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청감

Search Result 145,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Rating Floor Impact Noise in Apartment Buildings Through Subjective Evaluation Tests (청감실험에 의한 공동주택 바닥충격음의 평가등급 설정)

  • 전진용;류종관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2 no.2
    • /
    • pp.88-95
    • /
    • 2003
  • The auditory experiments based on subjective responses were undertaken for the standard heavy and light weight impact noise and rubber ball impact noise, jumping noise to investigate relations between floor Impact noise levels and subjective responses and to establish the upper/lower limits of floor impact noises.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relations between floor Impact noise levels and subjective responses was linear and the lower limit of heavy-weight impact noise was L/sub i, Fmax, AW/=46㏈ and the lower limit of light-weight impact noise was L'/sub n,AW/=56㏈. Finally the 3 subjective classes of floor impact noises were established.

Evaluation Method of Floor Impact Noise Generated by Standard Bang Machine (중량충격음원에 의한 차음성능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 전진용;박영환;박해존;김상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1.05a
    • /
    • pp.1077-1082
    • /
    • 2001
  • 기존의 타이어를 사용한 중량충격음에 대한 차음성능 평가방법의 타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청감실험에 의한 감성적 반응결과와 L등급 및 Leq에 의한 평가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동일한 바닥충격원에 대한 분석결과 L등급평가 보다 Leq에 의한 평가가 청감실험의 반응에 잘 대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Zwicker parameters 중 Loudness와 Unbiased Annoyance는 청감실험과 가장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 PDF

Development of a Kansei Analysis System on the Physical User Interface (사용자 만족도개선을 위한 PUI(Physical User Interface)의 조작감성 평가체계 수립방안)

  • Oh, Jin-Wook;Park, Jong-Hyun;Jo, Jang-Hyeon;Lee, Cheol;Yun, Myung-Hwa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1194-1200
    • /
    • 2006
  • 사용자-제품 상호작용(User-product interaction)의 관점에서 사용자의 만족도는 제품의 사용편의성(Usability)과 감성품질에 의해서 결정된다. 특히, 물리적으로 사용자와 제품의 기능을 연결하는 PUI(Physical User Interface)의 감성품질은 시각뿐 아니라 촉감, 동작감, 청감 등의 사용자의 다양한 감성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문헌조사에 의하면, 사용자의 감성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제품의 시각적 감성품질에 관련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촉감, 동작감, 청감 등의 감성품질에 관련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제품의 전체적인 감성품질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제품과 사용자가 상호작용하는 PUI의 전반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User Satisfaction)의 정량적인 평가가 필수적이며, PUI의 감성품질을 구성하는 시각에 대한 고려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조작장치를 잡는 느낌, 조작장치가 움직일 때의 동작감, 조작장치 작동 시의 청감 등 사용자와 조작장치 간에 일어나는 상호작용 전반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PUI의 구성요소 중 동적인 조작장치의 촉감, 동작감, 청감에 대하여 문헌 조사를 통해 조작 장치의 감성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체계적으로 파악하였고, 감성의 요소를 중복 설명하지 않는 상호독립적인 의미를 가진 감성 형용사를 수집하고 분류한 후, 추출한 형용사를 기초로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사용자들의 설문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구조방정식 기법을 사용하여, 조작장치의 전체적인 사용자 만족도와 촉감, 동작감, 청감 간의 상관관계 모형을 수립하였다. 또한 구조방정식의 결과를 바탕으로 인간공학 전문가와 제품설계 전문가로 이루어진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여 잡는 느낌, 동작감, 청감과 관련된 조작장치의 적절한 설계 변수를 결정한 후 설계값을 측정하였으며 감성 만족도와 측정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감성품질 요소의 정량화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실제 산업현장에서 제품개발자들이 사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제품 설계요소들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평가하고, 감성품질을 결정하는 설계특성값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ound Quality Characteristics for Interior Noise of High Speed Train (음질평가를 통한 고속철도 실내소음의 객관적, 주관적 특성 분석)

  • Park, Jun-Hong;Park, Buhm;Kim, Dong-Kyu;Choi, Su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05a
    • /
    • pp.510-510
    • /
    • 2010
  • 우리나라에서 고속철도는 이미 중요한 대중교통수단 중 하나가 되었으며 향후에도 운행구간을 확대할 예정인 만큼 승객수도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승객수가 증가하는 만큼 정숙한 실내환경의 조성 또한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철도차량 소음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철도 외부에서 방사되는 소음에 한정되어 있으며 철도차량의 내부 소음 특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다. 현재 국내 환경소음에 대한 규정은 음압레벨만을 기준으로 하고 있지만 실제로 사람이 소음에 대하여 느끼는 청감특성을 나타내기에는 음압레벨만으로는 부족하다. 사람의 청감특성을 효과적으로 반영하기 위하여 음질(Sound Quality)평가의 방법에 대해 현재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운행중인 고속철도 실내 소음의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음압레벨과 loudness의 관계에 대하여 분석하였고 Zwicker parameter과 ACF, IACF 분석을 통하여 객관적인 음질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청감실험을 통하여 주관적인 음질평가를 수행하여 청감특성에 대하여 분석하고 객관적 평가의 결과를 검증하였다.

  • PDF

Feasibility Study on the Use of the Thermal Sense as an Complementary Media for Pseudo-Aural Sense Display (유사 청감 재현 보조 매체로의 열감 활용 가능성 연구)

  • Oh, Hyun Suk;Kwak, Hyun Koo;Kim, Sung Mok;Cheong, Joono;Kim, Wheekuk;Choi, In Mook;Park, Yeon Kyu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5 no.4
    • /
    • pp.441-452
    • /
    • 2012
  • Recently, various researches have been attempted to effectively display pseudo-aural senses to the hearing-impaired or the deaf, using vibro-tactile stimulus as well as visual sense. Particularly, it is reported that as complementary senses to support the visual sense, tactile senses displayed by either speakers or vibration motors improve the reality sense significantly but do not nearly improve the emotional sense. Thus, in this study, the thermal sense is selected as another complementary sense to support the pseudo-aural sense display and it is investigated whether the thermal sense could generate a pseudo-aural sense or not. For this purpose, a thermal display module which could effectively display the desired thermal sense is implemented. Then, experiments have been conducted to subjects, which provide them with various types of stimuli combined with the aural, the vibrotactile, and the thermal stimuli along with the visual information. It can be confirm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on the data collected from experiments, that subjects could feel a pseudo-thermal sense closer to the real thermal sense which the normal subject feel from both the visual and the aural information, particularly either i) with the thermal stimulus along with the visual information or ii) with both the thermal and the vibrotactile stimuli along with the visual information than only with the visual information. Conclusively,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thermal stimulus applied to the skin of the subjects could play a role of effectively displaying pseudo-aural sense related to the thermal sense, as an complementary media for the pseudo-aural display.

  • PDF

Sound Field Control System for Multipurpose Halls (다목적 홀의 음장 가변 시스템)

  • Kang Sung-Hun;Lee Jai-Wo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283-286
    • /
    • 2001
  • 본 논문은 전기적으로 음장을 가변하여 청감적 인상에 변화를 주는 실험 결과를 기술하였다. 본 실험은 마이크로폰으로 무대의 음원을 수음하고 잔향기로 옆방향 반사음과 잔향음을 각각 생성하여 스피커로 출력하였다. 실험 결과 실내의 청감적 인상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또 음원 수음 시 발생하는 하울링, 실내 잔향과 다른 스피커의 음색, 잔향기에서 발생하는 음색 변조 둥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였다.

  • PDF

Composition of Subjective Evaluation Scale for Traffic Noise (청감실험을 통한 교통소음의 소음평가척도 구성)

  • 서형균;류종관;전진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3.11a
    • /
    • pp.521-526
    • /
    • 2003
  • In this study the traffic noises were investigated for the subjective allowing limitation ion and the testified classes, 7 point scale was selected to evaluate the annoyance level with vocabularies. As a result, 'relatively annoying' is the most suitable expression for the allowing 1imitation, and the sound pressure levels for the traffic was 44.4㏈.

  • PDF

A New Structure of Hybrid DRC to Enhance the Sound Quality of a Digital Amplifier (디지털 오디오 앰프의 청감 향상을 위한 하이브리드 DRC 구조에 관한 연구)

  • Kim, Sung-Woo;You, Hee-Hoon;Choi, Seong Jhin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21 no.4
    • /
    • pp.621-629
    • /
    • 2016
  • This paper suggests a new structure of hybrid DRC to enhance the psychoacoustic sound quality of a conventional multiband DRC. The proposed hybrid DRC consists of two serially cascaded stages. The front stage DRC is multiband, and it compresses input based on RMS level detection, whereas, the back stage DRC is single band, and it regulates input according to peak level detection. The proposed hybrid DRC shows better loudness while suppressing distortion by clipping. The proposed algorithm was verified through MATLAB simulation, and it was implemented using an FPGA board for listening test. The test result showed that the proposed hybrid structure enhances overall psychoacoustic sound quality compared to conventional structures, which is based on only RMS or peak level detection.

Transportation noise annoyance in a simulated environment (가상의 음 재현 환경에서의 교통소음에 대한 주관적 반응)

  • Kim J.;Lim C. W.;Jeong W.;Hong J.;Lee S.;Jeung W.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225-228
    • /
    • 2004
  • 환경소음에 관한 연구는 주로 소음노출지역에 대한 소음 측정 및 사회적 조사(Social Survey)를 토대로 이루어 졌다. 이는 장기간 소음에 노출된 사람에 대한 소음평가의 수단뿐만 아니라 소음관련 법안 제정에 있어서 규제치를 결정하는 기준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본 논문에서는 소음에 대한 순간적인 반응 즉, 짧은 순간의 소음노출에 대한 주관적 반응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방법적 측면(Methodology)에서의 제약으로 인하여 가상의 음 재현장치의 구성을 통하여 일반인을 대상으로 청감반응실험을 할 수밖에 없다. 먼저 항공기, 기차, 자동차 소음의 샘플을 녹음하여 일련의 신호처리 과정을 통하여 청감반응실험에 사용될 음원을 만들고, 청력검사를 통하여 청각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되는 피검자의 데이터는 배제시킨 후 실험을 행하였다. 이러한 청감반응실험을 통하여 소음원의 종류, 성별, 연령, 소음 민감도 등에 따라 소음에 대한 성가심, 불쾌감의 정도는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 PDF

Investigation of the Preferred Acoustic Characteristics in Concert Halls (콘서트 홀에서 선호되는 음향특성에 관한 연구)

  • Choi Young-Ji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4 no.2
    • /
    • pp.111-116
    • /
    • 2005
  • This study deals with a subjective assessment to investigate the preferred acoustic conditions and determine the important acoustical parameters in concert halls. A subjective test was carried out using dummy head recorded sounds made in actual halls in Australia (referred to as Hall A and Hall B) to evaluate the acoustic performance of two halls. The results of subjective tests were then correlated with measured acoustical parameters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t determinants for the preference judgements. The listeners show a stronger Preference for seats in the Hall B than those in the Hall A. The low preferences for seats in the Hall A are in agreement with live performance ratings assessed by musicians. It is found that the sound level is the most significant acoustical parameter for evaluating the overall acoustic preference in the two ha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