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체온변화

검색결과 168건 처리시간 0.029초

가상현실 사용자의 심리생리학적 유형 (The psychophysiological types in virtual reality user)

  • 김영윤;김현주;장현호;박병관;고희동;김현택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6-161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45명의 가상현실 사용자들의 가상현실 전, 중, 후의 생리신호의 변화를 관찰하였고 성격, 능력 특성 설문지, 가상현실 평가 설문지를 이용하여 심리적 영향을 알아보았다. 체온의 변화 양상을 기준으로 하여 가상현실 사용자의 심리생리학적 유형을 나누고 유형별 심리적인 반응 특성을 살펴보았다. 1) A 유형: 가상현실 유행동안 체온이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유형. 2) B 유형: 가상현실 윤행초기에 체온이 급격히 증가해서 운행동안 서서히 체온이 상승하는 유형. A 유형에 속하는 사용자들의 성격적 특성은 Holland의 성격 유형이론에 근거하여 실제형의 사람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B 유형은 탐구형, 사회형의 사람들이 많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멀미민감도는 A 유형이 B 유형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A, B 유형의 뇌파분석 결과 정중 전두부 (Fz), 정중 중심부 (Cz)에서 베타파, 감마파 상대파워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온의 변화 양상에 따라 나눈 A, B 유형은 성격 및 능력 특성, 멀미민감도에 있어서 유형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자돈의 일중 체온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s in Body Temperature of Piglets in a Day)

  • 이원현;정왕용;이상철;이상락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91-94
    • /
    • 2012
  • 본 실험에서는 자돈을 대상으로 비정상 체온의 판정을 위한 알고리즘 개발에 활용할 정상상황에서의 표피 (귀, 목, 머리) 및 심부 체온의 database를 구축하였다. 평균체중 46kg의 자돈 5두를 공시하여 $22.5{\pm}2.0^{\circ}C$로 설정된 이유 자돈사에 설치한 개별 케이지에 2주간 적응시킨 후, 귀, 목 및 머리의 피부온도와 심부 (피하지방) 체온, 그리고 돈사내 온도를 1 mm k-type 열전대와 National Instruments Corporation (Austin, Texas, USA)의 장치 (cDAQ-9174, NI-9214, 9214TB)를 이용하여 1분 간격으로 17일간 연속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체온 data는 24시간 단위로 통합하여 매 시간대별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했다. 모든 측정 site의 하루 중 체온의 변화는 오전 6시에 가장 낮은 값으로 나타났으며 이후 점점 증가하다가 14시에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그 후 익일 오전 6시까지 서서히 떨어졌다. 이런 변화 pattern은 외부온도의 변화와 일치하였다. 심부의 체온은 $35{\sim}39^{\circ}C$의 범위로 변화가 적은 반면에 목과 머리는 각각 $32{\sim}36^{\circ}C$, $30{\sim}36^{\circ}C$이고, 귀는 $29{\sim}36^{\circ}C$로 변화 폭이 컸다. 귀의 경우 가장 낮은 값은 자돈의 활동이 가장 적은 새벽시간이었으며, 새벽시간대를 제외한다면 귀, 목, 머리의 체온은 대체적으로 같은 범위의 온도 값을, 심부는 체온의 가장 근접한 값을 나타내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축적된 자돈의 표피 (귀, 목, 머리)와 심부 체온의 databse는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device)를 이용한 동물의 비정상 체온의 전자적 감지를 위한 알고리즘 개발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목부착형 센서를 이용한 기계학습 기반 소 심부체온 예측방안 (Estimation of Body Core Temperature of Cow using Neck Sensor based on Machine Learning)

  • 이웅섭;류종열;반태원;김성환;강상기;함영화;이현준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12호
    • /
    • pp.1611-1617
    • /
    • 2018
  • 체온은 가축의 건강상태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있어서 건강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체온이 즉각 변화한다. 따라서 정확한 체온 측정은 스마트 축사 관리에서 중요하다. 하지만 현재 가축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해서 주로 사용되는 표피 부착형 센서의 경우 외기 및 센서의 부착상태에 따라 측정되는 체온 값이 크게 변화하고, 측정되는 체온이 가축의 실제 심부체온과 다른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목 부착형 센서를 이용하여 소의 심부체온을 예측하는 방안을 개발하였다. 특히 심부체온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회귀방안과 특정온도 이상으로 체온이 올라가는 것을 감지하는 분류방안을 다양한 기계학습방안을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높은 정확도로 소의 심부체온 이상여부를 예측할 수 있음을 보였다. 제안 방안을 통해서 소의 건강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축사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복합형 체온계 개발 (Development of Hybrid Temperature Measurement System)

  • 한영환;박승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0년도 제42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18권2호
    • /
    • pp.195-197
    • /
    • 2010
  • 체온은 가장 기본적인 진단 정보로써 여러 가지 생리 변화를 반영하는 지표이므로 거의 모든 질환에 대해 반드시 측정하도록 되어있다. 그러므로 체온을 정확하고 빠르게 측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은 복합형 체온측정 시스템의 개발에 목적이 있다. 즉, 하나의 복합 시스템으로 고막과 이마에서의 체온을 측정하려고 한다. 개발 결과, 이 시스템은 IR 센서를 사용한 비접촉식 방식이며 빠른 응답시간과 $0.2^{\circ}C$의 정밀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체온 측정을 위한 주변온도 보상을 고려하여 온도 측정의 정확도를 높였다.

  • PDF

해상 구명정의 단열성능평가 및 저체온증 예측 수치해석 연구 (Evaluation of Thermal Insulation and Hypothermia for Development of Life Raft)

  • 황세윤;장호상;김경우;이장현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485-491
    • /
    • 2015
  • 구명정의 열전달 특성 및 해상상태에 따른 조난자의 저체온증 발생 가능성에 대한 기술적 검토는 선박의 좌초 및 침몰 사고에 대응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해상용 구명정(또는 구명벌)의 설계에 필요한 열전달 특성 및 단열 성능을 분석 및 평가방법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또한, 해상 저체온증 발생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로써 Thermal manikin과 인체를 대상으로 체온 저하의 예측을 판단하기 위한 단열성능 실험 및 인체 온도 특성 해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열전달 해석은 구명 뗏목의 열전도 특성, 해수의 대류 효과 및 단열 재료의 특성에 따른 성능 변화를 파악하도록 유한요소해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인체 시험에서 입수 시 신체 온도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 각 부위에 열전대를 부착한 상태로 구명정에 탑승하여 온도 변화 및 열유속 변화를 계측하였다. 실험으로부터 계측한 체온 변화와 유한요소해석 모델의 체온 변화를 비교함으로써 결과의 타당성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저체온증 발생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KR-25018과 capsaicin의 기니픽에 대한 in vivo 약리작용 (In vivo effect of KR-25018 and capsaicin in guinea pig)

  • 정이숙;조태순;이부연;공재양;박노상;문창현;신화섭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53-253
    • /
    • 1996
  • KR-25018 과 capsaicin 모두 용량의존적으로 진통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효력은 KR-25018이 capsaicin 보다 약간 강하거나 비슷하였고, 두 약물 모두 10 mg/kg에서 최대 효과를 나타내었다. KR-25018 과 capsaicin의 투여 농도에 의존적으로 기관지의 substance P 양이 감소하였으며 두 약물 모두 5 mg/kg에서 최대효과를 나타내었다. Capsaicin 1 mg/kg 전처치에 의해 기니픽의 체온이 30 분부터 감소하였으나, KR-25018 1 mg/kg에 의해서는 체온변화가 훨씬 미약하였다. Capsazepine 의 병용투여에 의해 두 약물의 진통작용 및 substance P 감소작용은 모두 억제되었으나 체온 변화에 대해서는 capsazepine이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개심술 중 경정맥 산소포화도의 역할 (The Role of Jugular Venous Oxyhemoglobin Saturation Monitoring During Cardic Surgery)

  • 김세연;지대림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1권1호
    • /
    • pp.49-54
    • /
    • 1994
  • 숭모판 치환술이 예정된 1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심폐우회술 동안 발생할 수 있는 뇌산소 요구량과 소모량 사이의 불균형을 조사하기 위해 내경정맥 내의 산소포화도를 체외순환 5분전과 시작후 1분 이내, 저체온 상태가 안정되었을 때와 재가온하여 체온이 $34^{\circ}C$가 되었을 때, 그리고 체외순환 종료 후 15분 이내 등 5단계로 나누어 혈액을 채취하여 평균 동맥압, 체온, 동맥내 이산화탄소 분압, 혈색 소치, PH 등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심폐우회술 중 이산화탄소 분압과 혈색소치 및 PH의 특이한 변화는 없었다. 2. 체외순환 직후 체온 및 평균 동맥압과 혈색 소치의 급격한 변화가 있었으나 임상적인 의미는 없었으며, $SjO_2$의 변화도 없었다. 3. 저체온 상태가 안정되었을때 $SjO_2$ 평균치가 72.4%이었으나 체온을 $34^{\circ}C$로 재가온하였을 때 56.1%로 감소하였다. 4. 재가온 시기에 $SjO_2$감소를 예방하기 위해 재가온 속도를 천천히 하고 이산화탄소를 증가시킴으로써 뇌혈류를 증가시키고 마취약제 등을 이용하여 산소에 대한 뇌대사율을 관류지수를 증가시켜야 하겠다.

  • PDF

수액가온요법이 전신마취 하 체온변화와 전율 및 회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Warming Intravenous Fluids on Body Temperature Change under a General Anesthesia, Shivering, and Recovery)

  • 한효정;정소라;이성희;최경란;차나정;신유리
    • 임상간호연구
    • /
    • 제16권1호
    • /
    • pp.71-82
    • /
    • 2010
  • Purpose: The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arm fluid used during surgery on the patients' hypothermia prophylaxis and recovery after surgery. Methods: This data were collected from Jul. 13 to Nov. 31. 2009 at S hospital in M City. 60 patients who met the selection criteria were recruited in the study and divided into two groups. The warmed fluids were used for 30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fluids in room air temperature were used for the others in the control group.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win 18.0. Results: The body temperatures of the control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during surgery than those of the experimental group (p<.001). Shivering was significantly less occurr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p=.018). The experimental group used warmed fluids recovered faster tha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Warming fluid for the patients with general anesthesia was revealed to be effective in decreasing hypothermia during surgery, reducing shivering, helping recovery from the anesthesia. Further research is warranted to refine and apply this evidence in nursing pract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