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철도진동소음

Search Result 440,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Railroad Noise and Vibration Propagation (철도소음진동의 전파특성에 관한 연구)

  • 김석홍;이성춘;김준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2.10a
    • /
    • pp.36-41
    • /
    • 1992
  • 철도주변의 쾌적한 생활환경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철도차량이나 선로에서 발생하는 공기전파음과 지반을 통하여 전파되는 지반진동을 일정수준 이하 로 제어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철도 소음진동 대책에는 기존철도에 대한 기초적인 소음진동 크기 및 특성에 대한 자료가 필요하다. 국내에서는 이제 까지 철도소음진동에 대한 특별한 자료수집이나 대책에 큰 관심을 기울여 오지 않고 단지 철로주변에서는 어쩔수 없이 철도소음진동의 피해를 감수할 수 밖에 없다는 소극적인 태도를 취해왔으며 최근에 들어서야 환경의식 증 가로 철로변 거주자들의 민원에 대한 대책으로서 일부 구간에서 방음벽을 설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우기 경부고속철도 건설이 이미 시작된 현시점에 서 철도 소음진동 실태나 기준등이 정립되어 있지 못하여 추후 철도주변의 소음진동문제를 어떻게 대책을 수립해 나가야 할지에 대한 기본적인 자료수 집 및 관련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상황에서 기존 철도의 소음진동 시간 변동특성, 거리감쇠특성, 주파수특성 및 철도진 동의 진동방향 특성을 측정 분석하여 추후 철도소음진동 관련 대책이나 기 준수립에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고속철도의 선로구축물의 소음ㆍ진동저감대책

  • 양신추;김태욱;강윤석
    • Journal of KSNVE
    • /
    • v.14 no.2
    • /
    • pp.26-34
    • /
    • 2004
  • 현재 철도는 기술의 발전과 함께 초고속 대량수송, 정시성, 안전성, 에너지효율성 및 친환경성 등의 장점을 가지는 새로운 교통수단으로 재조명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고속철도 개통과 G7고속열차의 개발 등으로 철도기술은 제 2의 도약기에 들어서고 있으며, 특히 도로교통망의 포화로 인해 철도건설수요가 계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는데, 기존 수송량의 흡수 및 장기적인 관점에서 철도교통망의 확장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열차의 중량화와 고속화가 제반기술의 발전과 함께 지속적으로 추진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이러한 차량의 중량화와 고속화는 실질적으로 선로 주변에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의 크기를 증가시키게 되는데, 최근 들어 소음 및 진동관련 환경기준의 강화와 민원의 증가 등으로 인해 친환경적인 측면에서 적극적인 소음 진동 저감대책의 수립과 관련 기술의 적용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중략)

The Design of Realtime Management System to support the Railway Multi-View Detection based on Vibration and Noise Sensor Data (진동 및 소음 센서 데이터 기반의 다중 철도 주변감지 실시간 관리 및 운용시스템 설계)

  • Oh, Ryumduc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583-584
    • /
    • 2020
  • 철도의 고속화 및 수송력 증대로 인하여 철도 터널 및 주변 환경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 공해는 커다란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도시의 고층화로 인해 차단벽을 이용한 방음 기술의 한계와 철도 차량의 고속, 경량화 추세로 인한 소음. 진동, 위험상황으로 인한 문제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oT 기술을 결합한 안정성을 보장하는 IT 기반기술의 위험상황 감지, 철도 소음진동 분석, 모니터링 및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철도 인근지역 주민 또는 유관기관에 소음진동 수치에 따른 적합한 대응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IoT 기술 제어 분석 및 안정화 서비스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 PDF

Vibration Reduction for a Railway Depot Building (I): Vibration/Noise Evaluation (철도인공대지에 건설된 아파트의 방진대책(I): 진동소음 평가)

  • Kim, Jeung T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6 no.5
    • /
    • pp.353-357
    • /
    • 2013
  • Property development along railway lines is a critical issue at present. Because various railway lines exist in most large cities, there are numerous properties and open spaces to be developed for communities associated with these lines. The active development of railway properties can be a means to resolve housing shortage problems in cities. In this first part of this paper, noise and vibration levels of an artificial area of land and apartment complex are measured and evaluated to derive a design strategy for vibration reduction purposes.

철도궤도의 진동 및 방사소음 분석, 점감 및 활용 방법

  • Park, Jeong-Won;Park, Jun-Hong
    • Journal of the KSME
    • /
    • v.53 no.2
    • /
    • pp.49-53
    • /
    • 2013
  • 철도차량은 중요한 친환경 대중교통 수단으로서 운행 구간이 확장되고 있다. 그러나 철도선로가 거주지역을 통과하여 설치되면서 환경 소음 문제가 야기되고 있으며 이의 저감이 중요한 이슈 중 하나이다. 철도차량 및 궤도에서 발생하는 전동음은 저감해야 할 주요 소음원 중 하나이다. 따라서 철도의 진동 및 소음 관련된 연구현황들에 대해 알아보고 궤도 지지단을 고려한 레일의 진동과 방사 소음 특성을 예측하고 궤도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에까지 적용이 가능한 방법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PDF

Railroad Noise and its Impact (철도소음과 그 영향)

  • 강대준;나진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5.04a
    • /
    • pp.100-109
    • /
    • 1995
  • 철도는 대량수송 및 정시제 운행이라는 중요한 역할을 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철도연변에 거주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상당한 소음공해를 미쳐 정온한 생활환경을 누릴 권리를 침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철도소음을 관리하는 기준이나 대책등이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향후 5년 내에는 고속철도의 등장도 확실하지만 기존 재래식 철도에 대한 소음 실태 자료마저 충분치 않아 철도연변의 소음진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본적 수단인 소음 기준 제시를 위해서는 폭넓은 기초 자료확보와 새로운 관련연구가 요청되었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전기기관차를 중심으로 영동선, 중앙선, 태백선, 경인선, 경원선 및 대도시 도심지를 관통하는 호남선 및 경부선 중에서 측정환경이 양호한 22개 지역을 선정하여 기존 철도의 구간별 30분, 1시간, 2시간, 3시간 등가소음도를 측정하였고 선로의 조건, 열차의 종류 및 속도, 거리권별 등에 따른 개별열차 통행시의 소음특성을 조사하여 철도소음의 기준 설정과 방지대책 강구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열차 통행속도로부터 최고소음도를 추정하여 주변지역의 등가소음도를 산정할 수 잇는 예측식을 도출하여 측정방법 개정에 활용하고, 그리고 선로변에 위치한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층별 철도소음 노출도와 열차통과시의 공동주택 실내.외의 소음도를 비교조사하여 벽체 차음 효과를 조사하였고 철도소음에 대한 주민반응 조사를 하였다.

  • PDF

진동.소음이 구조물 및 근무환경에 미치는 영향

  • 이정수
    • Journal of the KSME
    • /
    • v.27 no.2
    • /
    • pp.109-112
    • /
    • 1987
  • 산업이 고도화 되면서 기계장비의 중량화와 고속화가 가속되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과다한 진동과 소음을 유발시키고 있다. 특히 교통량이 많은 도로변의 건물 및 주택가에 소음공해가 심하며, 고속도로 및 철도연변의 건물 및 주택가는 비록 차음벽을 설치하여 많은 소음을 차단해 주지만 미흡한 상태다. 또한 철도 진동이 주위 건물 기초로 전파하여 건물의 진동을 유발하여 건물벽체가 갈라짐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교통 소음이 심한 장소에서는 차음율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여 공기음을 차단하며, 건물의 유리창은 가능한 한 2겹유리(pair glass)를 사용한다. 또한 철도 연변의 건물기초는 베어링 페드를 사용하여 지반으로 전파되는 진동을 차단하여 줌으로써 안락한 주거환경 및 근무환경을 조성하리라 생각한다.

  • PDF

고속철도에서의 진동 및 그 대책

  • 신종서;이희현;양신추
    • Journal of KSNVE
    • /
    • v.3 no.2
    • /
    • pp.103-111
    • /
    • 1993
  • 본 글에서는 건설기술자의 입장에서, 고속철도에서 발생하는 진동현상 및 그 대책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았다. 불행히도 현재까지 고속철도 진동에 관한 국내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어서, 여기서 제시된 대부분의 자료는 현재 고속 철도가 운행되고 있는 선진외국에서 수행한 연구결과를 인용한 것이다. 그러나 진동 문제는 열차 고속화를 추진함에 있어서 반드시 해결해야 될 주요과제의 한 분임을 감안하여, 공단에서는 열차가 350 km/h까지 주행시 고속철도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예측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강구하기 위한 연구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진동문제외에 소음, 승차감, 탈선계수, 공기동력학 등 고속철도 및 일반철도의 고속 화와 관련된 제반연구를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기회를 통하여 독자들에 게 고속철도에 관한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다방면에서의 기술협조 및 정보교환을 간곡히 요청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