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첨가

검색결과 26,062건 처리시간 0.047초

모링가 잎 분말을 첨가한 머핀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Added with Moringa (Moringa oleifera Lam.) Leaf Powder)

  • 정경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872-87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머핀의 품질향상을 위한 기능성 천연소재의 개발을 위해 당뇨병과 고혈압 예방, 항산화 작용 및 해독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모링가 잎 분말을 0%, 1%, 3%, 5% 및 7%를 첨가한 머핀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과 생리활성을 탐색하였다. 머핀의 중량은 64.69~65.81 g으로 모링가 잎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높이는 5.58~6.08 cm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5), 굽기 손실률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머핀의 pH는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5), 수분함량은 3% 첨가군에서 30.48%로 가장 높았으나 첨가군들 사이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머핀의 기계적 특성에서 경도는 무첨가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1% 첨가군과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응집성은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탄력성은 무첨가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모든 시료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씹힘성과 파쇄성은 무첨가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1~5% 첨가군들과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모링가 잎 분말을 첨가한 머핀의 총페놀 함량은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P<0.05), DPPH 라디칼 소거능 또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모링가 잎 분말을 첨가한 머핀의 알코올 분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ADH 및 ALDH 활성 모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머핀의 관능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외관에 대한 기호도는 7% 첨가군에 가장 높게 나타났고, 내부 색과 맛에 대한 기호도는 무첨가군, 향은 5% 첨가군, 조직감은 1% 첨가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3% 첨가군에서 5.4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7% 첨가군에서 4.70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지만,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모링가 잎 분말을 3% 수준까지 첨가하여 머핀을 제조한다면 관능적 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생리활성이 향상된 머핀을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모링가 잎을 이용한 식품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체외성숙 배지에 amino acid 첨가가 배발달율과 세포수에 미치는 영향

  • 이재협;박용수;최수호;변명대;박흠대
    • 한국발생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발생생물학회 2003년도 제3회 국제심포지움 및 학술대회
    • /
    • pp.115-115
    • /
    • 2003
  • 아미노산은 수정란의 체외생산에 있어서 배발달에 유효하게 작용한다. 이러한 이유로 체외배양 단계에 아미노산 첨가에 관한 보고는 많지만, 체외성숙 단계에서의 아미노산 효과와 관련된 보고는 소수이다. 본 실험에서는 먼저 체외성숙 배지에 NEAA와 EAA군들의 첨가 농도가 PB 출현율, 배발달율 그리고 생산된 배반포의 세포수에 미치는 영향과 더불어 새로운 아미노산원으로 LAH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체외성숙을 위한 난포란은 도축 한우 난소에서 2-8mm의 가시난포로부터 회수하였다. 체외성숙용 배지는 10% FBS가 첨가된 CRlaa 용액을 사용하였고, 실험1에서는 NEAA와 EAA(20$\mu l$/ml)군을 각각 $\times$l (NEAA:10$\mu l$/ml, EAA:20$\mu l$/ml), $\times$2 및 $\times$4를, 실험2에서는 LAH를 각각 1, 5 및 10 mg/ml를 첨가하였다. 체외수정은 fer-TALP 용액을, 체외배양은 CRlaa 용액을 배양 2일째까지는 0.3% BSA를, 그 이후에는 10% FBS와 난관상피세포를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배양 8일째 확장배반포의 세포수를 조사하기 위하여 이중형광염색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X^2$-test를 이용하였다. 실험 1에서 NEAA와 EAA 첨가 농도에 따른 PB 출현율은 $\times$l 첨가군(46.6%)이 대조군(29.9%)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 수정을, 8세포기 및 배반포까지 발달율은 비슷한 경향이었으나, $\times$l 첨가군이 가장 높았다. 한편 ICM 세포수가 아미노산 첨가 농도의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특히 $\times$4 첨가군($23.9 \mu 3.9$)이 대조군($14.8 \mu 2.5$)에 비하여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실험 2에서 LAH 첨가에 따른 핵성숙율은 5mg 첨가군, 배반포까지 발달율은 1mg 첨가군(25.9%)이 각각 가장 높았다. 배양 8일째 배반포의 세포수에 있어서 총세포수와 TE 세포수는 차이가 없었으나, ICM 세포수가 l0mg 첨가군에서 가장 높았다. 본 실험 결과에서 체외성숙 배지에 NEAA와 EAA 첨가가 배발달율에는 효과가 없었지만, 첨가농도의 증가에 따라 ICM 세포수가 증가하였다. 한편 체외성숙 배지에 LAH 첨가는 첨가 농도가 높을수록 배발달율은 낮았지만 ICM 세포수는 증가하였다.

  • PDF

윤활유 첨가제들의 상호작용에 의한 마찰 마모 특성의 변화

  • 강석춘
    • 한국윤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윤활학회 1989년도 제10회 학술강연회초록집
    • /
    • pp.16-40
    • /
    • 1989
  • 엔진오일 첨가제는 오일 전체의 성질에 영향을 주는 것과 윤활 부품의 표명 성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표면 작용용 첨가제 들의 상호작용은 기대이하의 성능을 발휘하는 경우가 있고 그 원인은 첨가제의 상호작용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가능한 범위내에서 실험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현대자동차의 엔진과 변속기에 요구되는 윤활유 성능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기유에 요구되는 적당한 성능을 발휘하기 위한 특수한 첨가제를 넣어주어야만 한다. 그러나 첨가제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한가지 첨가제의 특성은 그 자체를 실험한 경우와 매우 상이한 결과가 완전히 혼합된 오일에서 나타남을 경험하게 된다. 이것은 첨가제들 자체의 상호작용에 의한 원인으로 암시되지만 이들에 관련된 연구나 지식은 상당히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첨가제으 상호작용에 관한 실례를 찾아보고 관련자료를 검토해 보는 것은 의미있는 일이라 생각된다. 윤활오일 첨가제가 오일 자체의 성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점도 시수향상제, 산화 방지제 같은 것이 있고 마찰 표면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내마모성 첨가제, 극압첨가제, 청정제, 분산제, 마찰 계수 감소제 등으로 크게 구분된다. 오일자체에 영향을 미치는 첨가제는 서로 별개로 작용하지만 그래도 상호 반응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유기 억제제와 과산화물 분해형식의 산화억제제의 혼합물은 산화억제 성능을 최대화 시켜준다.

  • PDF

메밀가루를 첨가한 스펀지 케이크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with buckwheat powder)

  • 이선호;배종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04-210
    • /
    • 2015
  • 메밀가루의 첨가농도를 0~30%로 달리하여 스펀지 케이크를 제조하고 케이크의 기호적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및 제과적성을 조사하였다. 반죽의 비중은 메밀가루 첨가구는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케이크 crumb의 L값은 메밀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메밀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a값은 증가, b값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대조구에 비해 밝기는 어두워지고 적색은 강하게 그리고 황색을 약하게 띄었다. Crust의 L값은 대조구에 비해 메밀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a값은 유의적으로 낮은 값으로, b값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케이크의 부피지수는 메밀가루 10% 첨가구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20%와 30% 첨가구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케이크의 부피가 작아짐을 볼 수 있었다. 대칭성지수는 메밀가루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균일성지수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메밀가루 첨가구는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케이크의 부피는 메밀가루 10% 첨가구가 가장 크게 나타났고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메밀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작은 부피를 나타내었다. 케이크의 무게는 대조구가 가장 가볍게 나타났고 메밀가루를 첨가한 모든구에서는 첨가량과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이 무겁게 나타났다. 굽기손실율은 대조구가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에 비해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비용적은 대조구와 메밀가루 10% 첨가구와는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메밀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케이크의 경도는 대조구가 가장 높은 경도값을 보였고 메밀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은 경도 값을 보였다. 관능검사에서 색상은 대조구에 비해 메밀가루 10% 첨가구가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메밀가루 30% 첨가구를 제외하고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맛은 메밀가루 30% 첨가구는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얻었고 나머지 메밀가루 첨가구는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향미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메밀가루 모든 첨가구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케이크의 조직감과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메밀가루 20% 첨가구까지는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30% 첨가구는 유의적으로 낮은 점수를 얻었다. 스펀지 케이크의 관능적 품질과 건강 기능성 효과를 등을 고려할 때 20% 이하 첨가한 스펀지 케이크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김치 첨가 햄버거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Hamburger Bread Prepared by the Addition of Kimchi Homogenate)

  • 김정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4-38
    • /
    • 2004
  • 전통 발효 식품인 김치가 젖산균 함량이 높고 락트산, 아세트산 등의 유기산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산화탄소와 수소 등의 가스를 생성하는 다양한 젖산균류가 살아있는 특성을 활용해서 김치와 빵을 배합하여 햄버거용 김치빵을 제조한 후 그 물성과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고 기능성 제빵 제품으로서 상용화를 시도하고자 하였다. 김치 파쇄물을 첨가하지 않은 반죽의 pH는 5.58이었으나 7% 첨가구의 경우는 5.30, 14% 첨가구는 5.24, 21% 첨가구는 5.19로서 김치 첨가율이 높을수록 pH는 낮아졌으며 산도는 pH와는 반대로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굽기 손실율은 대조구에 비해 김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10.90%, 8.73%, 6.55%, 5.45%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Loaf volume index는 김치 파쇄물을 첨가한 빵이 대조구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7% 첨가시는 5.4%, 14% 첨가시는 10.8%, 21% 첨가시는 17.2% 증대되어 김치 첨가율이 높아질수록 빵의 부피가 뚜렷하게 증대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빵의 hardness는 김치 파쇄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것이 낮은 결과로 나타났으며 7% 첨가구는 대조구 경도의 80.6%, 14% 첨가구는 56.9%, 21% 첨가구는 51.3%를 나타내었다. 빵의 cohesiveness는 김치 파쇄물의 첨가율이 7∼l4%일 경우는 증가한 반면 21% 첨가구의 경우에는 오히려 대조구보다 감소하였다. 빵의 springiness도 cohesiveness와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gumminess는 첨가율의 증대에 따라 다소 감소하였으며 brittleness도 비슷한 감소결과로 나타났다. 김치빵의 외관은 김치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다소 높았으며 14∼21% 첨가구가 높았다. Crust 색상에 대한 기호도는 대조구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내부조직의 색상은 14∼21% 첨가구가 기호도가 높았다. 맛에 대한 기호도는 14>21>7>0% 순이었으며 조직감은 21>14>7>0%의 기호도를, 향미에 대한 기호도는 14>21>7>0%첨가구의 순으로 맛에 대한 기호도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종합적인 기호도는 14>21>7>0%순으로 14% 첨가구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여러 결과에서 김치 파쇄물을 14%첨가한 구에서 물성 및 관능적 품질특성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식이중에 첨가된 섬유소의 종류와 수준이 흰쥐의 체내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ources and Levels of Dietary Fiber on Lipid Composition in Rats)

  • 서정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1권3호
    • /
    • pp.164-172
    • /
    • 1988
  • 식이 중의 섬유소 종류와 급여수준이 흰쥐의 혈청과 간 조직내의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섬유소중 pectin과 cellulose를 선택하여 급여수준을 5%, 10%, 20%로 달리하여 식이중에 참가하였다. 각 군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0,5%로 고정시켰고 이와는 별도로 콜레스테롤 무첨가군을 설정하였다. 각 실험식이로 4주간 사양한 후 혈청과 간에서의 지질함량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체중 증가량은 식이섬유소의 종류에 따라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어 pectin 첨가군은 cellulose 첨가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cellulose첨가군에서는 대조군과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사료효율에 있어서도 pectin 10%와 20% 첨가수준에 있어서 대조군에 비하여 점차로 감소되었다. 간장의 무게는 체중 증가량의 변화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2) 간장내의 총 지질수준에 있어서는 pectin군은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로 감소되었고 cellulose 첨가군에서는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서 오히려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간의 콜레스테롤 수준도 총 지질과 마찬가지로 pectin 첨가군의 경우에 첨가수준의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되었고 20% 첨가수준에서는 cholesterol 무첨가군과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Cellulose첨가군에서는 첨가수준이 감소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인지질은 pectin 5%, 10%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점차로 증가하였으나 20%군에서는 감소된 경향을 보였고 cellulose 첨가군에서는 따라서 일치된 경향을 보이지는 않았다. 3) 혈청내 콜레스테롤 수준은 pectin첨가군에서는 첨가수준의 증가에 따라 대조군과 별다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cellulose 처가군에서는 10%, 20% 수준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형청내 인지질 함량은 pectin 첨가의 경우에는 첨가수준에 관계없이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cellulose 첨가의 경우에는 모든 첨가수준에 있어서 대조군보다 증가하였다. 중성지바의 함량은 pectin첨가군에서는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cellulose첨가군에서는 5% 준에서는 약간의 증가를 보였으나 10%, 20% 수준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콜레스테롤 무첨가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 PDF

메밀가루를 첨가한 식빵의 품질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Added Buckwheat Powder)

  • 최순남;정남용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64-670
    • /
    • 2007
  • 영양 및 기능성을 함유한 메밀가루를 0%. 15%, 30%, 45% 첨가하여 제조한 식빵의 품질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무게는 대조군 421.3 g, 첨가군은 $430.3{\sim}441.5g$으로 메밀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부피는 대조군 2464.3 mL, 첨가군은 $2432.3{\sim}2090.8mL$로 메밀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2. 수분흡수력은 대조군이 2.2 mL, 첨가군은 $3.1{\sim}4.6mL$로 메밀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pH는 대조군이 6.2, 첨가군은 $6.5{\sim}6.7$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3. 색도 L값은 대조군에서 64.77, 첨가군에서는 각각 59.22, 63.20, 56.70이었으며, a값은 대조군에서 3.38, 첨가군에서 $3.40{\sim}4.42$로 메밀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높아졌다. b값은 대조군이 16.52, 첨가군에서는 각각 17.26, 19.23, 18.68이었다. 4. 첨가량에 따른 경도는 0일 대조군이 0.08 kg, 첨가군은 각각 0.12 kg, 0.16 kg, 0.21 kg으로 메밀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저장일수에 따른 경도는 0일 대조군의 경우 0.08 kg, $1{\sim}4$일 저장군은 $0.17kg{\sim}0.21kg$으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으며, 메밀가루 첨가군의 경우도 같은 경향이었다. 첨가량에 따른 진입력은 0일 대조군이 0.03 kg, 첨가군은 $0.05{\sim}0.08kg$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5. 관능검사에서 색상은 대조군이 2.3, 첨가군이 $3.0{\sim}4.1$로 메밀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선호도가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향미는 대조군이 3.3, 첨가군이 $2.7{\sim}3.0$으로 메밀가루 첨가로 선호도가 감소하였으며, 맛은 30% 첨가군이 3.6으로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조직의 촉촉한 정도는 대조군 3.4, 첨가군이 $3.5{\sim}2.5$로 나타났으며 씹힘성과 전반적인 기호도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검정콩 분말첨가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Prepared by the Addition of Black Soybean Powder)

  • 임정교;김영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34-342
    • /
    • 2003
  • 검정콩 분말 첨가가 식빵의 제빵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검정콩 분말을 5, 10, 15 및 20%첨가하여 반죽의 특성과 빵의 품질 특성을 파악하고 적당한 배합비율을 알아보았다. 반죽의 pH는 대조군이 pH 5.43인데 비해 검정콩 분말 첨가군은 pH 5.13~5.77로 나타났으며, 반죽부피는 5%가 107m1로 가장 컸고, 검정콩 분말을 첨가한 빵의 무게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빵의 무게도 증가하였으나 대조군과 5%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식빵의 부피는 5%가 2200m1로 가장 컸으며, Loaf volume index도 5%가 8.01로 가장 높았다. 내부의 색상은 대조군의 경우 L값이 76.62 이었고 검정콩 분말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낮아졌으며 특히 20% 첨가 시는 49.94로 나타났다.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대조군이 -2.02였으며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각각 -0.58, -0.21, +0.07, +0.58로 a값이 높게 나타났다. 빵 껍질의 L, a, b값은 대조군에 비해 첨가군은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기계적 텍스쳐 측정 결과 견고성, 응집성, 탄력성 및 씹힘성은 대조군에 비해 첨가군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쫄깃거리는 맛이 있었고, 깨짐성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노화도는 대조군이 첨가군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나서 대조군은 24시간이 경과했을 때 2.95, 48시간이 경과했을 때 6.00이었고, BS-5, BS-10, BS-15, BS-20% 첨가군은 24시간 경과 시에는 1.45~2.69, 48시간 경과 시는 2.60~4.07사이로 검정콩 분말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노화가 지연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는 외관은 대조군이 3.51, 5~20% 검정콩 분말 첨가군은 각각 4.54, 4.03, 3.67, 2.93으로 5% 첨가군이 양호하였고, 빵 내부 색상에 대한 기호도는 대조군은 3.63, 첨가군은 각각 3.90, 4.49, 4.34, 3.05로 평가되었으며, 맛에 대한 평가는 대조군이 3.57, BS-5, BS-10, BS-15, BS-20% 첨가군은 각각 4.24, 3.89, 2.46, 2.03으로 5% 첨가군이 가장 양호하였다. 조직감은 10% 첨가군이 4.20으로 가장 높았으며, 전반적인 기호도는 5% 첨가군, 10% 첨가군, 대조군, 15% 첨가군, 20% 첨가군의 순으로 나타났다.

  • PDF

흑미를 첨가한 인절미의 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

  • 조진아;조후종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210.3-211
    • /
    • 2003
  • 흑미가루를 0%, 10%, 15%, 20%, 25%로 첨가량을 다르게 하여 제조한 흑미를 첨가한 인절미의 관능적 특성, 수분 함량, 색도, 기계적인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관능검사에서 전체적인 조화도는 흑미가루 15% 첨가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흑미가루 10% 첨가군이 그 다음으로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유색인절미로서 흑미가루의 첨가량이 15%가 이하일 때 가장 적당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단단한 정도, 조직의 거친 정도, 씹힘성, 향미는 흑미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수분함량은 각 시료간의 큰 차이는 없었으나 흑미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분 보유량이 증가하는 것은 흑미의 식이섬유소 때문으로 추정한다. 색도는 흑미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는 낮아지고, 적색도와 청색도가 증가함을 알았다. 기계적 검사에서는 경도, 씹힘성, 껌성은 흑미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그 값이 높아졌고, 응집성과 탄력성은 모든 시료가 거의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부착성은 흑미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그 값이 높아졌다. 즉, 흑미가루 비첨가군에 비해 흑미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더 단단해지고, 탄력성이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관능적 특성에서 단단한 정도, 조지의 거친정도, 씹힘성은 기계적인 특성에서 경도, 응집성, 씹힘성과 비교해 볼 수 있는데, 두 가지의 검사의 결과 모두 흑미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그 값이 커져 그 결과가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유기산의 첨가에 따른 Long Life 면의 조직감과 저장 안정성 (Effects of Organic Acids on Textural Properties and Storage Stabilities of Long Life Noodles)

  • 정재홍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91-196
    • /
    • 1998
  • LL면 제조에 있어서 유기산의 첨가가 LL면의 색상, 조직감, 저장 안정성과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유기산의 종류를 달리한 다음 밀가루에 0.2%를 첨가하여 LL면을 제조한 뒤 조리시험, 면의 조직감 특성, 미생물 측정 및 관능검사를 평가하였다. Hunter L값은 dl-malic acid를 첨가하여 제조한 LL면이 70.4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Hunter a, b값은 모든 처리구가 유사하게 측정되었다. 층밀림 압출력은 dl-malic acid를 첨가하여 제조한 처리구 B가 20.55(kgf)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젖산을 첨가한 처리구 A가 가장 작은 수치인 18.05(kgf)로 측정되었다. 경도도 dl-malic acid를 첨가하여 처리구 B가 25.43(kgf)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젖산을 첨가한 처리구 A는 21.21(kgf)으로 측정되었으나 처리구간에 큰 차이는 없었다. dl-malic acid를 첨가한 처리구 B와 dl-사과산과 초산을 1:1로 첨가한 처리구 D를 첨가하여 제조한 LL면의 무게 증가는 다른 처리구보다 낮게 나타났다. 반면에 부피 증가는 오히려 높게 나타나 조직이 다소 치밀함을 알 수 있었다. 용출양의 변화는 모든 처리구가 $16{\sim}25%$의 범위를 나타냈으며 dl-malic acid를 첨가한 처리구 B와 dl-사과산과 초산을 1:1로 첨가한 처리구 D를 첨가하여 제조한 LL면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미생물수는 dl-malic acid를 첨가한 처리구 B와 dl-사과산과 초산을 1:1로 첨가한 처리구 D를 첨가하여 제조한 L면이 $30^{\circ}C$에서 5개월 이상 저장에도 검출되지 않았으나 control를 포함하여 젖산을 첨가한 처리구 A와 초산을 첨가한 처리구 C는 저장 1개월 이후부터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검사 결과는 dl-malic acid를 첨가한 처리구 B와 dl-사과산과 초산을 1:1로 첨가한 처리구 D를 첨가하여 제조한 LL면이 4.3 및 4.0으로 젖산을 첨가한 처리구 A와 초산을 첨가한 처리구 C의 3.1, 3.2보다 좋은 점수를 얻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