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청년 문제

Search Result 224,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Study on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Single Youth Households Tenants (청년 1인가구 임차인의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부산·경남지역을 중심으로)

  • Kwon, Jeongpyo;Kang, Jeonggyu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3 no.2
    • /
    • pp.65-79
    • /
    • 2022
  • To suggest implications of future housing problems, this study investigates which characteristics affect the housing satisfaction of young single households. Using the survey data, we perform the multiple regression and decision tree models based on the SPSS Statistics 25.0. Our empirical results show several key features. First, housing characteristics and intention to continue single households had a positive (+) effect on housing satisfaction, in the order of natural, housing,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intention to continue single households. Second, housing characteristics and intention to marry in the future had a positive (+) effect on housing satisfaction in the order of natural, housing,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Third, housing characteristics and intention to increase household members in the future had a positive (+) effect on housing satisfaction, in the order of natural, housing,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satisfaction. Finally, the results of the decision tree model show that the natural characteristics were over 3.4, and housing satisfaction was the highest in the case of Jeons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three implications for policymakers. First, improv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young single households is important. Second, providing customized housing for young single households could enhance the housing satisfaction of young people. Finally, housing provision needs to be carried out with suitable space for the lifestyle of young single households.

On change of manual dexterity with ageing (연령증가에 따른 수지교류성의 변화에 대하여)

  • 신승헌;서승록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3.10a
    • /
    • pp.33-37
    • /
    • 1993
  • 근래 우리나라에서도 평균수명이 길어져 노동의욕이 있는 중고령자가 증가하는 한편, 출산율이저 하되어 젊은 근로자의 수가 감소되고 있다. 통계청의 인구통계과의 추계에 의하면 2000년에는 60세 이 상이 총인구에 점하는 비율이 10.7%, 65세 이상은 6.8%가 되고, 2020년에는 60세 이상이 19.5%, 65세 이 상도 12.5%에 도달한다는 것이다. 인구노령화로 인한 고령화 사회에 대한 준비를 서둘러야 할 때라고 생각된다. 또 고령화 사회로 되면 젊은 연령층의 경제적 부담이 증가되므로 중고령자의 노동인구를 이대 로 방치해 두는 것은 국가적으로나 사회복지적으로나 불경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문제가 되는 것은, 중고령자를 취업시키는 것이 오히려 사회의 생산성을 저하시키거나 경제적으로 불리하게 되어서는 안되는 것과 중고령노동자 자신의 안전을 확보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고용에 있어 서 어떠한 점에서 중고령노동자에게 특징과 문제가 있는가를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고령자는 청년자 보다 노동능력이 떨어지는 특징과 문제가 있는가를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고령자는 청년자 보다 노동능력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지만 개인차도 크고 고령자 중에는 청년자의 기능에 비교해도 뒤떨어지지 않는 자도 있다. 연령만으로 노동능력을 판정하는 것은 적절한 방법이라고 할 수 없다. 문헌에 의하면 역연령(chornological age)이 25세의 경우, 생리적 연령은 23세에서 27세로 4년 차이가 있다고 한다. 이러한 생리적 연령의 차이는 역연령이 더해감에 따라서 점차 크게 되어 역연령이 45세에서는 12년, 80세 에서는 20년이나 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인간에 있어서 시간적 경과를 나타내는 역연령 이외에 신체적 기능연령(functional age)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한편, 생산현장에서는 자동화, 기계화가 진보되어 육체적인 노동이 경감된 결과, 중고령자라도 할 수 있는 작업이 많아지고 있다. 또, VDT (Visual Dislay Terminal) 작업과 같은 정보처리 작업의 수요가 증가하여 그 인재의 부족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중고령자의 기능을 조사하여 어떠한 작업에 적합한가를 판단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되었다. 그러나 노동에는 많은 기능이 관여 하고, 그 내용에 따라서 요구되는 기능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노동적응능력의 기본적인 기능으로 보여지는 것에 좁혀서 작업능력의 연령증가 변화에 대하여다원적 평가를 하는 것이 실제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다수의 기능중에서 수지교 치성과 연령증가와의 관계를 조사한다. 만약 연령증가 만으로 수지교치성을 평가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어떠한 요인이 수지기민성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토한다.

  • PDF

Joblessness among the Highly Educated Youth in Korea: The Causes and Policy Implications (고학력 청년층의 미취업 원인과 정책적 대응방안: 일자리 탐색이론을 중심으로)

  • Kim, Yong-seong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34 no.3
    • /
    • pp.67-94
    • /
    • 2012
  • Despite continuous efforts of the government, youth joblessness in Korea has remained as a top policy priority. At this end, the study focuses on the causes of youth labor market problems and tries to seek for policy directions. While the previous research attempted to explain youth joblessness based on the labor demand and supply, this study follows a job search model which emphasizes a job matching process. A theoretical model and empirical results predict that a mean duration of unemployment could decrease if an implicit income of unemployment declines or a rate of job offer rises. From policy point of view, it is advisable to raise incentives for labor demand and to strengthen employment services because a policy to lower an implicit income of unemployment may not secure policy target efficiency.

  • PDF

The Vicious Cycle of Regional Exodus: Examining the Economic Environment of Birthplace and the Out-migration of Young Individuals (지역이탈의 악순환: 출생지의 경제 환경과 청년 취업자의 지역이탈)

  • Wonchang Hur;Song Hyun Seo;Bogang Jun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40 no.1
    • /
    • pp.53-67
    • /
    • 2024
  • Regional migration is a problem faced by all non-metropolitan areas in Korea, but the extent of migration varies depending on regional economic conditions. This study examines how the extent of youth migration varies depending on the economic conditions of their birthplaces. The results showed that youth migration was more severe in areas suffering from population decline and aging problems. The smaller the economy and the weaker the financial independence of the region, the more severe the youth migration. In particular, commercial, educational, and cultural facilities, except for medical facilities, were not able to curb youth migration.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wage gap between those employed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ose employed in the regions, regardless of their origin. This suggests that non-metropolitan areas are caught in a vicious cycle of regional economic deterioration and youth migration.

대학생의 개인적 특성이 창업 의지에 미치는 영향 : 창업의 직·간접적인 경험 조절에 따라

  • Jeong, Bo-Hui;Yang, Yeong-Seok;Kim, Myeong-Suk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9.11a
    • /
    • pp.95-99
    • /
    • 2019
  • 외환위기 이래 현재까지 대한민국의 가장 큰 사회 문제 중 하나로 대두되고 있는 청년 실업문제의 해결 방법 중 하나로 정부에서는 창업을 적극 권하고 교육부, 중소기업청 등의 여러 정부기관들이 많은 예산과 지원 정책을 시행하고 지원하면서 청년 창업을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학생이 창업해 성공한 스타트업 기업의 사례가 늘어나면서 대학생들의 창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반면, 창업을 꿈꾸는 대학생 중 사업 아이디어를 가지고 창업을 준비하면서 중도 포기하는 학생들도 많으며 실제 창업을 하고도 폐업하는 실패사례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개인적 특성이 창업의 직 간접적인 경험 조절에 따라 창업 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고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개인적 특성이 창업 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창업의 직 간접적인 경험 조절로 진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의 개인적 특성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직 간접경험을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진행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elf-Employment and Activation Methods: Young People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청년자기고용(self-employment) 특성과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 및 경기도를 중심으로)

  • Choi, Ki-Sung;Kim, Youn-Jo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9
    • /
    • pp.217-233
    • /
    • 2022
  •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deriving a revitalization plan by analyz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haracteristics and perception of self-employment and self-employment selection of young people. To this end, discussions on self-employment and the size of workers were reviewed, and the characteristics, determinants, and difficulties of self-employment youth were analyzed based on data from a survey of youth in Seoul and Gyeonggi-do. The support plan proposed through the analysis should first strengthen the program so that the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schools can all gain experience in the practice of developing ideas, producing, and selling based on aptitude and competency to solve youth employment problems. Next, compared to support for technology-based start-ups, there are no suitable programs in the fields of knowledge, manufacturing, and distribution, and there is almost no support for freelancers in which the majority of young people are engag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support projects so that the diversity of young people can be expressed in self-employment. Finally, it was found that entrepreneurship had an important influence on self-employment. However, Korean teenagers do not know what entrepreneurship is and have no experience in education, so they should focus on cultivating entrepreneurship in the regular curriculum and establishing a cultural foundation to foster young leaders with creative ideas and execution.

Analyzing Perceptions of Unused Facilities in Rural Areas Using Big Data Techniques - Focusing on the Utilization of Closed Schools as a Youth Start-up Space -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한 농촌지역 유휴공간 인식 분석 - 청년창업 공간으로써 폐교 활용성을 중심으로 -)

  • Jee Yoon Do;Suyeon Kim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32 no.6
    • /
    • pp.556-576
    • /
    • 2023
  •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a way to utilize idle spaces in rural areas as a way to respond to rural extinction. Based on the keywords "startup," "youth start-up," and "youth start-up+rural," start-up+rural," the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perception of idle facilities in rural areas through the keywords "Idle facilities" and "closed schools." The study presented basic data for policy direction and plan search by reviewing frequency analysis, major keyword analysis, network analysis, emotional analysis, and domestic and foreign cas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idle facilities and school closures are acting importantly as factors for regional regeneration. Second, in the case of youth startups in rural areas, it was found that not only education on agriculture but also problems for residence should be solved together. Third, in the case of young people,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necessary to establish digital utilization for agriculture by actively starting a business using digital. Finally, in order to attract young people and revitalize the region through best practices at home and abroad, policy measures that can serve as various platforms such as culture and education as well as startups should be presented in connection with local residents. These result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presented implications for youth start-ups in rural areas by reviewing start-up recognition for the influx of young people as one of the alternatives for the use of idle facilities and regional regeneration, and if additional solutions are presented through field surveys, they can be used to set policy goals that fit the reality.

편견과 차별을 넘어서 -감염인 특성에 맞는 일자리 필요-

  • 이미영
    • RED RIBBON
    • /
    • s.55
    • /
    • pp.14-15
    • /
    • 2003
  • 청년실업, 명예퇴직, 노인취업문제 등 나이고하를 막론하고 모든 연령층에서 노동력에 대한 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나 공급은 과거보다 훨씬 줄어들었다. 특히 건강한 에이즈감염인들의 경우 건강에 이상이 없기 때문에 노동에 대한 욕구는 크지만 그들이 처한 상황 특성상 노동의 기회는 제대로 주어지지 않고 있다.

  • PDF

대학 창업교육이 진로에 미치는 효과성에 대한 연구

  • An, Tae-Uk;Park, Jae-Hwa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04a
    • /
    • pp.60-60
    • /
    • 2017
  • 4차산업혁명 시대에 대학교육은 창의적 인재육성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또한 청년실업율 상승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대책으로 청년창업으로 진로를 개척할 수 있도록 대학에서부터 창업을 보다 활성화 시키지위한 정책과 지원을 확대되기 시작하였다. 대학교육의 교과 비교과 교육커리큘럼 역시 시대적 요구에 맞춰 변화하고 있으며 창의성 역량을 강조하는 창업교육이 확산되고 있다. 대학의 창업교육을 통한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등 창의성역량 함양과 도전정신을 강조하며 기업가정신을 함양하는 추세이다. 이는 작금의 시대가 요구하는 창의적 인재상과 일치하며 정부와 대학에서도 창업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하지만 창업교육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함에 있어서 창업의지, 창업성과, 청년창업 등 창업에 관련된 단편적 측면으로 연구가 많이 되고 있다. 즉, 창업교육에 대한 다양한 효과성 측면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차별적으로 창업교육을 통하여 사회에 진출을 앞두고 있는 대학생의 진로준비와 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실증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 8월부터 지역 거점별 5개 대학교의 창업교육을 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실시하여 393개의 표본으로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창업교육을 통한 역량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었다. 다만 창업교육의 협업적 의사소통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은 창업가정신과, 자기효능감을 통해 매개효과로 진로준비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또한 창업교육의 협업적의사소통능력, 창의적문제해결능력이 창업가정신과 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창업가정신과 자기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의 영향을 미치는 실증적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단순히 대학의 창업교육을 시키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창업교육을 통하여 창업가정신과 자기효능감을 고취 함양시킴으로써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점과 창업가정신과 자기효능감이 중요한 요인이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향후 대학 창업교육의 효과성에 대한 측정과 평가에서 창업과 같은 실무적 성과 접근뿐만 아니라 사회진출을 위한 진로 영역 등과 같이 다각도의 효과와 올바른 방향성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 PDF

Exploring the Transnational Mobility and Work Experience of Young Koreans in Singapore (초국적 이동성과 일 경험: 한국 청년들의 싱가포르 해외취업 사례 연구)

  • YUK, Joowon
    • The Southeast Asian review
    • /
    • v.28 no.3
    • /
    • pp.111-158
    • /
    • 2018
  •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recent increase of young Koreans working in the low-skilled service sector in Singapore. Such rapid increase largely results from the Korean government's initiatives to promote labour migration of young people and the concurrent proliferation of migration agencies, against the background of growing youth unemployment in South Korea. By exploring the motivations and trajectories of young people's labour migration to Singapore, this study examines to what extent they think their expectations have been met and how they interpret their migration and work experiences.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that examines the actual voices of young migrants as part of migration studies, whilst the majority of previous research focuses on the evaluation of government support programmes based on job matching rates, surveys of participant satisfaction and etc. Young people who went to Singapore to improve their English language skills and qualifications for future employment in Korea have become frustrated due to low-skilled service jobs that consist of low pay and high labour intensity. Their credentials are devalued and they experience deskilling through this migration process. Most of them were discontent with the Korean migration agencies they used and critical about programmes offered by government institutions and universities/colleges. Despite being subject to deskilling, they did try to actively cope or resist this situa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various ways these migrants attempted to manage the gap between their initial expectations and reality. It also demonstrates how these migrants interpreted their work experiences after returning to Korea: whilst most of them did not cash off their Singapore work experience for a decent job after returning to Korea, they did not define their experience as a complete failure. Adding to cultural, social capital they gained through this experience, they acquired 'mobility capital' which includes confidence, the desire to move, and capacity to control one's own mov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