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체중감량

검색결과 261건 처리시간 0.031초

웃음 꽃피우는 협회 - 미국 비만협회 브리핑 - 과식 충동에 대한 조사 비만과 마른 사람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

  • 한국건강관리협회
    • 건강소식
    • /
    • 제36권1호
    • /
    • pp.44-45
    • /
    • 2012
  • 많은 연구자들에 의하면, 과체중인 사람이 체중을 감소시켰을 때 체내 대사 속도가 느려지고, 식욕 증가에 관여하는 호르몬의 변화가 일어난다고 한다. 그런데 사실 그들의 몸은 굶고 있다고 인식하여 괴식을 유도하므로 감소된 체중의 대부분이 원래 상태로 되돌아오게 된다. 하지만 연구자들은 체중 감량 후 과식하는 경향이 지속되는 것에 대해서는 간과해 왔다.

  • PDF

체중감량자료에 대한 적정 공분산형태모형 산출에 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selection of the optimal covariance pattern model for the weight loss data)

  • 조진남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0권2호
    • /
    • pp.377-385
    • /
    • 2009
  • 서울시에 거주하는 25명의 여대생을 대상으로 식이요법에 대한 체중감량 효과를 비교하고자 식이요법과 운동을 병행하는 그룹과 식이요법만 실시하는 그룹으로 나누어서, 8주간에 걸쳐서 2주 간격으로 측정을 실시하여 각 그룹별로 4회 반복측정실험자료를 얻었다. 이 실험자료를 바탕으로 반복측정에 관한 혼합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처리별 Toeplitz 공분산형태가 가장 적절한 모형으로 선택되었다. 처리별 Toeplitz 공분산형태를 가정하여 분석한 결과, 식이요법 이전의 체중값과 시간의 차이에 따른 효과는 대단히 유의하지만, 처리와 시간 간의 교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이요법과 운동을 병행한 그룹의 학생들이 식이요법만 섭취한 그룹의 학생들보다 좀더 효과적인 체중감량의 효과가 있었음이 판명되었다.

  • PDF

Elliptical Trainers(ET)를 이용한 공학교육 - 평균자유거리에 의한 심폐기능의 반응 (Engineering Education by Elliptical Trainers(ET) - Cardiorespiratory Responses by the Mean Free Path)

  • 황운학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53-62
    • /
    • 2011
  • 공학교육의 좋은 예제로써 ET 운동 시 신체가 반응하는 Respiratory Exchange Ratio (호흡교환률 RER, epm)와 Heart Rate (심장박동률 HR, bpm)의 변화분석이다. 에너지소비량, 운동속도, 그리고 체중감량이 달라질 경우 이에 반응하는 혈관순환계에 대한 Health Training Cardiorespiratory 반응을 통해 호흡교환률(RER)과 심장박동률(HR)의 변화에 대해서 연구되어졌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1)열소비량이 늘어날수록 호흡교환률(RER)은 지속적으로 일정하게 상승하는 반면 심장박동률(HR)은 서서히 상승하다가 임계점을 지나면 갑자기 크게 증가함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그 임계점이 대략 275 Cal 였다. (2)운동속도가 서서히 증가함에 따라서 RER은 역시 서서히 증가하는 반면 HR은 임계점(약 6.7km/h)까지는 서서히 증가하지만 이후에서는 급격한 증가를 보인다. (3)체중감량이 서서히 증가할 때 (또는, 대사 소비량이 늘어남에 따라서) RER은 역시 서서히 증가하였으나 HR은 체중감량과는 무관함을 보였다.

  • PDF

비만여성에서 저열량식사와 체중감량제 섭취에 의한 체중 및 체지방 감소 효과 (The Effects of Low Calorie Meal and Weight Control Preparation on the Reduction of Body Weight and Visceral Fat in Obese Females)

  • 박선미;한대석;김동우;이선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1492-1500
    • /
    • 2004
  • 저열량 처방을 위한 식사대체제와 식이섬유ㆍ탄수화물 가수분해 억제제ㆍHCA를 주 성분으로 하는 체중감량제의 섭취 효과를 판정하기 위하여 20대∼50대의 BMI 25이상의 여성 자원자를 모집하여 9주간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기간 동안 1일 1끼 식사는 식사대체제로 대치하고 1일 2회 체중감량제를 섭취하게 한 후 신체계측과 체조성, 배변 상황, 식이섭취 실태, 자각 증상 등의 변화를 조사하여 효과를 판정하였다. 시험 결과는 9주 동안 지속적으로 체중과 체지방, BMI, 허리 및 엉덩이 둘레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중감소율은 영양학적으로 안전한 범위에 속해 있었다. 혈청 지질에는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으며 혈당과 인슐린이나 C-peptide 함량에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BUN이나 ALP는 감소하였고 헤모글로빈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모두 정상범위에 있었다. 배변 시간은 단축되었으며 건강에 대한 부정적인 자각증상도 감소되었다. 1일 섭취 열량은 1300 kcal 정도로 유지되었으며 비타민 A, 비타민 $B_2$, 엽산, 칼슘, 철, 아연등의 섭취량은 권장량의 80% 미만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저열량식사와 체중감량제의 섭취는 체중 및 체지방 감소와 배변에 효과적이었으며 부정수소를 감소시킬 수 있었다.

여대생의 체중감량이 영양상태에 미치는 영향 - 제1보. 다이어트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Nutrition Status by Diet of Female College Students of Masan City - 1. Focus on Diet Survey -)

  • 김종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85-191
    • /
    • 1998
  • 과학기술의 발달과 경제수준 향상 및 운동량의 부족으로 인한 비만증의 발생율이 높아지는 반면 체중감량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이런 관심은 젊은 여성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경향이 있으며, 지나친 체중감량은 건강에도 해를 미치지만 체중감량에 대한 자료가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다이어트 실태 및 다이어트가 영양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여 제1보로써 다이어트 실태에 대한 조사한 것이다. 1. 조사 대상자들은 19세(27%), 20세(25.3%)의 연령층이 가장 두터웠으며, 체중은 50.32$\pm$0.91kg, 신장은 160.90$\pm$0.47cm이었고, BMI는 18.73$\pm$4.89로 나타나 평균적으로 여윈 상태임을 보였다. 2. 조사 대상자들은 한달 용돈은 10~15만원이 가장 많았으며, 부모님의 체형은 정상이거나 마른 분이 절반을 넘었다. 한편 아버지만 뚱뚱하신 경우보다는 어머니만 뚱뚱하신 분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조사 대상자들의 식태도는 하루 한, 두 끼만 섭취하며, 불규칙적으로 섭취하는 사람이 많았고, 과반수가 자신의 체형을 과대인식 하는 것으로 나타나 체형의 기준을 바르게 선정할 수 있는 영양교육이 필요함을 보였다. 4. 조사 대상자들은 실제 체중은 50.32$\pm$0.91kg이었으나 이상 체중은 46.94$\pm$0.39kg으로써 이상체중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114) 5. 조사 대상자의 37.54%가 1997년 한 해 중 다이어트를 실시한 경험이 있었으며, 처음 다이어트를 실시한 시기는 고등학교, 대학생 때, 고등학교와 대학 사이의 순으로 나타나 주로 고등학교 이후 다이어트를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이어트를 하려는 이유로는 자기 신체에 대한 기대 및 느낌 등의 주관적인 이유가 주된 원인이었으며, 과반수 이상의 여대생이 다이어트를 실시해 본 경험(79.3%)을 가지고 있었고, 다이어트 실시 빈도는 가끔 실시하는 경우(38.25%)가 가장 많았다. 또한 다이어트의 실시기간은 일주일 미만인 사람이 가장 많았으며, 평균 체중 감소량은 1~2kg(37.69%), 2~4kg(29.44%)이었으며, 과반수 이상이(76.65%) 감량 된 체중을 유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가장 선호하는 다이어트 방법은 하루 한끼 혹은 그 이상을 굶는 방법, 운동, 하루 3끼를 모두 섭취하되 열량을 줄이는 방법 등의 순으로 나타나 결국 섭취열량을 제한하거나 소비열량을 늘이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 다이어트에 대한 정보는 주로 신문, 잡지(30.86%), 가족, 친구, 친척(28.86%) 등의 대중매체나 주위의 사람들로부터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8. 영양상태 자각도가 보통 이상인 경우는 아버지, 어머니 두 분 다 뚱뚱하지 않은 경우일 때는 116명(42.65%)이며, 두 분 다 뚱뚱한 경우는 8명(2.95%)로 나타나 부모가 정상 체중이거나 마른 경우 그 자녀의 영양자각도가 그렇지 않은 부모의 자녀에 비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p=0.004) 9. 영양상태 자각도는 자신의 체형을 적당하다, 약간 뚱뚱하다고 대답한 group이 다른 group에 비해 높았다.(p=0.001)

  • PDF

식이장애 (Eating Disorder)

  • 이재성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12
    • /
    • 2002
  • 식이장애란 체형과 체중에 대해 과도한 집착과 왜곡된 인지를 가지면서 비정상적인 식사행동을 반복하고 그에 따른 신체적, 심리적 부작용을 나타내는 장애를 말하며, 대표적으로 신경성 식욕부진증 및 신경성 폭식증이 있으며, 그 외 폭식장애를 비롯한 달리 분류되지 않은 식이장애가 있다. 서구문화의 급속한 유입으로 인하여 1990년대 이후 우리나라에서도 식이장애의 발병율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특히 청소년과 조기성년기 여성에게서 문제가 되고 있다. 비만 클리닉에 체중감량을 원해 내원하는 환자들은 식이장애에 대한 고위험군일 가능성이 있으며, 체중감량을 위한 과도한 식사제한은 자칫 식이장애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비만클리닉 임상의들이 식이장애에 대한 이해를 갖고 적절한 식이요법을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학업요인이 비만청소년의 체중감량 노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Academic Factors on Body Weight Loss Efforts among Obese Adolescents)

  • 노영민;윤은경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4권1호
    • /
    • pp.63-69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related to the academic burden on weight loss efforts among adolescents aged 12-18 in Korea. Methods: This study analyzed 29,069 obese adolescents (10.8%) using raw data of the 9th~12th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collected from 2013 to 2016.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Weight control efforts were significantly higher among girls, middle school students, those who are participating in nutrition education, and individuals with perceived fatness or perceived stress. Additionally, a long sitting time and high academic performance were found to be variables affecting the weight control efforts of adolescents. Conclusion: Obese adolescents in Korea spent a lot of time in their studies due to their academic burdens and this caused a lack of time to adjust their weight. Therefore, it is needed to establish a policy by considering these social and cultural factors for obese adolescents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