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철책식물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DMZ 155 Miles - Characteristics of natural environment and plant distribution - (DMZ 155마일 자연환경 및 식물분포특성연구)

  • Jung, Su-Young;Park, Jinsun;Bak, Gippeum;Kim, Sang-Jun;An, Jong-Bin;Lee, Ahyoung;Hwang, Hee-Suk;Song, Jin-Heon;Yun, Ho-Geun;Jung, Ji-Young;Kim, Il-Kwon;Shin, Hyun-Tak;Lee, Cheol-H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25-25
    • /
    • 2019
  •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 이후 한반도를 가로지르는 DMZ (Demilitarized zone: 비무장지대)가 설정되었다. DMZ에 출입은 군사정전위원회의 허가가 있어야 가능하기에 군사시설 및 군작전지역을 포함하여 DMZ 및 민간인통제선 이북은 민간인 접근의 제한으로, 단절된 공간으로 변모하였다. DMZ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동고서저의 지형 및 다양한 생태환경을 두루 갖추고 있어 중요한 생태적 요충지로 평가받고 있다. 산림지역은 민간인통제지역까지 합치면 40여개의 산지가 분포하고 있으며, 하천은 크게 15개의 크고 작은 하천이 위치하고 있다. 남방한계선 수계를 따라 일부지역들은 하천 배후습지, 묵논습지 등 습원형태로도 많이 발견되고 있다. 이런 습원지역들은 대부분 미확인 지뢰지대로 접근이 제한적인 만큼 지난 세월의 흔적들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1965년 한국자연보존연구회는 30여명의 국내학자를 동원하여 서울에서 가까운 DMZ 인접지역에 대한 예비적인 학술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계기로 1966년 10월부터 1968년 9월까지 2년간에 걸쳐 한국자연보존위원회 34명의 국내학자와 미국 스미소니언연구소(Smithsonian Institution) H. K. Buechner 박사를 대표로 5명의 국외학자가 공동으로 종합적인 학술조사를 수행하였다. 이는 DMZ 연구의 시작을 알렸으며, 이후 남북관계나 시대여건에 맞추어 간헐적으로 다양한 조사 및 연구들이 이어져오고 있다. 2015년부터 2018년까지 DMZ 철책주변 현장조사를 통해 확인된 식물현황은 964분류군이다. 군시설로 인해 식물서식환경이 제한적인 상황이지만 척박한 환경에 적응하고 있는 식물은 다양하다. DMZ와 맞닿아 있는 7개 지역에 대한 식물현황은 철원 638분류군, 연천 631분류군, 양구 525분류군 순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중동부 지역에 높은 식물종수가 나타났으며, 서부와 동부의 식물들이 고르게 나타나는 결과로 보인다. 큰잎쓴풀, 봉래꼬리풀 등 희귀식물도 있는 반면, 잠재적으로 생태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침입외래식물도 다수 포함되어 있어서,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관리가 필요하다. 그 중에서도 양구지역에 새롭게 발견된 Macleaya cordata (Willd.) R.Br.(양귀비과)는 독성이 포함된 식물이며, 인제에서 2014년에 발견된 미역취아재비는 DMZ일원에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종이였으나 현재 연천에서 발견되는 등 확산에 대한 관리방안이 필요하다.

  • PDF

T he Effects of Soil T exture and Light Conditions on the Germination and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of Aster koraiensis Nakai (토성과 광조건이 벌개미취의 발아와 광합성에 미치는 영향)

  • Dong-Hak Kim;Young-Eun Kim;Hyeong-Bok Cho;Mi-Young Huh;Sang-Jun Kim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56-56
    • /
    • 2022
  • 벌개미취(Aster koraiensis Nakai)는 국화과에 속하는 우리나라 자생종으로 어린잎은 식용하고, 항비만 및 고지혈증 예방 등의 연구 결과가 보고되어 이용 가치가 높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주로 조경소재로 이용되고 있으며, 생태복원을 위한 소재식물로 벌개미취를 이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DMZ 남방한계선 철책 주변에는 군의 경계작전을 위해 반복적으로 식생을 제거한 지역(불모지)이 형성되어 있어 이를 복원할 필요가 있다. 생태복원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종 선정 방법은 자생종 또는 인접 지역종을 이용하는 것이다. 벌개미취는 DMZ 일원에 자생할 뿐만 아니라, 건조한 환경은 물론 습윤한 지역에서도 생육한다. 본 연구에서는 토성에 따른 벌개미취의 발아 특성과 광조건에 따른 광합성 반응을 조사하여 DMZ 불모지와 유사한 환경에서의 생육이 건전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벌개미취의 기내발아 검정(15℃, 12/12h)과 토성(마사토, 상토, 혼합토)에 따른 종자 발아율을 비교하였고, 차광(0, 50, 75 및 95%)처리에 따른 엽면적당 건중량, 엽록소 함량, 광-광합성 반응을 조사하였다. 벌개미취의 발아율은 기내(79%), 마사토(74%), 상토(82%) 그리고 혼합토(77%)로 나타나 각 처리구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벌개미취의 엽면적당 건중량은 차광수준이 높을수록 감소하였고, 엽록소 a와 b 함량은 차광수준이 높을수록 감소하였으나 a/b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광-광합성 반응을 통해 산출한 벌개미취의 광포화점과 광합성 최대속도는 차광수준이 높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순양자수율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벌개미취는 전천광보다 낮은 광도에서 생장 시 광합성 능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이며, 광이 제한되지 않는 불모지 환경에서 생육이 유리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Characteristics of Herbaceous Vegetation Structure of Barren Land of Southern Limit Line in DeMilitarized Zone (비무장지대 남방한계선 불모지 초본식생구조 특성)

  • Yu, Seung-Bong;Kim, Sang-Jun;Kim, Dong-Hak;Shin, Hyun-Tak;Bak, Gippeum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5 no.2
    • /
    • pp.135-153
    • /
    • 2021
  • The demilitarized zone (DMZ) is a border barrier with 248 kilometers in length and about 4 kilometers in width crossing east to west to divide the Korean Peninsula about in half. The boundary at 2 kilometers to the south is called the southern limit line. The DMZ has formed a unique ecosystem through a natural ecological succession after the Armistice Agreement and has high conservation value. However, the use of facilities for the military operation and the unchecked weeding often damage the areas in the vicinities of the southern limit line's iron-railing. This study aimed to prepare basic data for the restoration of damaged barren vegetation. As a result of classifying vegetation communities based on indicator species, 10 communities were identified as follows: Duchesnea indica Community, Hosta longipes Community, Sedum kamtschaticum-Sedum sarmentosum Community, Potentilla anemonefolia Community, Potentilla fragarioides var. major Community, Prunella vulgaris var. lilacina Community, 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Carex lanceolata Community, Dendranthema zawadskii Community, Plantago asiatica-Trifolium repens Community, and Ixeris stolonifera-Kummerowia striata Community. Highly adaptable species can characterize vegetation in barren areas to environment disturbances because artificial disturbances such as soil erosion, soil compaction, topography change, and forest fires caused by military activities frequently occur in the barren areas within the southern limit line. Most of the dominant species in the communities are composed of plants that are commonly found in the roads, roadsides, bare soil, damaged areas, and grasslands throughout South Korea. Currently, the vegetation in barren areas in the vicinities of the DMZ is in the early ecological succession form that develops from bare soil to herbaceous vegetation. Since dominant species distributed in barren land can grow naturally without special maintenance and management, the data can be useful for future restoration material development or species selection.

A Study on the Changes in the Back Garden of Gyeongbokgung Palace during Cheongwadae Period through an Interview with Landscape Manager (조경 관리자 인터뷰를 통한 청와대 시기 경복궁 후원의 변화에 관한 연구)

  • Kim, Kyu-Yeon;Lee, Shi-Young;Choi, Jaehyuck;Choi, Jong-He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41 no.2
    • /
    • pp.26-34
    • /
    • 2023
  • This study conducted interviews with former and current managers of Cheongwadae landscape architecture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necessary to preserve, manage, and utilize Gyeongbokgung Palace's back garden, and the main conclusions summarized are as follows. First, the topography changed a lot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main building and the official residence under President Roh Tae-woo. The water system was connected to Gyeongbokgung Palace in the past, but is now disconnected. Second, in the case of planting, the most important principles were the president's security and protocol, and accordingly, trees were placed or managed. Trees were planted by introducing excellent trees in various regions, and wildflowers and ground cover plants were frequently replaced according to the season. Third, facilities and roads were arranged for the president's protocol, hobbies, and workers' rest, and fire-fighting facilities were installed to prevent disaster in the forest area of Baegaksan Mountain. Fourth, the biggest inflection point of Gyeongbokgung Palace's back garden during Cheongwadae period was the change in topography due to the new construction of the main building and official residence during President Roh Tae-woo, the removal of A and B barbed wire fences that separated space during President Roh Moo-hyun, and the extensive landscaping carried out for the G20 Summit under President Lee Myung-bak. The area of Gyeongbokgung Palace's back garden is expected to face another inflection point due to the opening of Cheongwadae on May 10, 2022, and the work of evaluating the historical, academic, and landscape values of Gyeongbokgung Palace's back garden should be carried out while preserving the st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