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체내이식형 양심실 보조장치

Search Result 2, Processing Time 0.145 seconds

Application of the Total Artificial Heart as an Implantable Biventricular Assist Device by Left Thoracotomy in an Ovine Model (양에서 좌측 개흉술 하에 완전인공심장의 체내이식형 양심실 보조장치로 사용에 관한 연구)

  • 원태희;민병구;김원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4 no.4
    • /
    • pp.296-304
    • /
    • 2001
  • 배경: 이번 연구의 목적은 체내이식형 양심실 보조장치의 개발을 위한 안전하고 간편한 동물실험 모델을 확립하는 것이며 이동작동형 완전 인공심장의 양심실 보조장치로의 사용 가능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7마리의 Corridale 양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5번째 늑간극을 통하여 좌측 개흉술을 시행하고 좌측 유출로 캐뉼라는 하행 대동맥에 Dacron graft을 사용하여 연결하였고 유입로 캐뉼라는 좌심방에 삽입하였다. 우측 유출로 캐뉼라는 하행 대동맥과 같은 방법으로 주폐동맥에 연결하였으며 유입로 캐뉼라는 혜동맥을 하방으로 젖혀 우심방이를 노출시킨 다음 우심방이에 삽입하였다. 4마리에 있어서는 양심실 보조장치를 전복막강(preperitoneal space)에 위치시켰으며 2마리에 촤측흉강 내에, 1마리에서는 외부에 위치시켰다. aPTT는 수술전 aPTT의 2∼2.5배로 맞추어 주었다 결과: 수술중 또는 수술직후 사망한 경우는 없었으며 7마리 모두 인공호흡기 이탈이 가능하였고 스스로 기립하고 음식물 섭취도 가능하였다. 1마리는 술후 2일째 혈전 색전증 및 인공호흡기 작동 잘못으로 사망하였으며 2마리의 겨우는 술후 2일째 각각 양심실 보조장치의 작동 잘못 및 호흡부전으로 사망하였고, 3마리의 경우는 술후 4일째 혈전색전증으로 인한 급성신부전 및 호흡부전 등으로 사망하였다. 1마리에 있어서는 28일간 생존하였으며 양심실 보조장치의 구동 장치에 연결된 라인의 마로로 인해 양심실 보조장치의 작동이 정지되었으나 바로 양심실 보조장치를 제거하고 살릴 수 있었다. 모든 경우에 있는 캐뉼라를 삽입하고 양심실 보조장치를 작동시키는데 큰 어려움이 없었다. 7마리 중 4마리에서 혈전이 발견되었으며 특히 판막을 연결한 부위에 혈전생성이 많았다. 그러나 캐뉼라에는 혈전생성이 없었다. 결론: 양에 있어서 좌측 개흉술 및 전복막강 공간에 양심실 보조장치를 위치시키는 이번 동물실험 모델은 체내 이식형 양심실 보조장치 개발을 위한 좋은 동물실험 모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디동 작동기형 완전 인공심장의 혈전생성을 억제할수 있는 방법들의 연구개발이 지속된다면 장기간의 체내 이식형 양심실 보조장치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Spectral Properties of the Sound From the Mechanical Valve Employed in an Implantable Biventricular Assist Device (이식형 양심실 보조 장치에 사용된 기계식 판막의 음향 스펙트럼 특성)

  • 최민주;이서우;이혁수;민병구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22 no.5
    • /
    • pp.439-448
    • /
    • 2001
  • This paper considers the acoustical characteristics of the closing click sounds of the mechanical valves employed in an implantable biventricular assist device (BYAD) and their re1evance to the Physical states of the valved. Bj rk Shiley Convexo Concave tilting disk valve was chosen for the study and acoustic measurement was made for the BYAD operated in a mock circulatory system as well as implanted in an animal (sheep). In the BYAD operated in the mock circulatory system. three different states of the valve were examined, ie. normal. mechanically damaged. pseudo-thrombus attached. Microphone measurement for the BVAD implanted in the animal was carried out for five days at a regular time interval from one day after implantation. Characteristic spectrum of the sound from the valve was estimated using Multiple Signal Classification (MUSIC) in which the optimal order was determined according to Bayesian Information Criterion (BIC) . It was observed that the mechanical damage of the valve resulted in changes of the structure of the acoustic spectrum. In contrast. the thrombus formed on the valve did not change much the basic structure of the spectrum but brought about altering the spectral Peak frequencies and energies. Maximum spectral Peak (MSP) with the greatest energy was seen at 2 kHz for the normal valve and it was shifted to 3 kHz for the calve attaching the Pseudo-thrombus. Unlike the normal valve, strong spectral Peak appeared around 7 kHz in the sound from the valve mechanically damaged. In the case of the BYAD implanted in the animal. as the thrombus grew, acoustic energy was reduced relatively more in the low frequency components (〈 2 kHz) and the frequencies of the 1st, 2nd and 3rd MSP were increased little. The thrombus formation would result in reduction in both the variability of the 1st, 2nd and 3rd MSP and the value of the BIC optimal ord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