holistic growth by experiencing forests, and it should not be completed by installing specific facilities in the forest environment, but should be a space where preschoolers can play freely in the forest environment themselves. This study comprehensively evaluated the current status of Seoul Forest Visitor Centers for Little Children and suggested space improvement measure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forest experience. Through the theoretical review, seven spatial elements that enhance the effect of forest experience and six areas composing outdoor play areas were derived to prepare an analysis table for current status evaluation, and field survey studies were conducted on 24 centers in Seoul. Through expert interviews, the physical status was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childhood education and the experiences of the users were summariz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eoul Forest Visitor Center for Little Children is classified into six types according to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and spatial structure, and ha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The effectiveness of forest experience can be enhanced by identifying and revealing the environmental strengths of individual centers. In the case of outdoor experience learning zones, the proportion of exercise play areas was very large. By evenly organizing the forest experience space for each area,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more diverse experiences to preschoolers. However, the status of uniform facility-oriented cannot be viewed as a fragmentary factor that lowers the effect of forest experience. The key to increasing the effect of forest experience by inducing creative activities is the spatial composition that considers the surrounding natural environment. Facilities should be a medium to help preschoolers' interest move into the forest. This study prepared data to understand the average physical status of the Seoul Forest Visitor Center for Little Children and suggested space improvement measure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forest experience. Thi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research to improve the quality level of the Seoul Forest Visitor Center for Little Children about 10 years after the project was implemented.

A Study for the Establishment of Appropriate Facilities Criteria of the Korean Welfare Devices Center (한국형 복지용구사업소의 적정 시설기준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 Chin, Young Ran;Bae, Joa Sup;Chung, Jae Wook;Lee, Hyo Young
    • 한국노년학
    • /
    • v.30 no.4
    • /
    • pp.1163-1177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appropriate facilities criteria of the Korean welfare devices center. We e-mail surveyed 194 welfare devices centers and analysed 13 blueprints of them. We established the following proper principles of facilities. First, consist type and area of room should depend on the type of welfare devices centers. Second, The flow of human and welfare devices should be simple. Third, the area calculated on the base of intent of center owner and the size of beds, wheelchairs, etc. Fourth, exhibit room facing with roadside may obtain advertising effect. Fifth, the storage and disinfecting room should use different entrance, and avoid the intersection of flow to prevent cross-contamination. Sixth, the access road to the exhibition and consulting room should be able to approach by the wheelchair. seventh, office room should be invisible to keep customer's privacy. Direct Cleaning-disinfecting type center on the premise that the maximum 165m2, middle 150m2, intermediate 140m2, display at least Consultation, Cleaning-disinfecting room, storage (clean, contaminated), the office, equipped with a parking space. Entrust Cleaning-disinfecting type center on the premise that a maximum 134m2, middle 119m2, intermediate 109m2 exhibited minimal activity room, consultation room, office, equipped with a parking space, collecting welfare when importing equipment warehouse (clean, pollution) have been proposed to equip up to.

A Design Courseware for Effective Actual Experience Studying (효율적인 현장체험 학습을 위한 코스웨어 설계)

  • Kim, Dai-Bum;Moon, Wae-Shik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1a
    • /
    • pp.159-166
    • /
    • 2004
  • 현장체험학습은 교과 학습과 관련해서 교실을 벗어나 학습장을 방문하여 학습활동을 한 후 보고서를 작성하고 결과를 평가하는 학습을 말한다. 하지만 저학년에서 고학년으로 갈수록 학습 범위가 넓어지고 사전학습이 없어 효율적인 학습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이에 교사에게는 풍부한 현장체험학습 자료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학습을 할 수 있는 수업 기회를 제공하고, 학생에게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자기 주도적으로 사전 수업을 한 후 현장체험학습을 실시,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시간과 공간의 한계를 극복하면서 학습자가 살고 있는 지역에 관한 체험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현장체험 학습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본 코스웨어는 학습자가 스스로 사전 사후 학습을 하며 교사와 상호 작용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 PDF

Virtual Flight Experiment Contents using Pose Recognition (포즈 인식을 이용한 가상 비행 체험 콘텐츠)

  • Park, Jae-Wan;Jo, Byeong-Su;Lee, Chil-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355-358
    • /
    • 2012
  • 본 논문은 사용자의 포즈를 인터페이스로 사용하는 가상 비행 체험 콘텐츠에 대하여 기술한다. 사용자의 포즈를 인식하기 위해서 제스처를 구성하는 상반신의 포즈를 식별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 기술한 콘텐츠는 한정된 공간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하고 가상공간에 아바타를 이용하여 표현하고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가상공간에서 정의된 포즈를 사용하여 가상 비행을 체험할 수 있고 인식된 포즈는 OS-Value 이벤트를 이용하여 가상 비행 체험 콘텐츠에서 인터페이스로 활용이 가능하다.

하천개발에 적용되는 스토리텔링 자원에 관한 연구

  • Park, Ki-Bum;Lee, Hyo-Jin;Kwon, Oh-Jong;Kim,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55-758
    • /
    • 2012
  • 최근 들어 하천개발에 있어 치수적인 개발중심에서 친수적, 환경적인 중심으로 개발이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친수적이고 환경적인 하천의 개발에 있어 도입되는 하천개발은 하천의 치수, 이수, 생태기능과 지역의 문화, 역사를 연계한 다기능 하천개발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하천개발이 주로 이루어지는 공간은 둔치공간으로 다양한 스토리텔링의 개발을 통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사람이 이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유도되고 있다. 최근의 스토리텔링의 주요 소재는 지역의 문화, 역사, 전통, 설화 등으로 시간적으로 과거의 시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좀 더 다양한 스토리텔링의 개발 방향으로 동화, 에듀테인먼트, 테마파크, 놀이터 등의 개념을 접목시켜 놀이공간으로서의 제공이 필요하다. 이러한 스토리텔링을 전개하기 위해서는 소재와 시간이 현대적으로 또는 미래지향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하천구간을 동화의 주요장면을 체험하는 공간으로 구성하여 스토리를 따라서 산책하며 체험을 통해 한 권의 동화의 주인공이 된 듯한 체험을 가지게 하는 방법, 다양한 하천에 설치 가능한 놀이시설을 배치하여 교육과 접목시켜 어린아이들에게 놀이를 통해 지식을 얻게 하는 방법, 캐릭터를 중심으로 전개하는 방법 등 다양한 시공간을 초월하는 구성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하천개발의 스토리텔링의 자원을 개발하기 위해 놀이터개념, 에듀테인먼트 개념, 테마파크 개념, 동화개념 등을 부분적 혹은 전체적으로 접목시킬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Preference for Green Roof Operators of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장애인복지관 프로그램 운영자의 옥상녹화 구성요소 선호도)

  • Yun, Ji-Young;Kang, Eun-Jee;Kang, Hyun-Kyung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6 no.3
    • /
    • pp.454-462
    • /
    • 2012
  •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effective use of green rooftop space, facilities and gardening, targeting members from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s with disabilities. The three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s studied were, Namyangju Center located in a rural area, Seoul Center located in a urban area and Siheung Center located in both a rural and urban area. We analyzed the difference in preference on the basis of each local community area. In fact, it indicated that 50% of each center knew about the green rooftop at their facilities and its use as a place for taking walks and conversation. It also showed that there was the high preference for priority objects such as a bench, pergola and trash can. Also the preference for natural visualizations like herbal or ornamental plants. The study showed a high preference to a small vegetable plot, hands on gardening and ecological wetland. It also indicated that there was a high preference for experience in nature programs on the rooftops (28.9 %) versus the rate of horticultural programs (27%). Therefore, it proves that the composition of a green rooftop at a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should be differentiated so that the green rooftop can be a place not only for resting, but also great for a natural learning experience and gardening therap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국립고흥청소년우주체험센터의 우주체험시설을 이용한 교육현황 및 계획

  • Gwon, Sun-Gil;Gwon, Hyeok-Do;Lee, Yong-Jeong;Hong, Seung-Su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5 no.2
    • /
    • pp.87.1-87.1
    • /
    • 2010
  • 국립고흥청소년우주체험센터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에게 우주에서 벌어지는 제반 현상과 천체의 실상을 접하게 하고 또 그 현상과 천체 이면에 자리한 기본 원리를 체험과 실험을 통하여 스스로 터득하게 함으로써 저들을 우주시대를 이끌어갈 창조적 인재로 양성함을 목적으로, 2010년 7월 9일에 개원한 특성화 체험 국립 시설입니다.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센터에 설치된 주요 우주체험장비 7종을 활용하여 우주왕복선과 우주정거장에서의 임무수행을 경험하며, 우주왕복선 지상통제센터 요원의 역할 및 우주선이나 항공기의 직접 조종도 체험 할수 있다. 또한 달의 저중력 상황을 체험해 볼 수 있다. 지름 15미터의 천체투영관이 12월 말에 완공될 예정이다. 하늘전망대에는 구경 14인치 광학망원경과 다수의 중소형 망원경들이 설치된다. 또한 우주인 기초체력단련훈련을 할 수 있는 야외 활동 공간을 확보하고 있다. 센터의 우주체험시설과 천문학 관련 시설들은 앞으로 청소년의 우주에 대한 관심을 유발하고 국민들의 과학에 대한 이해를 돕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4개의 과정으로 우주체험캠프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다. 또한, 2009년 개정 지구과학 교육과정과 연계한 우주체험프로그램을 개발 중이다. 여기서는 본 센터의 우주체험시설물 소개와 이들을 활용한 체험활동과 교육 현황 및 계획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