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첨가수준

검색결과 2,285건 처리시간 0.033초

식이중에 첨가된 섬유소의 종류와 수준이 흰쥐의 체내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ources and Levels of Dietary Fiber on Lipid Composition in Rats)

  • 서정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1권3호
    • /
    • pp.164-172
    • /
    • 1988
  • 식이 중의 섬유소 종류와 급여수준이 흰쥐의 혈청과 간 조직내의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섬유소중 pectin과 cellulose를 선택하여 급여수준을 5%, 10%, 20%로 달리하여 식이중에 참가하였다. 각 군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0,5%로 고정시켰고 이와는 별도로 콜레스테롤 무첨가군을 설정하였다. 각 실험식이로 4주간 사양한 후 혈청과 간에서의 지질함량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체중 증가량은 식이섬유소의 종류에 따라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어 pectin 첨가군은 cellulose 첨가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cellulose첨가군에서는 대조군과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사료효율에 있어서도 pectin 10%와 20% 첨가수준에 있어서 대조군에 비하여 점차로 감소되었다. 간장의 무게는 체중 증가량의 변화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2) 간장내의 총 지질수준에 있어서는 pectin군은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로 감소되었고 cellulose 첨가군에서는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서 오히려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간의 콜레스테롤 수준도 총 지질과 마찬가지로 pectin 첨가군의 경우에 첨가수준의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되었고 20% 첨가수준에서는 cholesterol 무첨가군과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Cellulose첨가군에서는 첨가수준이 감소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인지질은 pectin 5%, 10%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점차로 증가하였으나 20%군에서는 감소된 경향을 보였고 cellulose 첨가군에서는 따라서 일치된 경향을 보이지는 않았다. 3) 혈청내 콜레스테롤 수준은 pectin첨가군에서는 첨가수준의 증가에 따라 대조군과 별다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cellulose 처가군에서는 10%, 20% 수준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형청내 인지질 함량은 pectin 첨가의 경우에는 첨가수준에 관계없이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cellulose 첨가의 경우에는 모든 첨가수준에 있어서 대조군보다 증가하였다. 중성지바의 함량은 pectin첨가군에서는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cellulose첨가군에서는 5% 준에서는 약간의 증가를 보였으나 10%, 20% 수준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콜레스테롤 무첨가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 PDF

지방의 섭취량과 첨가된 섬유소의 종류가 흰쥐의 체내 지질 수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ietary Fat Levels and Sources of Dietary Fiber on Serum and Liver Lipids of Rats)

  • 장유경;윤홍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7권4호
    • /
    • pp.253-261
    • /
    • 1984
  • 식이중 지방 수준과 fiber 종류가 흰 쥐의 혈청과 간 조직내의 지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지방 수준을 0% , 5% , 20% 수준으로 달리 하였으며 fiber 종류는 고지방 식이군( 20% 지방 )에 pectin과 cellulose를 각각 10% 수준으로 첨가하였다. 또 식이내 cholesterol첨가의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고지방 식이군에 0.5% cholesterol을 첨가한 후 pectin과 cellulose를 10%씩 넣어 전체적으로 7군으로 나누어 각 각 다른 식이로 4주간 사양한 후 혈청과 간에서 지질 함량을 조사하였으며 간 조직의 형태학적 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식이 섭취량은 지방 수준이 낮을수록 높았으나 뚜렷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pectin과 cellulose 첨가로 인해서 섭취량이 줄었다. 증체량은 지방 수준이나 fiber종류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변의 무게는 지방 수준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fiber 첨가로 인해서는 pectin은 약간의 감소를 cellulose 는 뚜렷한 증가를 보였다. 또 cholesterol을 첨가한 군 간의 비교에서도 pectin첨가군은 감소를 cellulose첨가군은 증가를 나타냈다. 간과 epididymal fat pad의 무게는 지방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fiber 종류에 따라서는 pectin첨가군이 cellulose 첨가 군 보다 낮았다. 2) 혈청 분석 결과는 식이내 지방 수준이 높을수록 total lipids수준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pectin이 cellulose보다 혈청내 지질 수준을 뚜렷하게 낮추었다. Total cholesterol 및 phospholipids 량에 있어서도 지방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졌으며 cellulose보다 pectin이 첨가 되었을때 현저한 감소를 나타냈다. HDL- cholesterol수준은 무지방군에서는 매우 높게 나타났으나 표준군과 고지방군간에 는 명확한 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3) 간 분석 결과는 지방수준이 높을수록 total lipids량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 pectin 첨가가 cellulose첨가군보다 현저히 낮은 lipids수준을 나타냈다. 간의 total cholesterol함량은 지방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뚜렷한 차이는 아니었으며 pectin첨가가 cellulose첨가보다 cholesterol 수준이 상당히 낮았다. 4) 간 조직의 현미경 관찰 결과는 지방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조직내 지방 침착이 심해졌으며 fiber 의 첨가로 인해서는 pectin은 뚜렷한 지방 침착의 감소를 보였으나 cellulose는 거의 감소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 PDF

비타민나무잎 식이보충과 당뇨흰쥐 간장의 항산화효소 수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a Buckthorn Leaves on Hepatic Enzyme Levels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 김명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40-45
    • /
    • 2013
  • 본 연구는 4주간 비타민나무잎을 식이에 보충하여 streptozotocin 당뇨흰쥐 간장의 cytosol에서 항산화효소 수준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간장의 MDA 수준이 비타민나무잎 10% 첨가군에서는 정상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고, 당뇨실험군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SOD 수준은 정상실험군에서는 정상대조군에 비해 비타민나무잎 20%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이었고 당뇨실험군에서는 당뇨대조군보다 높아지는 경향이었으나 유의성은 검증되지 않았다. CAT 수준은 정상실험군에서는 비타민나무잎 첨가 시 정상대조군에 비해 유의성이 검증되었고 비타민나무잎 10% 첨가군에서 높은 수준이었다. 당뇨실험군에서는 당뇨대조군에 비해 비타민나무잎 10%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비타민나무잎 보충정도에 따른 수준 차이를 보였다. GPX 수준은 정상대조군과 당뇨대조군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정상실험군에서는 비타민나무잎 첨가 비율이 높은 20%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수준이 높았으며 당뇨실험군에서는 당뇨대조군에 비해 모든 비타민나무잎 분말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이었다. GR의 수준은 각각의 실험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생체내 유리기를 제거해주는 효소적 방어계인 GST 수준은 정상실험군에서는 비타민나무잎 10% 첨가군보다 20%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이었고, 당뇨실험군에서는 당뇨대조군에 비해 모든 비타민나무잎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간장의 cytosol에서 생체 내 유리기 생성계의 하나인 XOD 수준은 정상실험군에서는 정상대조군에 비해 비타민나무잎 20%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이었고, 당뇨실험군에서는 당뇨대조군에 비해 비타민나무잎 첨가군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 비타민나무잎 분말을 식이로 첨가하였을 때 당뇨흰쥐 간장의 SOD 수준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GPX 수준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XOD 수준은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Conjugated Linoleic Acid 급여기간과 첨가수준이 저장기간 중 육계의 부위별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Conjugated Linoleic Acid Levels and Periods on Meat Quality in Breast and Thigh Muscles of Broiler)

  • 문성실;신철우;주선태;박구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1호
    • /
    • pp.107-114
    • /
    • 2006
  • CLA를 이용한 고품질 기능성 육계의 생산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첨가수준과 급여기간에 따른 부위별 CLA 축적율과 지방산 조성 및 지방산패도를 분석하였다. CLA 축적율은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P<0.05) 증가하였으며, 급여기간에 따라서도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급여 1주와 급여 2주 및 3주의 비교에서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CLA 첨가수준에 따른 포화지방산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불포화 지방산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CLA와 가장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linoleic acid(C18:2)는 CLA 함량이 증가한 만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CLA 첨가수준에 따른 지방산패도의 변화는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낮게 나타났으며,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가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은 근육내 CLA 축적을 극대화 시키기 위한 최적의 급여기간은 1주이며, 지방산패도의 효과적인 억제를 위해서 첨가수준 4.8%가 가장 적합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Zeolite의 첨가수준이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Zeolite Levels on the Performance of Broilers)

  • 민병석;김영일;오세정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1-38
    • /
    • 1988
  • 본 시험은 국내산 zeolite의 첨가수준이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육계사요에 zeolite를 0,2,4 및 6% 첨가한 4개 처리에 육계 Arbor-Acre계 초생추 360 수를 공시하여 1986년 8월 25일부터 10월 12일까지 7주간에 걸쳐 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증체양은 zeolite 2% 첨가수준에서 2,012.1 g으로 가장 높았으며, 4% 첨가수준 이상에서는 증가할수록 점차 감소하는 성향을 보였다 (P<0.05). 2. 사요섭취량은 4,204.l∼4,225.6 g으로 대조구에 비하여 zeolite의 첨가수준간에는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다. 3. 사요요구율은 대조구에 비해 zeolite 4% 첨가수준에서 2.12로서 차이가 없었으나 6% 첨가구에서 2.16으로 다소 높은 경향이 있었다( P<0.05) 4. 생존율은 95.6∼97.8%로서 처리간에 육계적 유의차가 없었다. 5. 계분의 수분함양은 대조구(73.5, 81.0%)인데 반해 첨가구 ( 67.3∼70.8%, 73.6∼79.4% )로서 zeolite의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철저히 감소하였다 (P<0.01 ). 6. 도체율은 첨가구에서 6.86∼68.9% 및 복강지방축적율은 2.49∼2.57%로서 처리간에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다. 7. 수당 소득은 .zeolite 2% 첨가구가 378.13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zeolite 4% 첨가수준까지는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zeolite 6% 첨가구에서 329.32원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P<0.05).

  • PDF

Soybean Oil 및 Flaxseed Oil 첨가 배양시 탄수화물 첨가수준에 의한 반추미생물의 Bio-hydrogenation과 CLA 생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the Level of Carbohydrates on Bio-hydrogenation and CLA Production by Rumen Bacteria When Incubated with Soybean Oil or Flaxseed Oil In vitro)

  • 최성호;임근우;김광림;송만강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4호
    • /
    • pp.521-532
    • /
    • 2006
  • 본 실험은 대두유 또는 아마유를 in vitro 방법으로 배양 할 때, 탄수화물원의 첨가수준이 반추위 박테리아에 의한 bio-hydrogenation과 CLA 생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4수준(0%, 0.3%, 0.6% 그리고 0.9%, w/v)의 혼합된 탄수화물원(glucose, cellobiose, soluble starch, 1:1:1, w/w/w)과 두 종류의 oil을 cellulose powder에 흡착시킨 형태로 각각 60mg씩 인공타액(120ml)과 반추위액(30ml)이 혼합된 배양액(150ml)에 넣은 다음 39℃에서 12시간동안 혐기적으로 배양하였다. 배양액의 pH와 암모니아 농도는 두 종류 oil을 첨가한 배양액 모두에서 탄수화물원의 첨가 수준이 높을수록 pH와 암모니아 농도가 낮았다(P<0.05). 탄수화물원의 첨가 수준이 증가할수록 total VFA 생성량 역시 증가되었으나(P<0.01) 첨가한 oil 간의 차이는 없었다. 배양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탄수화물원의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propionate의 조성비율이 증가된 반면(P<0.001) acetate와 butyrate의 조성비율은 감소되었다. 배양 후 3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배양액 내 oleic acid의 조성비율은 대두유에 비하여 아마유를 첨가한 배양액에서 낮았으나(P<0.001) linoleic acid의 비율은 높았다(P<0.001). 이와는 달리 탄수화물원의 수준이 증가될수록 stearic acid(P<0.05), CLA(P<0.01) 및 cis-9, trans-11 CLA(P<0.001)의 조성비율은 감소되었으나, linoleic acid의 조성 비율은 증가되었다(P<0.05). Linolenic acid의 조성비율에 있어서는 첨가된 oil의 종류와 첨가된 탄수화물원의 수준간의 상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P<0.001), 12시간의 배양종료 후 대두유 첨가구에 비해 아마유 첨가구에서 stearic acid(P<0.01), oleic acid(P<0.001), 그리고 trans-11C18:1(P<0.01)의 조성비율이 감소된 반면, linoleic acid(P<0.001)와 linolenic acid(P<0.01)의 조성비율은 증가되었다. 탄수화물원의 첨가수준이 증가될수록 stearic acid와 총 CLA의 조성비는 감소되었으나(P<0.01), trans-11-C18:1(P<0.05)와 linoleic acid(P<0.01)의 조성비율은 증가되었다. 배양 12시간 후 배양액 내의 oleic acid (P<0.05), linoleic acid(P<0.05) 및 linolenic acid(P<0.01)의 조성비율에 있어서는 첨가한 oil의 종류와 첨가한 탄수화물원의 수준간의 상호작용이 있었는데, 탄수화물원의 첨가수준이 감소됨에 따라 cis-9, trans-11 CLA와 trans-10, cis-12 CLA의 조성비 역시 감소되는 경향이었으나 첨가한 oil의 종류에 대한 영향은 거의 받지 않았다. 본 실험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탄수화물의 첨가수준과 oil의 첨가는 반추미생물의 bio-hydrogenation 작용 및 CLA 생성에 영향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쌀귀리 분말 첨가수준에 따른 고추장의 저장 중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During Storage by the Level of Naked Oat Flours Added)

  • 전은례;정난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7-34
    • /
    • 2022
  • 쌀귀리 분말 첨가수준에 따른 25℃(±2℃)에서 20주간 저장하는 동안 고추장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쌀귀리 분말을 첨가한 고추장의 수분함량은 첨가수준에 따라 점차 감소한 반면, 저장기간 동안에는 점차 증가하였다(p<.05). 쌀귀리 분말을 첨가한 고추장의 pH는 첨가수준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저장기간에는 점차 감소하였다(p<.001). 그러나 산도는 pH와 반대로 나타났다. 시료의 L(lightness), a(redness), b(yellowness)값은 쌀귀리 분말의 첨가수준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반면, 저장기간 중에는 점차 감소하였다. 시료의 염도와 당도는 쌀귀리 분말 첨가수준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p<.001). 쌀귀리 분말을 첨가한 고추장의 아미노산 함량은 저장기간 동안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높았다. 25℃(±2℃)에서 20주간 저장 시 쌀귀리 분말을 첨가한 고추장에서는 17종의 아미노산 함량이 검출되었으며, glutamic acid가 대조군에서는 959.69 mg/100 g, 5%에서는 983.55 mg/100 g, 10%에서는 1,070.72 mg/100 g 및 15%에서는 1,169.62 mg/100 g으로, 쌀귀리 분말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쌀귀리 분말의 첨가는 고추장의 품질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건강에 유익한 고추장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beta}$-8-Apo-Carotenoic Acid Ethyl Ester의 급여가 산란 노계의 도체와 난황의 착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eta}$-8-Apo-Carotenoic Acid Ethyl Ester Supplementation on Pigmentation in Muscle, Skin, and Egg Yolk of Old Layers)

  • 나재천;장병귀;이진건;하정기;송재연;이봉덕;안길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73-78
    • /
    • 2004
  • ${\beta}$-8-Apo-carotenoic acid ethyl ester (ACA)를 0~300mg/kg을 사료에 첨가하였을 때 산란노계의 피부 및 계육에 미치는 착색효과를 조사하였다. 산란노계에서 황색도($b^*$ )는 모든 부위의 피부에 있어서 ACA를 5~100mg/kg 이상 첨가시 무첨가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 < 0.05). 날개육, 가슴육 및 다리육에서 유의적 수준의(P < 0.05) 황색도 변화를 일으키기 위해서는 100-200 mg/kg 이상의 ACA 첨가가 필요하며 피부에 비하여 첨가수준이 약간 더 높았다. ACA의 첨가수준에 따른 일령별 난황색의 변화는 급여 1일에서는 무첨가구와 첨가구간에 유의차가(P < 0.05)가 300 mg/kg에서만 보였으나, 2일째부터는 무첨가구에 비하여 모든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높았다(P < 0.05). 1-5주간 급여시 모든 첨가구가 무첨가구보다 첨가수준이나 급여기간에 관계없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 < 0.05). 1~5주간 급여시 모든 첨가구가 무첨가구보다 첨가수준이나 급여기간에 관계없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 < 0.05).

상황버섯박과 당밀의 첨가가 한약제박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olasses and Phellinus linteus Meal Addition on the Quality of Korean Herbal Medicine Meal Silage)

  • 장석훈;오현민;김성복;조치현;박노성;이봉덕;이형석;이수기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31-440
    • /
    • 2011
  • 본 실험은 상황버섯박의 이용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한약제박에 혼합하여 사일리지를 제조하고 그 품질을 조사하였다. 상황버섯박을 사일리지 재료로 사용함에 있어 한약제박에 건물기준으로 0, 15 및 30% 혼합하여 사용하였으며, 수용성 탄수화물의 함량이 적은 것을 보완하기 위하여 당밀을 0, 1 및 2% 첨가하였다. 한약제박에 대한 상황버섯박의 첨가수준이 높아질수록 사일리지의 조단백질과 조지방의 함량이 유의하게 높아지고, ADF 함량은 유의하게 낮아졌다. 사일리지의 pH는 상황버섯박 첨가량이 감소될수록, 당밀 첨가수준이 높아질수록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젖산 함량은 상황버섯박 첨가량이 적을수록, 당밀의 첨가 수준이 높아질수록 많아졌다. 초산함량은 상황버섯박 첨가량이 증가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당밀의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낙산 함량에 있어서는 상황버섯박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당밀 첨가구는 무첨가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적은 결과 보였다. 사일리지 중의 미생물 배양은 MRS 배지에 있어서는 상황 버섯박의 첨가수준이 낮을수록, 당밀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총세균수가 많아지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PDA 배지에 있어서는 MRS 배지의 결과와는 대조적으로 상황버섯박의 첨가수준이 낮을수록, 당밀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총세균수가 적었다. 사일리지의 $in$ $vitro$ 건물소실율은 상황버섯박 첨가량이 많아짐에 따라서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당밀의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사일리지의 제조에 있어 한약제박에 상황버섯박을 첨가하는 것은 사료의 영양가를 향상시키며, 당밀을 첨가하는 것은 사일리지의 유산 함량을 향상시켜 결과적으로 한약제박의 이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고 생각되며 첨가수준에 있어서는 당밀은 2% 정도로서 충분한 효과를 나타내며, 상황버섯박은 15% 정도 첨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유지(油脂) 첨가 사양시험 (부로일러 사료에 고열량 수준으로)

  • 오세정
    • 월간양계
    • /
    • 제3권11호통권25호
    • /
    • pp.107-114
    • /
    • 1971
  • 부로일러사료에 유지를 첨가하기 시작한 것이 작년부터이고 그의 성과에 대하여는 여러가지 논란이 있는 것으로 안다. 그러나 작년에 시험한 동열량(同熱量)수준에서 유지첨가에 대한 사양시험과 금년도에 실시한 고열량수준의 유지첨가 시험을 요약하여 검토함으로써 유지첨가의 의의와 경제성 나아가서는 부로일러 산업의 촉구와 지표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