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철도경보장치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1초

적외선 센서와 무선통신을 이용한 열차접근경보시스템 개발 (Railway Access Alarm System Using Infrared Distance Sensor and Wireless Communication)

  • 황윤태;황성태;이윤성;김도근;이태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303-311
    • /
    • 2017
  • 국내의 철도작업자의 안전사고는 열차 운행 기관사의 부주의, 선로변 작업자의 감각차단 현상 및 신호수의 실수 등으로 인해 추돌사고가 주요 원인으로 매년 꾸준히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따라서 철도 작업 시, 선로변 작업자가 청각과 시각적으로 열차접근을 검지하여 열차 접근으로부터 대피할수 있는열차접근경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은 철도 작업장에서 1.5km 이상 전후방 선로에 열차자동겸지장치를 설치하여 자동으로 열차 진입을 검지하도록 하고 작업장에 설치된 실시간 경보장치에 유무선으로 검지 신호를 전달하도록 하며, 검지신호를 수신한 실시간 경보장치는 LED 경보등 및 사이렌 등으로 작업자에게 경보신호를 주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이전의 시스템에 비해 원거리에 있는 열차접근의 검지가 가능하고 주로 무선통신방식을 채택하여 통신배선작업이 불필요하며 충전식 배터리와 태양광 충전장치를 통해 외부 전원 공급이 어려운 현장의 상황에 적합한 이점이 있다. 시스템의 현장검증을 통하여 열차자동검지장치와 실시간 경보장치의 성능평가를 실시하였고 100%구동을 확인하여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선로변 작업자 철도교통 사상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설비 개발 (Development of Safety Equipment for Protection of Trackside Personnel Maintaining Using Radio Frequency Equipment)

  • 황종규;조현정;윤용기;김용규;장영준;고영환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2권5호
    • /
    • pp.738-743
    • /
    • 2009
  • 철도의 선로변에서 선로나 신호설비의 유지보수 작업을 장기간 수행할 경우 감각차단 현상에 의해 작업 전후방에 열차가 접근하고 있어도 작업자가 열차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작업자는 접근하는 열차와 접촉사고가 발생하여 사상사고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철도선로변 유지보수 작업자의 사상사고의 저감을 위해 열차에서 특정 신호를 무선으로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선로변의 작업자가 휴대하고 있는 단말장치에서 차상으로 부터의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작업자에서 진동, 소리, LED 등 다양한 경보신호를 제공하여 사고를 예방하는 안전설비를 제안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안전경보장치를 개발하였고, 현장시험을 통해 그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DEVELOPMENT OF PASSENGER SAFETY BOARD FOR RAILWAY VEHICLE USE

  • Mun Hyung-Suk;Eum Ki-Young;Koo Dong-Hoe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III)
    • /
    • pp.287-294
    • /
    • 2003
  • 본 논문은 철도차량의 출입문과 역사의 플랫홈 사이에서 승객의 승하차시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발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출입문의 개폐작동에 따라 연동하여 작동되는 안전발판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별도의 동력과 제어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음은 물론, 오작동 없이 정확하게 동작되도록 한 철도차량의 안전발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 역사의 플랫홈과 철도차량 간에는 열차의 원활한 안전주행을 위해 일정한 간격(이하 "연단간격"이라 함)이 유지된다. 이러한 연단간격은 가능한 한 좁게 형성되도록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러기 위해서는 역사를 직선으로 건설해야 하지만, 통상 지하철은 도심의 인구집중지역의 기존 대로를 따라 노선이 결정되어 공사가 이루어지므로 도시가스배관, 도로주변의 고층대형건물, 기존도로의 형상 및 지하수와 같은 여러 가지 조건에 의해 많은 역사들이 곡선부분을 포함하여 건설될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철도차량과 플랫홈 간의 연단간격이 크게 벌어지는 구간이 형성되어 짧은 정차시간에 많은 사람들이 승하차하면서 연단간격으로 승객의 발이 빠지는 등의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연단간격이 커짐에 따른 사고발생을 줄이기 위하여 연단간격이 큰 부분에 경고등을 설치하거나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경보장치는 차량이 지정된 궤도로 진입하면, 경고등에서 빛을 발산하여 차량과 플랫홈 사이의 공간에 대한 위험성을 승객에게 주의시키면서 경보나 안내방송이 나오게 하고, 차량이 역사를 출발하여 궤도를 지나면 그 작동이 멈추는 장치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보장치는 위험성을 승객에게 알려 승객 스스로가 위험에 대처하도록 하는 주의정보제공의 기능만을 가지는 장치로서, 바쁜 출퇴근 시간이나 혼잡한 상황에서는 만족할 만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웠고, 특히 위험 대처능력이 떨어지는 어린아이나 노약자에게는 위험성이 그대로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경전철이 있는 나라에서는 경전철용 차량에 승객이 안전하게 승하차할 수 있도록 계단식 발판을 설치하는 차량용 발판이 제공되어 있으나, 국내 지하철에 적용하기에는 차체 및 역사의 구조상 불가능하였다. 차량의 바닥이 플랫홈과 거의 동일 레벨상에 위치하므로 안전발판이 차량의 바닥과 수평이 되도록 작동되어야 하고, 차량에 있어서도 스테인레스 차량인 경우 사이드 빔(Side beam), 알루미늄 차량인 경우 솔바(Sole bar)에 구멍을 뚫으면 전체적인 차체의 강도 및 구조상의 문제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 이전에 개발된 국내외 안전발판장치를 소개하고 연단간격과, 차량 플랫홈의 높이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함께 해결하는 안전발판장치를 해결책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PDF

GPS와 RF 방식의 열차접근경보장치에 의한 철도 안전 시스템 구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Railroad Safety System of Train Alarm Device Using GPS and RF type)

  • 심재복;온정근;권기진;이강원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62-1364
    • /
    • 2004
  • Recently, GPS device is used in various industries. GPS can calculate a moving train's velocity, location, and direction. In this paper, we examine a train approaching alarm device's application, possibility, and merits in the train system. Especially, we investigate solubility of trouble caused by using GPS and RF system for detecting the train's velocity, the location and direction recognition.

  • PDF

레일 단락감도 불량으로 발생하는 무경보 예방을 위한 건널목보안장치 설계 (Study on Design of Rail Level Crossing System for Preventing from Non-Alarming Status Caused by Track Shunting Sensibility Errors)

  • 장동완;전태현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160-166
    • /
    • 2010
  • 철도와 도로가 평면 교차하는 개소에서 열차의 진입을 통행자에게 알려 사고를 방지하는 운전보안설비를 건널목 보안장치라 하며, 이 장치는 레일을 전기회로의 일부로 사용하여 회로를 구성하고 철도차량의 차축에 의해 레일사이를 단락함에 따라 열차의 유무를 검지하는 궤도회로장치에 의한 것이 대부분이다. 그 만큼 건널목보안장치에서 궤도회로장치가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열차운행 횟수 감소로 눈, 비, 습기 등에 의하여 레일에 녹이 발생하여 열차가 궤도회로를 점유하여도 단락감도 불량으로 궤도회로가 낙하되지 않아 건널목보안장치 무경보 발생으로 도로차량과 충돌하는 사고발생이 우려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열차에 의해 궤도를 단락하는 열차검지방식에서 적외선 센서에 의해 열차접근을 확인하여 건널목보안장치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변경하여 열차안전운행을 확보하는 효율적인 안전장치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 방법을 제안한다.

휴대용 열차접근경보장치에 적용되는 GPS모드와 RF모드의 거리 및 속도 분석 (Analysis to distance and train speed of portable alarm system using GPS and RF mode)

  • 권기진;온정근;심재복;최영하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71-1473
    • /
    • 2004
  • A portable train approaching warning device can be used in order to reduce accidents of the workers on the rail, who are working without recognizing the approaching train, and to secure the safety of the workers. It can be installed in the train so that workers can recognize the approaching train. However, it is not easy to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train precisely. In this study GPS and RF devices, which are used to calculate the location of the train were reviewed, to see how much error tolerance they have in the field, to analyze the distance for normal transmission between the receiver and transmitter, to verify the conformity of the portable train approaching warning device developed as a prototype model to the current rail system, and to provide the related fields with the analysis results to improve the existing or application technology. Additionally, test methods to locate the train were introduced and each test result was compared and analyz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