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철도산업

검색결과 453건 처리시간 0.029초

한국근대기 철도공장의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용산공장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olling Stock Workshop to Analyze the Contribution to the Modern Korean Architecture)

  • 이상행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2권6호
    • /
    • pp.1049-1058
    • /
    • 2009
  • 한국의 철도공장은 철도도입과 함께 설립되었고 근대기 산업건축의 중심이 되었다. 한국 철도공장의 대표적 사례인 용산공장에는 근대기 건물이 다수 현존하는데, 특히 규모를 잘 보존하고 있어 이를 중심으로 근대기 건물의 건축적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의 철도공장은 입지조건이 적합한 곳에 건립되었고, 작업공정에 따른 시설 배치, 각각의 용도와 기능에 따른 독특한 구조 및 단면 입면의 형태를 갖고 있고 철골구조와 철근콘크리트 구조를 적극 도입하여 구조적 변환기로서의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철도공장이 한국 근대 공장건축의 초기적 특성을 갖고 있고 한국 근대기의 산업건축유산으로써, 중요한 가치를 지닌 과제임을 밝히려 한다.

철도구조개혁 과정에서의 이해집단간 갈등탐색에 관한 고찰: 옹호연합모형(ACF)을 중심으로 (Reviews on the Conflicts Among Interest Groups in the Process of Railway Restructuring: Focusing on the ACF(Advocacy Coalition Framework))

  • 이현정;김재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531-542
    • /
    • 2015
  • 우리나라의 철도산업 구조개혁 관련 논의는 1998년 철도청 경영진단을 시작으로 2005년 한국철도공사의 출범, 2013년 수서발 KTX 법인 면허 발급과 민영화 논란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철도산업 구조개혁이 10년 이상의 장기성을 통해 이루어진 점에 비추어, 이러한 정책변동은 여러 외적 변수와 장기적인 정책주체들의 상호작용에 기인하여 이루어졌다고 보고, 옹호연합모형을 적용하여 고찰하고자 하였다. 철도산업 구조개혁은 연합(Coalition)간의 합의점을 도출하지 못한 채 정권교체 등의 시점에 보다 우월한 지배연합에 의해 정책이 추진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정책의 성공적인 집행을 위해서는 깊은 갈등관계 속에서의 상이한 정책선호와 도구들을 중재하고 절충할 수 있는 대안을 도출하는 정책중개자의 역할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서울 도시철도 건설방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Construction policy for Seoul Metropolitan Railway)

  • 우남직;이원영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8권6호
    • /
    • pp.67-71
    • /
    • 2008
  • 본 연구는 그동안 지자체 및 각종 연구기관에서 조사된 교통 현황 및 각종 통계자료와 도시철도 현황을 재분석하고 교통과 인구의 관계, 서울의 지역별 산업분포와 종사자와의 관계, 승용차 등록대수 현황과 증가추이를 통해서 중장기적인 변화와 문제점을 예측하기 위해 연구되었으며, 서울도시철도의 발전적 건설방향과 안정적인 도시철도 건설을 위한 재원확보라는 양 측면에서 대안을 제시하였다.

전기철도차량용 주 전력변환장치(추진제어장치)의 이해

  • 정은성
    • 전력전자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7-41
    • /
    • 2011
  • 현대로템은 전기철도차량의 핵심장치인 주 전력변환장치(추진제어장치) 국산화 및 기술개발에 매진하여 왔으며, 성능 및 신뢰성 향상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기술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전력전자기술 및 산업기술 발전으로 인한 전기기기, 전력반도체, 제어기술 발전으로 전기철도차량용 주 전력변환장치(추진제어장치)도 비약적인 발전을 하였다. 이런 산업전반에 걸친 기술발전을 기반으로 현대로템은 전기철도차량용 주 전력변환장치의 원천기술 확보하면서 전기철도차량 시스템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본지에서는 전기철도차량의 핵심장치인 주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최근 전동차에 적용되고 있는 유도전동기용 주 전력변환장치인 추진제어장치를 소개하고자 한다.

철도가 가져온 사회경제적 변화에 관한 정성적 연구 (A Historical Review of Socio-economic Changes of Railroad)

  • 이용상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2권5호
    • /
    • pp.778-787
    • /
    • 2009
  • 본 논문은 우리나라에서 철도가 가져온 사회경제적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철도는 1899년 개통된 이후 금년으로 110주년이 되었는데 철도는 그동안 교통뿐만 아니라 국토의 공간구조, 새로운 도시의 형성 등 사회경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대전은 좋은 예의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철도가 가져온 변화를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통행시간의 변화, 도시발전과 인구변화, 산업의 변화, 문화와 관광의 변화 등을 분석하였다. 향후 이러한 연구는 다른나라와의 비교연구를 통해 철도가 가진 보편적인 기능과 한국철도의 독특성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경부고속철도 건설에 있어 안전성 확보를 위한 조치

  • 장경환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1998년도 창립기념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5-126
    • /
    • 1998
  • 경부고속철도는 서울-부산 간의 교통난 해소와 토목, 기계, 전자, 제어 등 관련 산업의 기술향상을 기할 수 있는 우리나라 최대의 국책사업으로써 1개 열차에 1,000여명의 승객을 싣고 시속 300km의 고속으로 열차를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어야 하기 때문에 고도의 정밀성과 완벽한 품질을 요구하는 고난도의 사업입니다.(중략)

  • PDF

철도산업의 공공서비스적 성격에 관한 고찰 (The Analysis of Public Service Obligation in Railroad Industry)

  • 권용장;한성호;김현웅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5-45
    • /
    • 1999
  • This Paper presents a concert of Public Service Obligation related with validity, suitability and rationality. As we know, The Public Service Obligation of KNR is a largest factor of loss in the Railroad Industry. In the future, PSO concept and Calculating methods have to be changed for providing rational Public service based on the various focus.

  • PDF

디지털 영상을 이용한 철도선형정보 추출 (The Extraction of Railroad Alignment Information Using Digital Imagery)

  • 서동주;김종원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399-408
    • /
    • 2006
  • 철도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가장 일찍이 개발되어 근대 산업발전에 크게 기여하였으나 20세기 중반이후 자동차, 항공기 산업의 발달과 투자의 집중으로 철도시설의 낙후 등 정체화의 길을 걷게 되었다. 그러나 산업의 고도화 및 분업화로 인한 교통수요의 급속한 증가와 다양화로 대량수송, 고속성, 안전성, 정시성, 에너지 효율성 및 환경오염 방지 측면에서 탁월한 장점을 갖는 철도의 역할을 재인식하게 되었다. 최근 기존선의 개량 및 이설하고자 할 경우 기존선의 평면선형 제원은 기본적인 자료로서 필요하게 되는데, 만약 최초 선형자료의 기본인 설계도서가 분실되었거나 훼손되었을 경우에 설계제원의 복원이 불가능하며, 최근 발생되는 각종 재난으로 인한 선로 유실시 선형의 정밀 복구가 어려운 실정이다. 철도선형제원이 기본적인 지리정보 자료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누락된 기존선의 철도선형에 대한 제원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간접자본시설인 철도를 대상으로 디지털 영상을 획득하고 분석 처리하여 선형의 3차원 형상을 재현하며, 선형제원을 역으로 산출함으로써 기존선의 선형자료를 정밀하게 추출하여 철도시설의 정보화 구축에 기여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