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체간조절 능력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19초

불완전 척수손상자의 퇴원 후 운동훈련의 효과 사례보고 (Effects on Exercise Training in person with Incomplete Hemisection cord injury after Discharge)

  • 박미희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5-31
    • /
    • 2005
  • 이 사례연구는 2002년 10월 15일 칼에 의한 좌상으로 경추 3-4번의 불완전 척수손상을 입은 25세의 남자 환자가 최초 병원에서 2002년 12월 한달 간의 치료를 마친 후, 2003년 1월 3일부터 4월 28일까지 태릉에 위치한 N 재활센터에서 주 5회 2시간의 자세조절 훈련, 심폐지구력 훈련, 웨이트 훈련, 스포츠(축구, 소프트 볼), 여가활동(등산)의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척추손상 환자의 사회적응을 돕기위한 재활 프로그램의 다양화를 꾀하기 위한 기초 선행 작업으로 시작되었다. 신체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측정도구는 관절가동범위(Range of Motion), 수동근력검사(Muscle Manual Test), 경직(Spasticity), 신체체력(Physical Fitness), 발란스(Balance: one leg stand), 상대적인 등속성 하지근력(Isokinetic Muscle Strength) 그리고 신체조성(Body Composition)로 하였다. 재활기간을 통해 처음 시작 일자에서 45일 간격으로 3차례의 측정을(1월 3일부터 4월 28일까지 실시하였다) 실시하였다. 최초 환자의 상태는 부분적으로 일상생활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상태로 동작을 시작하려 할 때 경직이 발생되어 옷을 입고 벗기, 신발 신고 벗기, 운전, 식사, 보행과 계단보행, 경사보행에서 보조자의 도움이 필요했으며, 작은 물건 잡기와 글씨쓰기, 타이핑 작업은 불가능 한 상태였다. 또한 스포츠 활동과 여가활동 역시 불가능 한 상태였다. 3달 15일간의 기간 동안 환자는 복학을 준비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치료에 임했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신체조성은 재활 훈련을 통해 체중, 체지방율(%), 복부지방율(WHR)의 많은 감소를 가져왔다. 경직을 측정하는 Ashworth Scale은 정상에 가깝게 감소하였다. 관절가동범위는 고관절, 무릎, 발목에서 모두 증가하였다. 수동근력검사(0-9)는 많은 향상을 가져왔다. 신체체력능력 항목에서 근지구력의 윗몸일으키기와 팔굽히기, 악근력, 유연성으로 앉아 체간 숙이기, 민첩성으로 사이드 스텝, 순발력의 서전트는 모두 크게 향상되었다. 환자의 일상능력에서도 옷을 입고 벗기, 신발 신고 벗기, 운전, 식사, 보행과 계단보행, 경사보행에서 보조자의 도움이 필요없었으며, 타이핑 작업은 5손가락을 모두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1분에 80타로 큰 향상을 가져왔다. 또한 축구와 소프트볼, 등산을 달에 1회 정도 실시하여 약간의 도움만으로 가능하게 되었다.

  • PDF

만성 뇌졸중 환자 8자 모양 경로 보행 검사의 측정자간·절대적 신뢰도와 타당도 (The inter-rater absolut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Figure-of-8 Walk test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 박창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467-47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뇌졸중 환자 8자 모양 경로 보행 검사(Figure-of-Eight Walk Test, F8WT)의 측정자간 절대적 신뢰도와 타당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만성 뇌졸중 환자 3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F8WT 소요 시간의 측정자간 신뢰도는 급간내상관계수(Intra Class Coefficient, $ICC_{2,1}$)를 구하였고, 절대적 신뢰도는 측정의 표준 오차값(Standard Error Measurment, SEM)과 최저 실제 차이(Small Real Difference, SRD)를 구하였다. F8WT 소요시간의 타당도는 뇌졸중 자세 평가 척도(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SS)와 체간 장애 척도(Trunk Impairment Scale, TIS)간의 스피어만 상관 계수(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를 구하였다. 연구 결과 F8WT 소요 시간의 측정자간 신뢰도 ICC=0.95(0.91~0.97)로 매우 높았고, SEM과 SRD는 각각 1.02점, 2.82점으로 수용할 만 하였다. F8WT 소요 시간은 PASS(r=-0.82), TIS(r=-0.85)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뇌졸중 환자의 특이성 장애인 자세 및 체간 조절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F8WT는 만성 뇌졸중 환자의 보행 능력을 평가하는데 유용한 평가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뇌졸중 환자의 체간 조절 수준이 균형과 보행 및 기능적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runk Control Ability on Balance, Gait, and Functional Performance Ability in Patients With Stroke)

  • 안승헌;정이정;박세연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33-42
    • /
    • 2010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rrelations of the Trunk Control Test (TCT),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SS-TC), and Trunk Impairment Scale (TIS) and to compare the TCT, PASS-TC, TIS and its subscales in relation to balance, gait and functional performance ability after stroke. Sixty-two stroke patients attending a rehabilitation program participated in the study. Trunk control was measured with the use of TCT, PASS-TC, TIS balance (Berg Balance scale; BSS), gait ability (10 m walk test), functional performance ability (Tuned Up and Go Test TUG) and the mobility part of the Modified Barthel index (MBI), Fugl Meyer-Upper/Lower Extremity ($FM-U{\cdot}L/E$), The scatter-plot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omposed for the total scores of the TCT, PASS-TC, and TIS.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impact of trunk control on balance, gait, and functional performance ability. Twenty eight participants (45.2%) and twenty participants (32.3%) obtained the maximum score on the TCT and PASS-TC respectively; no subject reached the maximum score on the Trunk Impairment Scale.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TIS and TCT (r=.38, p<.01), PASS-TC (r=.30, p<.05), TCT and PASS-TC (r=.59, p<.01).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BBS score (${\beta}=.420{\sim}.832$) had slightly more power in predicting trunk control than the $FM-U{\cdot}L/E$. TIS-dynamic sitting balance, TUG and the MBI-mobility part. This study 치early indicates that trunk control is still impaired in stroke patients. Measures of trunk control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values of balance, gait and functional performance ability. The results imply that management of trunk rehabilitation after stroke should be emphasized.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체간 조절과 기능적 수행능력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ural Control and Functional Performance Ability in Subacute Stroke Patients)

  • 안승헌;조규행
    • PNF and Movement
    • /
    • 제10권3호
    • /
    • pp.7-18
    • /
    • 2012
  • Purpose :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 Trunk Control Test(TCT),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PASS-TC), and Trunk Impairment Scale(TIS) and its subscales in relation to the difference MBI(Modified Barthel Index), BBS(Berg Balance Scale), and to establish the association between MBI, BBS, Fugl Meyer-motor function(FM-M), and to predict MBI-subscales from the variables. Methods : 58 stroke patients, attending a rehabilitation programme, participated in the study. Trunk control was measured with the use of the TCT, PASS-TC, TIS, and the performance of Activities daily living was obtained by MBI, and dynamic balance ability(by BBS). Trunk control scores from the difference MBI, BBS were compared using the 1-way ANOVA(Mann Whitney U test)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 product correlation.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identify prognostic factors for ADL subscale. Results : Trunk control scor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BI(F=2.139~13.737, p<.05~.001), BBS(t=3.491~7.705, p<.01~.001). It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value of the MBI(r=.25~.50), BBS(r=.38~.68), FMM( r=.31~.48). Stepwise linear regression analysis showed an additional, significant contribution of the TCT, in addition to the PASS-TC, dynamic sitting balance subscale of the TIS for measures of MBI subscales. Conclusion : Measures of trunk control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values of MBI, BBS score, so the management of trunk rehabilitation after stroke should be emphasized. The use of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cales was shown to be a good measuring instrument for the classification of the general performance of the stroke patients. Further study about trunk control is needed using a longitudinal study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