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철골

Search Result 730,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Case Study on Controlled Explosive Demolition of Steel Frame Structure Using Charge Containers (장약용기를 이용한 철골구조물 발파해체 사례)

  • Park, Hoon;Nam, Sung-Woo;Suk, Chul-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91-92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노후화된 화력발전소를 해체하고 원래의 자연환경으로 복원하는 공사가 진행되는 가운데 화력발전소 내 대형 철골구조물 중 하나인 터빈동을 발파해체공법을 적용하여 해체한 사례이다. 두께 30mm의 철골 부재를 절단하기 위해 금속제트가 발생되는 전용 장약용기를 제작하였으며, 철골 부재의 두께가 30mm 이상인 일부 철골 부재의 경우에는 가우징을 이용하여 사전취약화를 실시하였다. 또한 구조물 내부에 있는 일부 철골 부재에 대해 kicker charge를 사용하여 붕괴거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였다. 발파에 사용한 전체 장약량은 175kg, 전자뇌관 165개, 장약용기 124개를 사용하여 계획된 방향으로 점진붕괴되었으며, 주변 시설물에 피해 없이 발파해체를 완료하였다.

  • PDF

XML-base Process Improvement for Change Order of Construction Steel Works (XML 적용 철골공사 설계변경 프로세스 개선)

  • Nam, Gyoung-Woo;Seo, Yong-Chil;Hyun, Chang-Taek;Koo, Kyo-Ji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7 no.1 s.29
    • /
    • pp.64-72
    • /
    • 2006
  • The participants of steel works should exchange a variety of information with others through documents. However construction steel works in the multistage contract system has a difficulty in exchanging information through the documents promptly. So if the trouble as change orders arise, conducting steel works will take much time, and the participants may not discuss the trouble sufficiently. Consequently this study improved the current business process of steel works. And this developed business support system(XCOS) based on XML so that participants of steel works achieve a successful management of steel works through conducting business rapidly and correctly.

Development of Labor Productivity Index for Steel Construction (철골공사의 노동생산지수 개발)

  • Kang Byoung-Ryoul;Kim Ki-Sung;Um Ik-Joon;Koo Kyo-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4.11a
    • /
    • pp.353-357
    • /
    • 2004
  • The construction competition is more deepened with the enterprise possibility increase which it follows in the regulation relaxation back against the construction market penetration which carries and the instability of market is added an extra weight and it solves the aspect where also the profitability which is caused by with low price bidding decreases. Against a productivity with the overcome plan it is researched plentifully and the far for a productivity improvement, there is so far to construction, the productivity being used with only include meaning, is to a practical affairs and the application ver)r as the level which is feeble is a possibility of doing. It is like that and the research develops the producing district possibility of new steel-frame work and in the actuality which sees the production volume of steel-frame work and a construction accomplishment process effectively and to be right numerical figures it does it plans it controls and manages the place ultimate objective which it puts.

  • PDF

A Study on Quantitative Lateral Drift Control of Tall Steel Braced Frames subject to Horizontal Loads (수평하중을 받는 고층철골가새골조의 정량적인 횡변위제어에 관한 연구)

  • Kim, Ho-Soo;Lee, Han-J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
    • v.12 no.4 s.47
    • /
    • pp.397-406
    • /
    • 2000
  • This study presents an effective optimal technique to control quantitatively lateral drift for tall steel braced frames subject to horizontal loads. In this paper, the displacement sensitivity depending on behavior characteristics of steel braced frames is established, and also the approximation concept that has the generality of the mathematical programming and can efficiently solve large scale problems is introduced. Especially, the commercially available standard steel sections are used for the discrete selection of member sizes. Three types of 12-story braced frames and a 30-story braced framework are presented to illustrate the features of the quantitative lateral drift control technique proposed in this study.

  • PDF

The Numerical Study on Capacity Evaluation of Exposed Steel Column-Base Plate Connection (노출형 철골기둥-베이스 플레이트 접합부의 내력평가를 위한 수치적 연구)

  • Lee, Kwang-Ho;You, Young-Chan;Choi, Ki-Sun;Koo, Hye-Jin;Yoo, Mi-Na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0 no.5
    • /
    • pp.26-34
    • /
    • 2016
  • The failure modes of steel column-base plate connection arranged on the basis of AISC Design Guide-#1 and -#10 are base plate tension and compression side flexural yielding, yielding, pull-out and shear failure of anchor rod, concrete crushing in concrete footing and steel column yielding. The bending moment capacity and failure mode in this connection are predicted using limit-state function and we compare these results and test result. In the case that thickness of base plate is relatively thick, bending moment capacity and failure mode in steel column-base plate connection accurately predicted. But in the case that thickness of base plate is relatively thin and axial force do not exist, prediction of failure mode in this connection is somewhat inaccurate.

Comparison analyzation of Calculation Equations for Shear strength of Steel Plate Coupling Beam (철골 플레이트 커플링보의 전단강도에 대한 기준식의 비교.분석)

  • Lee, Kyung-Hwun;Song, Han-Beom;Park, Jin-Young;Yi, Waon-Ho;Tae, Kyu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Conference
    • /
    • 2008.04a
    • /
    • pp.129-132
    • /
    • 2008
  • Coupled shear wall system is the primary seismic load resisting system of buildings. The coupling beam of these buildings must exhibit excellent ductility and energy dissipation capacity. To achieve better ductility and energy dissipation, the steel coupling beam embedded in the reinforced concrete walls is proposed. Performance of the steel coupling beam is mainly effected by embedment length. ACI equation and BS equation were examined with 23 previous test results. The statistical study uses the values of mean value, standard deviation, correlation coefficient, normal distribution curve, and error analysis. Through the analytical program, the evaluation of the 2 equations was established.

  • PDF

철골공사 작업중단 빈도수와 사고방지 예측

  • 홍승렬;손기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483-486
    • /
    • 2003
  • 사무소는 물론 초고층 아파트에까지 철골구조에 의한 공사가 시행되고 있다. 이처럼 상업용 사무소 건물의 경우 초고층 일 수밖에 없으며, 철골구조공사는 필수적이다. 공사공정 및 잠재위험은 그만큼 증대 될 수밖에 없다.(중략)

  • PDF

Shaking Table Tests of Base-Isolated Steel Frame (지진격리된 철골구조물의 진동대 실험)

  • 윤정방
    • Proceedings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7.04a
    • /
    • pp.136-143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철골구조물을 대상으로 지진격리(Base-Isolation)를 사용하였을 때의 진동감소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지진하중에 대한 진동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대상구조물은 $\frac{1}{4}$축소모형의 3층 철골구조물이며, 입력지진은 여러 계측기록과 UBC 설계스펙트럼으로부터 3가지 지반조건에 대하여 작성한 인공지진기록을 사용하였다. 축소 실험모형은 기초가 고정된 일반적인 철골구조물과 적층고무받침(Laminated Rubber Bearing) 형식의 지진격리장치(Base Isolator)를 사용한 구조물을 동시에 설치하여 그 지진응답을 비교 관찰하였다. 대부분의 하중하에서 지진격리장치가 사용된 철골구조물의 경우에 지진응답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장주기파의 성분이 강한 지반운동에 대해서는 오히려 지진응답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여러 지반조건에 대하여 UBC 시방서에서 규정한 설계하중에 대하여는 진동감소효과가 우수함을 보인다.

  • PDF

Effect of Dampers on Preventing Progressive Collapse in Steel Frames (감쇠기가 철골조 건물의 연쇄붕괴 방지에 미치는 효과)

  • Lee, Seung-Jun;Choi, Hyun-Hoon;Kim, Jin-Koo;Huynh, Chanh Trung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154-157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비선형 동적해석법을 이용하여 감쇠기의 적용이 철골조 건물의 연쇄붕괴 방지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단자유도 구조물에서 감쇠비의 변화에 따라 폭발하중이 구조물의 응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15층 3경간 철골조 건물에서는 일정한 감쇠비 하에서 경간을 6m, 9m, 12m로 달리 하면서 감쇠기 설치 효과를 비교하였다. 단자유도 시스템의 경우 감쇠비가 증가 할수록 폭발하중에 의한 진동이 빠르게 감소하고 변위의 감소폭도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15층 철골조 건물에서도 역시 감쇠기를 설치할 경우 수직 처짐 및 초기 진동을 제어하는 효과가 있었다. 구조물의 경간이 증가하여 수직 변위가 증가 할수록, 감쇠기에 의해 소산된 에너지도 증가하기 때문에 수직 처짐 제어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Rapid demolition of locally damaged steel truss bridge (국부손상 철골 교량 구조물의 긴급해체 사례)

  • Park, Hoon;Noh, You-Song;Suk, Chul-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197-198
    • /
    • 2017
  • 인공재해와 자연재해로 인해 발생하는 비정상 하중에 의해 국부손상이 발생된 철골 교량 구조물은 추가적인 2차 붕괴의 위험요소들을 내재하고 있어 신속한 전면 해체가 요구된다. 본 시공 사례는 건설실패와 태풍 및 지진으로 국부손상이 발생된 철골 트러스 구조의 교량의 긴급해체를 위해 발파해체 공법을 적용한 사례이다. 철골 부재의 절단을 위해 성형폭약이 필요하지만 현지에서 수급이 불가능한 상태이기 때문에 장약용기를 직접 제작하고 에멀젼 폭약을 충전하여 만든 성형폭약을 이용하여 발파해체에 적용하였다. 직접 제작한 성형폭약을 이용하여 발파해체한 결과 철골 부재가 정확히 절단되면서 교량의 중앙부가 수직자유낙하하고, 교량의 양 끝단은 지지부를 중심으로 회전낙하 하였다. 또한 존치 구조물 및 주변에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발파 후 파쇄 상태는 매우 양호하였다. 이로 인해 직접 제작한 성형폭약의 절단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신속하고 안전하게 국부손상이 발생된 구조물을 해체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