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철학함

Search Result 282,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Philosophical Counseling and Feminist Counseling (철학상담과 여성주의상담)

  • Nho, Soung-Suk
    • Women's Studies Review
    • /
    • v.26 no.1
    • /
    • pp.3-39
    • /
    • 2009
  • Philosophical counseling, established by Achenbach in 1981, began as "philosophical practice" and emerged only recently as a new field of philosophy in its own right. It attempts, by recasting the philosopher as a counselor, to bring philosophy back from academia and recover the ancient notion of "doing philosophy," in a real-life context. Furthermore, it allows clients who are at a critical moment in their life a chance to revive their authentic selves and empowers them to pursue their own path. By engaging with philosophical counseling, clients are more likely to realize their hopes for their lives by examining their lives thoroughly and facing them anew. This paper first attempts to investigate philosophical counseling services for Korean women and to outline a new model of counseling based on the combination of two models of counseling, philosophical counseling and feminist counseling. In the second chapter, it seeks to introduce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philosophical counseling and in the third chapter,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feminist counseling are investigated, focusing on a counseling-activity entitled "Telephone for Women." Finally, in the fourth chapter, a comparative study is made by identifying the common aspects of each counseling type, in order to promote the shared outlooks of both counseling models. Although these two models of counseling emerged from different historical,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they were founded according to four common beliefs, which are as follows: first, a focus on the importance of "practice," second, the establishment of an equ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unselor and the client, third, the importance of counselors listening attentively to the client and opening themselves up, fourth, the encouragement of clients becoming truly themselves and self-educated. Therefore, the writer believes that these two models of counseling are both aiming at the realization of an authentic "human life." It is hoped that philosophical counseling will give Korean women an opportunity to maintain a dialogue that will improve their "well-being" in the future.

서양 과학기술사에서 본 과학기술적 실천

  • 박민아
    • Journal of the KSME
    • /
    • v.44 no.7
    • /
    • pp.54-64
    • /
    • 2004
  • 최근 국내 대학들에서 보이는 과학기술학에 대한 관심은 그 어느 때보다도 크다고 할 수 있다. 과학사나 과학철학 등의 강좌는 오래 전부터 쉽게 접할 수 있는 교양 과목으로 자리 잡아 왔지만, 최근에는 거기서 더 나아가 과학기술학을 이공계 학부 필수 교양으로 지정하는 학교까지 등장하고 있다. 과학기술이 없는 현대사회를 상상하는 것이 불가능할 만큼 과학기술이 중요해진 이 때, 과학기술을 생산하는 일에 몸담지 않는다 하더라도 과학기술의 소비자로서 과학기술의 역사와 특성, 발전 방향, 과학기술 윤리, 그 철학적 함의 등을 생각해 보는 일은 가치 있는 일이다.(중략)

  • PDF

An Hwak's Recognition of 'Joseon' and 'Joseon Cheolhak' (안확의 '조선' 인식과 '조선철학')

  • Lee, Haeng Hoon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 /
    • no.50
    • /
    • pp.171-200
    • /
    • 2016
  • The full-scaled study of Joseon conducted by Japan in the 1910s was part of its colonial policy, while the native Joseon studies against it contained political aspiration to recover the national rights and independence. Accordingly, the conceptual meaning of 'Joseon' varied according to its subject of speech. The establishment of modern nation-state failed along with the extinction of Korean Empire, but 'Joseon' was newly discovered within national ideology. It became a historical concept in which the experience of the past and the expectation toward the future could be united. The so-called 'Joseon Studies' was only limited to intellectuals in the academic circle, but 'Joseon' embraced the articulations from more various social agents. Furthermore, it is only natural that 'Joseon Studies' should be interpreted within the historical semantics of 'Joseon', considering the connection between concept and discourse. In his The History of Joseon Civilization, An Hwak encompassed the history from the times of ancient mythology to the contemporary times under the banner of 'Joseon'. Opposing Japanese distortion of history carried out in the name of historical positivism, he idealized Joseon history as comparable to that of the Western democracy. He extended the study of 'Joseon' into culture at large, foreshadowing a kind of Joseon philosophy. In his An Overview of Joseon Philosophical Ideas, the first description of 'Joseon philosophy' as an independent field, he proposed philosophy as one of three sources of pride in Joseon and asserted its uniqueness and originality compared to the West. It was an attempt to grasp the peculiarity of Joseon ideas from a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universal human civilization. He considered 'Jong'(倧) as an ideological foundation held from the ancient to the modern times, and the acceptance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as beneficial to 'Joseon philosophy'. The birth of 'Joseon philosophy', the modern transformation of the traditional knowledge system, was an intellectual experiment to apply traditional knowledge to the modern disciplinary classification system.

Black in Along with the Gods (<신과 함께>의 검정, (비)물질과 지각의 상호작용)

  • Kim, jong-gu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19-120
    • /
    • 2019
  • 이 글은 물질의 본질로 규정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색채론과 디지털이미지의 비물질적 특성으로서의 검정을 전제로, <신과 함께>의 서사를 주도하는 인물과 이미지를 구성하는 공간에 채워진 검정의 의미를 분석한다. 할리우드영화에서 검정은 악의 근원이며 공포이다. 검정에 관한 예외적이고 특별한 특성을 성찰하는 철학, 회화, 문학에서의 비유와 달리, 대중영화에서 검정은 가장 보편적인 의미를 표현한다. 삶과 죽음의 경계를 오가는 <신과 함께>에서 검정은 저승의 공간과 차사라는 인물을 구성한다. 한국영화에서 검정은 상상의 공간을 상징화하는 유용한 색이다. 이 글은 한국영화 <신과 함께>에 사용된 검정을 통해 동서양 색채문화의 차이를 살펴보고, 사회문화적 맥락에 따라 상호작용하는 의미를 분석한다.

  • PDF

폐리의 지표성

  • Kim, Han-Seung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6 no.2
    • /
    • pp.107-134
    • /
    • 2003
  • 지표성은 두 가지 다른 철학적 관심에서 연구되어왔다. 하나는 지표어가 어떤 방식으로 그것이 지시하는 바를 지시하는가를 이해하는 의미론적 관심이고, 다른 하나는 지표어가 인식체계에서 담당하는 역할을 이해하는 행위 이론적 관심이다. 페리가 여러 문헌을 통해서 관심을 가져왔던 문제는 이 두 가지 철학적 관심을 모두 만족시키는 통일된 이론을 제시하는 것이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이 두 관심사가 서로 구별된다는 점이 충분히 고려되지 않았으며, 왜 하나의 이론에서 함께 다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한 논변도 제시되지 않았다. 지표성 문제에 대한 페리의 해결책은 의미론적인 것이고 는 이를 통해 행위이론의 문제도 함께 해결된다고 주장한다. 그의 의미론적 해결책은 여러 가지로 변화되어 왔지만, 필자는 이 모두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것을 보이고자 한다. 페리의 이론이 가지고 있는 어려움의 근원은 필자가 '의미론적 토대주의'라고 부르는 입장을 페리가 고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표성 문제에 대한 올바른 접근은 의미론적 토대주의를 처음부터 포기하는 것이라는 것이 필자의 제안이다.

  • PDF

Blindsight and Phenomenal Consciousness (맹시와 현상적 의식)

  • 김효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2.05a
    • /
    • pp.189-193
    • /
    • 2002
  • 의식에 관한 가장 흥미 있는 최근의 과학적 작업들 중 철학적으로 문제가 되는 다수는 시각으로부터 나왔으며 그 중 특히 맹시 현상은 심리철학에 있어서 의식, 지각, 그리고 지향성의 개념에 문제를 제기한다. 맹시 환자들은 후두엽 피질의 두뇌 손상으로 인하여 생긴 암점(Scotoma) 때문에 현상적으로 의식적인 과정을 경험할 수 없으면서도 그들의 보이지 않는시야 영역에 대하여 보통 시각을 가진 사람들과 상당히 비슷하게 기능을 발휘한다. 이러한현상은 의식이 행동을 제어하는 데에 과연 인과적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문제들, 심리철학에서 뿌리깊게 논의되어왔던 의식의 기능과 부현상론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다. 즉, 맹시 현상은 현상적 의식이 실재하지 않는 것이거나, 존재하더라도 어떤 인과적 효력을 가지지 않는 부수현상적인 것이라는 견해를 강하게 지지하는 것 같다. 이와 함께 인간과 동일한 물리적 구성과 행동을 가지지만 의식적 경험을 결여하는 피조물인 좀비(zombie)의 이론적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를 지지하기 위해서 초맹시(super-blindsight)의 개념과 사례가 제안된다. 이 논문은 맹시 현상을 통해서 현상적 의식의 실재성을 부정하려는 논변들을 반박하고, 의식은 행위의 수행에 관련될 뿐만 아니라 인지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논한다. 따라서, 역설적으로 맹시 사례가 오히려 현상적 의식이 인과적 역할을 가진다는 감각질 실재론의 견해를 지지할 수 있다고 논증할 것이다.

  • PDF

교사양성대학에서의 수학사 및 수리철학 강좌 운영

  • Sin, Hyeon-Yong;Seo, Bong-Geo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5
    • /
    • pp.1-7
    • /
    • 2003
  • 수학사 및 수리철학에 관한 연구는 교사양성 대학에서 더욱 강조되어야 할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한 연구가 미진하다. 자연대의 수학과는 수학 그 자체가 중요하겠지만, 교사양성 대학에서는 수학 내용자체 뿐만 아니라, 수학의 역사적인 측면과 수학에 관한 인식론적인 측면이 함께 요구되어 진다. 절대적인 것으로 인식되어 온 수학에 대한 잘못된 선입견은 수학교육에도 심각한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그러나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 등으로 인해 수학에서의 논리체계는 더 이상 절대적이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숱한 오류들의 극복을 통해 발전해 온 수학사적인 측면과 그로 인하여 수학에 관한 인식론적 변화를 수학에서의 큰 사건들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유클리드 기하에서 비유클리드 기하의 발견, 칸토어의 무한한 역설의 발생, 역설을 극복하기 위한 수학기토론의 탄생,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로 이어지는 과정들을 살펴보고, 그로 인해 도출되어지는 수학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해 보며, 이르르 바탕으로 교사양성 대학에서의 수학사 및 수리철학 강좌의 운영 방안을 제시한다.

  • PDF

A Philosophical Implication of Rough Set Theory (러프집합론의 철학적 함의)

  • Park, Chang Kyun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17 no.2
    • /
    • pp.349-358
    • /
    • 2014
  • Human being has attempted to solve the problem of imperfect knowledge for a long time. In 1982 Pawlak proposed the rough set theory to manipulate the problem in the area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rough set theory has two interesting properties: one is that a rough set is considered as distinct sets according to distinct knowledge bases, and the other is that distinct rough sets are considered as one same set in a certain knowledge base. This leads to a significant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a concept (or an event) may be understood as different one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while different concepts (or events) may be understood as a same one in a certain perspective. This paper claims that such properties of rough set theory produce a mathematical model to support critical realism and theory ladenness of observation in the philosophy of science.

  • PDF

Theses of "living-together" and conditions of interculturality - through Dilthey's concept of "understanding" - ("함께-삶"의 테제와 상호문화의 조건 -딜타이의 "이해" 개념을 매개로-)

  • Kwon, Young-woo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v.131
    • /
    • pp.1-32
    • /
    • 2014
  • This article aims to articulate, via Dilthey's concept of "understanding", that the three reflective conditions of interculturality are compatible with the three theses of "living-together". The former was proposed by Prof. Joo Kwang Sun and the latter is my assertion. In my point of view, the three theses of "living-together" are firstly 'consciousness of relationship to others', secondly 'reciprocity of relating', and thirdly 'sharing of same representation of mutual relationship'. Considering Dilthey's concept of "understanding", we can confirm that his concept includes firstly 'understanding is only for something constructed by spirit', secondly 'it is relation between expression and something expressed', and thirdly 'it means construction of one whole living-together'. Therefore I think Dilthey's concept of "understanding" could be regarded as a medium concept which enables us to integrate the three reflective conditions of interculturality with the three theses of "living-together". So I try to explain compatibility between the three conditions of interculturality and the theses of "living-together".

Implementation a Philosophy Ontology based on Knowledge of Text Contents (텍스트 내용 지식 기반의 철학 온톨로지 구축)

  • Kim Jung-Min;Choi Byoung-Il;Kim Hyoung-Joo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1 no.3
    • /
    • pp.275-283
    • /
    • 2005
  • Ontologies are the core components of the Semantic Web and knowledge-based systems. But it is difficult to find useful ontologies in actual domains. In order to build useful domain ontology,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domain knowledge by knowledge experts of the specific domain and the specification of conceptualized knowledge with formal languages by ontology designers are required. In addition, structured and detailed guidelines and methods should be provided to be shared by the development team members. However, existing ontology building methodologies define and describe the skeletal structure of the whole building process at the top-layer. We build a useful academic ontology that is based on the conceptual knowledge structure in the domain of philosophy, and propose a detailed methodology to build a text ontology based on Topic Maps. Our methodology consists of two phases, ontology modelling and ontology implementation. We implement a philosophy knowledge portal to support retrieving and navigating of the philosophy know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