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체육공원

Search Result 55,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tudy on 'Pin Oak at Son keechung Memorial Park' -Truth of Hitler Oaks- ('손기정 월계관 기념수'에 대한 소고 -히틀러 참나무의 진실-)

  • Yee, S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8 no.6
    • /
    • pp.48-57
    • /
    • 2020
  • This study was aimed to determine the history of Son keechung laurel tree, which is designated and managed as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Monument No. 5. Sohn keechung's victory in the marathon at the 1936 Berlin Olympics served as an opportunity to encourage great pride and national spirit for the Korean people's national spirit who had spent their painful days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The seedlings that Son keechung received at the time are currently growing at Son Keechung Sports Park on the hill in Manri-dong, west of Seoul Station, and are Quercus palustris. That variety of Tree is native to the United States. The 11th Berlin Olympics, held in 1936, is a golden opportunity for Hitler to show off the history and cultural excellence of the German race, so it does not make sense to award victors an American giant oak instead of the German oak tree.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various media outlets made a fait accompli due to Hitler's simple mistake. However,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laurel that Son received was the Quercus robur, based on the articles of the Korean newspaper, the German daily newspaper, and the recently introduced article of Der Spiegel, a leading German weekly magazine. Based on these circumstances,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the originally awarded Quercus robur be planted in Son keechung Memorial Park and that the newly discovered history be notified o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website and various records.

Comparison of Two-Dimensional Model for Inundation Analysis in Flood Plain Area (홍수시 둔치구간의 수리해석을 위한 2차원 모형 비교)

  • Ku, Young Hun;Kim, Young Do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6 no.1
    • /
    • pp.93-102
    • /
    • 2014
  • In the flood plain, river facilities such as sports facilities and ecological park are builded up since the late 2000s. The recent increase of rainfall intensity and flood frequency results in the immersions of parks and river facilities located in the flood plai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erform the numerical analysis for the extreme rain storm in the flood plain. In this study, to analyze the hydraulic impact by lowering and rising of the water level at flood plain, Both the FaSTMECH, which is a quasi-unsteady flow analysis model to be used for simulating the wet and dry, and the Nays2D, which is unsteady flow analysis model, are used in this study. Also, the flow velocity distribution and the inundation are compared over a period of the typhoon. As a result, the flow velocity distribution at flood plain showed very low values compared to the flow rate in the main channel. This means that the problem of sedimentation is more important than that of erosion in the flood plain.

A Multilevel Analysis on Factors Affecting Companion Animal Ownership among Elderly Persons (노인의 반려동물 소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다수준 분석)

  • Lee, Sungeun
    •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 /
    • v.7 no.7
    • /
    • pp.599-608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d factors that are associated with companion animal ownership among urban elderly persons. This study was based on data from 2014 Seoul Survey, and a total of 4,717 people aged 60 years or older were selected for the analyses. Community level data were from 2014 Seoul statistics and they included park area per person, number of elderly recreational facilities, and number of public sports facilities based on 25 districts of Seoul Metropolitan City. This study examined differences between companion animal owners and non-owners concerning individual level factors and community level factors. Factors that are associated with companion animal ownership were examined using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mong individual level variables, companion animal ownership was associated with gender, marital status, incom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and housing type. Among community level variables, park area per person was a significant factor that is associated with companion animal ownership. Study findings can be used Based on study findings,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Effect Analysis of Stormwater Reduction in Urban Stream according to Installation of PN Rainwater Storage (PN 빗물저류조 설치에 따른 도시하천 우수저감 효과분석)

  • Moon, Young-Il;Kee, Young-Ock;Yoon, Sun-Kwon;Moon, J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22-422
    • /
    • 2011
  • 지난 2010년 9월 21일 서울을 비롯한 우리나라 중부지역에 급습한 집중호우로 인하여 저지대 및 지하 공간 등에 상당한 홍수피해가 발생하였다. 이는 도심지역의 기존 수방대책의 한계점을 절실히 드러낸 호우사상으로 향후 극한 강우에 대비한 대응책 마련이 시급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도심지역의 집중호우에 의한 홍수피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구조적 대책으로 저류조 설치를 고려해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심지역에 시공이 간편하며 유지관리가 편하고 공사비가 저렴한 PN(Plastic Nodular) 빗물저류조를 설치하였을 경우 타 공법에 비하여 장점으로 부각될 수 있는 효과와 집중호우시 우수저감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PN 빗물저류조 설치시 상부 토지이용계획이 가능하며 사업비의 절감과 악취, 해충발생에 따른 민원 및 안전사고 등의 문제점이 해소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호우시에는 방재 기능과 갈수기에는 부족수량을 대체 이용할 수 있으며 평상시 저류조 상부는 근린공원과 체육시설 및 별도의 부족한 차량의 주차장 공간 등으로 이용 가능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pplication of Two-Dimensional Flow Analysis Model for Flood Risk Assessment in Flood Plain (둔치에서의 홍수위험도 평가를 위한 2차원 흐름해석모형의 적용)

  • Ku, Young Hun;Song, Chang Geun;Kim, Young 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0-40
    • /
    • 2015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홍수의 발생빈도와 홍수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여름철 집중호우 및 태풍에 의해 하천의 둔치가 침수됨으로써 다양한 침수피해를 야기한다. 대하천 사업 이후 하천의 둔치를 활용한 체육시설, 자전거도로 및 생태공원과 같은 친수시설들이 조성되었으며 태풍으로 인한 하천의 홍수위 상승은 이러한 친수시설에 대한 직접적인 피해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침수피해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둔치를 포함한 복단면에서의 흐름해석을 통한 수리학적 영향을 분석해야하며, 둔치에서의 흐름양상은 주수로에 비해 수심이 얕고 흐름에 대한 저항이 크기 때문에 2차원 수리해석이 바람직한 것으로 제안되고 있다. 2차원 수리해석에 있어 하천의 홍수위 상승과 하강으로 인해 발생하는 둔치구간에서의 마름과 젖음 현상은 수치해의 발산을 야기하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마름/젖음 해석 기법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으며 일반적으로 마름/젖음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마름/젖음에 상관없이 모든 부분에서 방정식을 푸는 박막기법과 해석영역으로부터 마름 부분을 제거하는 이동경계법으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기간에 수위가 급변하는 태풍사상에 대한 둔치에서의 홍수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 마름/젖음 해석이 가능한 2차원 유한차분모형인 Nays2D 모형을 이용하여 마름/젖음에 대한 과거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적용된 모형의 결과를 비교하여 모형의 적용성을 검증하였고, 검증된 모형을 강정-고령보에서부터 달성보 사이 구간에 적용하여 수리학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모형의 결과를 이용하여 홍수위험지수를 산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둔치구간에서의 홍수위험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 PDF

A study on hydraulic stability assessment based on two-dimensional model in river flood plain (2차원 모형 기반 하천 홍수터에서의 수리적 안정성 평가 연구)

  • Ku, Tae Geom;Song, Chang Geun;Park, Yong Sung;Kim, Young 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12-112
    • /
    • 2017
  • 하천은 크게 하도와 홍수터 그리고 제방으로 나눌 수 있으며, 최근 대하천 및 중 소규모 하천의 홍수터 공간을 활용하여 인공습지, 체육시설 및 공원 등과 같은 다양한 친수시설들을 조성하여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홍수터는 여름철 태풍이나 집중호우로 인해 침수되다가, 강우 사상이 종료된 이후에는 유사가 퇴적되어 복구비용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홍수시 홍수터에서의 수리적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홍수터를 포함한 복단면에서의 흐름해석이 선행되어야 하며, 계산된 수리적 인자들을 이용하여 홍수터에서의 수리적 안정성을 평가할 수 있다. 국외에서는 국내와 다르게 하천 홍수터 공간을 거의 활용하지 않기 때문에 홍수터에서의 수리적 안정성 평가에 대한 연구사례는 드문 실정이며, 도시침수로 인한 제내지 홍수위험도 평가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제내지 홍수위험도 지수를 국내 홍수터에 도입하여 수리적 안정성을 평가하기에는 침식 및 퇴적을 올바르게 고려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홍수시 홍수터 내에서 침식과 퇴적을 고려할 수 있는 홍수터 수리적 안정성 지수를 산정하고 과거 연구된 실내 수리실험 자료와 비교하여 적용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자연하천에서의 실제 태풍 사상에 의한 침식 및 퇴적의 상대적 공간분포를 산정하여 홍수터에서의 수리적 안정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PDF

Regional Profiling by Considering Educational Facilities - Centered on Gwangjin-gu, Seoul - (교육 시설 생활인프라 특성을 고려한 지역 프로파일링 연구 - 서울시 광진구 중심으로 -)

  • Kang, Woo-Seok;Lee, Hee-Ch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 /
    • v.26 no.5
    • /
    • pp.3-10
    • /
    • 2019
  • This study has a purpose to profile local sectors into meaningful groups by using facilities rates of Social Overhead Capital(SOC) for daily life. Comparing SOC for daily life among the meaningful groups, the profiling and comparison results bring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bout the educational facilities in local sectors. For the research purpose, this study utilized Latent Profile Analysis(LPA) by using variables such as population, road information, SOC for daily life, usage of land, possession of land, and appraised value of land from the 2018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dataset of Gwangjin-gu, where is one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 of Seoul City.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four latent groups of sectors among 904 local sectors(100 squared-meters sector per each) in Gwangjin-gu. By comparing the four latent groups by using LPA, the results diagnose each sector's status and help to improve the policy about educational facilities. Specifically, by using dataset for SOC of daily life, there are four groups of local sectors and each group has different features. Based on the different features of local sector groups, there can be improved management of educational facilities matching with each group's feature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waterfront activity index through complex monitoring in waterfront (하천 친수공간 복합모니터링을 통한 친수활동 종합지수 개발 연구)

  • Jung, Woo Suk;Gwon, Si Yun;Lee, Su Jeong;Kwon, Jae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90-490
    • /
    • 2022
  • 국내 대하천 및 중·소규모 하천의 홍수터 공간을 활용하여 체육시설 및 공원 등과 같은 친수 시설물을 조성하여 친수공간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시민들의 친수활동 빈도는 증가추세에 있다. 특히 하천 내에서 수상 레크레이션 활동 등과 같은 다양한 친수활동이 증가하고 있으며, 하천친수에 관한 정보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나 체계적인 공급은 미흡한 수준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친수공간 조성 및 유지관리에 대한 측면과 친수공간에서의 쾌적한 친수활동을 위한 정보제공 목적으로 하천 친수공간에서의 복합모니터링을 이용한 친수활동 종합지수를 산정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센서 기반의 시계열 데이터 구축을 위해 하천 수질, 수리인자의 복합모니터링을 진행하였다. 수리인자(수위, 유속, 수면폭 등)와 수질인자(탁도, Chl-a, pH 등), 기상학적 인자(자외선 지수, 미세먼지 등) 등급에 따른 허용기준을 설정하여 각 등급 별로 수리인자의 값을 0~1 사이 값인 소속도로 변환하여 소속도의 합성 및 친수활동 등급을 결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수리, 수질, 기상 인자별 소속도 함수 산정을 통한 퍼지합성 이론 기반의 친수활동 종합지수를 산정하였다. 그리고 친수활동 종합지수를 예보하기 위한 모델 적용을 위한 방향성을 정립하였다.

  • PDF

Comparison of rainwater utilization rate according to actual capacity-standard capacity of storage tank of rainwater harvesting system (빗물이용시설 저류조 실제용량-기준용량에 따른 빗물이용률 비교)

  • Sim, Inkyeong;Park, Yoonkyung;Kim, Reeho;Park, Jongp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18-41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수문학적 물수지 분석을 통한 물수요-공급 시계열 분석을 수행하여 빗물이용률을 산정하였다. 물수지 분석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통해 빗물이용시설 공급충족률(필요수량 대비 빗물이용량), 빗물보장률(전체일수 대비 빗물이용일수), 빗물이용률(빗물이용시서용량 대비 빗물이용가능량)에 대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업무시설, 학교, 체육시설(공원), 공동주택에 대해 수요처별 수요 시나리오를 작성하였으며, 고수요 75%, 중수요 50%, 저수요 25%를 적용하였다. 시나리오별 실제 용량과 기준용량에 따른 빗물이용률을 비교함으로써 현재 설치된 빗물이용시설이 잘 계획되었는지, 과소 계획되었는지 파악할 수 있다. 빗물이용률 분석을 위해 빗물이용시설 유형별 2개소씩 선정하였으며, 빗물이용시설 실제용량 및 기준용량(집수면적(m2)×0.05 적용)에 따른 수요 시나리오별 빗물이용률을 비교하였다. 이와 같이 물수지 분석 도구를 이용하면 다양한 시나리오 적용에 따른 운영 결과를 향후 설치될 빗물이용시설의 설치 이전에 확인하여 최적 운영방안 도출 및 저류조 용량 계획에 참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Environmental Correlates with Walking among Older Urban Adults (도시 노인들의 걷기활동 참여에 영향을 주는 물리적 환경요인 분석)

  • Lee, Hyung-Sook;Ahn, Joon-Suk;Chun, Seung-Ho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9 no.2
    • /
    • pp.65-72
    • /
    • 2011
  • Since walking and physical activity are critical for older adults to maintain their health, it is important to provide neighborhood environments which encourage their walking in daily life.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investigate walking activity patterns of older people in an urban setting and to identify environmental correlates with walking of older adults. This study examined 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of physical activities, environmental barriers and motivations, satisfaction levels and demands on the physical environment. In-depth interviews with older adults over age sixty residing in Seoul metropolitan areas revealed that most respondents have a positive perception on walking in daily life, and many of them walk regularly for their health. A primary purpose of walking for older adults was exercise for health rather than transportation. The study result demonstrated that parks and trails were the most preferred places for walking by older adults, and there is an association between frequency of walking participation and access or convenience to parks, traffic safety, and street lights. Most respondents were concerned about traffic safety when they walk in their neighborhoods due to traffic speeds and unsafe streets. Lack of separate sidewalks or benches, stairs and slopes were barriers to older adults' walking habits. This data suggests that the promotion of walking behavior among older adults, some level of public health action, and community support are needed to ensure safe physical environments within commun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