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천연 소재

검색결과 1,158건 처리시간 0.033초

피부미용 관련 천연 자외선 차단 소재 연구동향 분석 (A Study on the Trends of the Natural UV Protection Materials Related to Skin Beauty)

  • 김현숙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07-11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천연 소재를 이용한 자외선 차단 제품 개발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은 피부미용 관련 자외선 차단제의 국내외 산업 현황과 천연 소재 연구 동향, 그리고 특허 현황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자외선 차단제는 미국 시장이 전 세계의 약 21%를 차지하는 가장 큰 시장이며 중국 시장이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다. 기능성 화장품 주요 4종의 국내 생산실적 1위는 복합기능제품이며, 주름개선과 자외선 차단제, 미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세계시장 및 국내시장 모두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최근 10년간 천연 자외선 차단 소재 연구동향을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 황금, 홉, 감초, 핑거루트, 녹차, 야관문 추출물 등이 효능이 있으며 그 이외에도 광노화, 항산화, 항염, 항균, 미백, 주름개선 등의 효능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 등록 현황은 건수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식물이나 해조류에서 성분을 확보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향후 세계적 트렌드에 맞춰 안전하고 효능이 증명된 천연 자외선 차단 소재들을 개발해 간다면 다기능 천연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충분히 활용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연구실 탐방 - 명지대 천연신기능성소재센터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기술
    • /
    • 제29권11호통권330호
    • /
    • pp.82-83
    • /
    • 1996
  • 지난 3월 경기도 용인 명지대에서 발족한 천연신기능성소재센터는 산학협동을 통해 기술집약적이면서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소재를 공동 개발하기 위해 50여명의 젊은 연구원들이 활발한 연구활동을 펴고 있다. 명지대 용인 캠퍼스 30만평중 5만평의 연구단지에 세워지는 이 연구센터는 경기도와 제휴, 지역경제 발전에도 이바지하게 될 것이다.

  • PDF

천연소재 흔합물의 보충급여가 부고환 지방세포 크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atural Plants Supplementation on Adipocyte Size of the Epididymal Fat Pads in Rats)

  • 김현숙;김태우;김대중;황하진;이현주;최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419-42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천연소재 혼합물이 혈중 지질 함량 및 부고환 지방세포의 크기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혈액 중 총 콜레스테롤과 LDL 콜레스테롤은 천연소재 섭취에 의한 유의적인 감소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중성지방은 정상식이군에서 감소하였고 HDL 콜레스테롤은 정 상식이군에서 증가하였다. 부고환 지방조직은 고지방식이 섭취에 의해 지방세포 크기가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나 천연소재 섭취로 인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는 천연소재섭취에 의해 체지방 축적이 억제되어 지방세포의 hypertrophy를 억제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축산계 천연 조미료의 현황과 가공식품에의 이용

  • 박우문
    • 식품기술
    • /
    • 제7권1호
    • /
    • pp.10-21
    • /
    • 1994
  • 최근 국민소득의 급격한 증가와 더불어 식생활 패턴에도 커다란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식생활에 있어서 기호의 다양화, 생활의 고도화 그리고 식품가공기술의 발단과 더불어 편의 식품등 가공식품의 보급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가공식품 산업의 역할은 보존성, 기호성 및 편리성의 향상이며 이중에서 특히 기호성의 향상은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역할이라 할 수 있다. 기호성의 향상에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이 조미료이며 식생활의 다양화, 고급화에 따라서 조미료의 사용에 있어서도 종전의 글루타민산 나트륨(mono-sodium glutamate)으로부터 동식물 엑기스 등의 천연 조미료를 이용하려는 변화가 오래전부터 일고 있다. 천연 조미료가 소재가 될수있는 소재는 동식물성 식품중 여러가지 종류가 있으나 그중 축육류는 풍부한 영양성과 더불어 소비자의 기호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독특한 향미성이 있어 각종 조리 및 라면스프, 육제품등 가공식품의 조미 소재로서 이용도가 날로 증대되고 있다.

  • PDF

천연항균제 처리에 의한 가공두부의 선도유지 효과 (Effect of Steeping Treatment in the Natural Antimicrobial Agent Solution on the Quality Control of Processed Tofu)

  • 정준호;조성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1-46
    • /
    • 2003
  • 본 실험에서는 가공 두부를 천연항균소재인 자몽종자추출 물의 유도체에 침지 처리한 후 꺼내어 상온에서 저장하면서 가공 두부의 품질(총균수, 수분 함량, 조지방의 함량, 조단백의 함량, 표면색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무처리 대조구와 비교하면서 조사하였다. 천연항균소재의 희석액에 침지처리한 가공두부는 대조구에 비하여 수분함량, 조단백 및 조지방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총균수는 천연항균소재 처리구의 증가폭이 무처리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대장균수도 압도적으로 낮은 간을 보여 주었다. 아울러, 처리구의 표면색도는 대조구에 비하여 백색도를 두드러지게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천연항균소재의 침지처리는 가공두부의 선도유지 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천연염색 한지직물을 활용한 문화상품 제작 (I) (Making Cultural Products Using Natural Dyed Hanji-Fabric (I))

  • 정진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4호
    • /
    • pp.23-27
    • /
    • 2019
  • 우리나라는 오천 년 역사를 이어오는 동안 우수한 문화자산을 축적해 왔으면서도 문화를 상품화하는 일을 소홀히 하였다. 그 결과 세계인이 인정하는 기술이 있으면서도 세계에 내놓을 만한 훌륭한 문화상품이 없다. 따라서 전통문화 속의 독특한 소재를 활용하여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 디자인하여 상품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천연염색에 의한 직물은 채도가 낮으므로 특별한 배색조화를 하지 않아도 잘 어울리며, 자연스럽고 편안한 느낌을 준다. 따라서 천연염색으로 얻어진 직물들은 문화상품 개발을 위하여 매우 적절한 소재라고 생각된다. 또한 한지는 질기고 중후하며 우아한 느낌을 지니고 있어서 그 자체로 예술의 한 분야를 구축할 수 있는 우수한 소재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적으로 뛰어난 한지를 소재로 한 한지직물을 활용하여, 쪽, 홍화, 황벽, 그리고 자근으로 천연 염색하였다. 그 염색 직물을 활용하여 두 대의 양산과 카드 지갑의 문화상품을 만들어 제시하였다.

신기술 신소재/해외기술 - 천연소재 유래 다당체의 면역조절 기작 (Immunoregulatory Mechanism of Polysaccharides from Natural Plant Resources)

  • 조장원
    • 식품기술
    • /
    • 제26권3호
    • /
    • pp.178-187
    • /
    • 2013
  • 분자단계에서 천연소재 유래 다당체는 면역 세포 표면(예, 대식세포)에 있는 한가지 또는 여러가지 수용체(${\beta}$-glucan 수용체, mannose 수용체, complement 수용체 3, Toll-like 수용체, scavenger 수용체)와 면역 반응을 시작하기 위하여 결합할 수 있고, 그 후에 신호전달을 위하여 cytokine과 second messenger($Ca^{2+}$, cAMP, cGMP, NO 등등)들을 생성한다. 그 결과로 선천면역과 적응면역을 유도하여 다양한 질환에 영향을 미친다. 추가적으로 다당체들의 면역조절은 신경내분비 체계의 조절과도 연관되어 있다. 최근 수많은 천연소재유래 다당체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다양한 연구를 통해 정확한 약효, 낮은 독성과 부작용을 가진 일단의 다당체가 발견되어 현재 임상에서 암 치료에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사실들은 면역증진 다당체들이 항 종양치료를 위한 새로운 치료제로서 큰 시장을 개척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사실에도 불구하고 현재 다당체에 대한 연구는 다음과 같은 취약점을 내포하고 있다. 첫째 다당체의 생리활성에 대한 정해진 비교기준이 없다. 특별히 임상 환경에서는 이러한 연구들이 중국, 일본, 한국과 일부 다른 동양국가들에 국한되어 있어 유럽이나 미국에서의 연구 자료가 결여되어있다. 둘째 현재 연구에 사용되고 있는 대다수의 천연소재 유래 다당체는 순수한 다당체가 아닌 천연 그대로의 것을 사용하고 있어 소재로부터 유래하는 다른 활성성분에 의해 쉽게 영향을 받을 수 있어 순수 다당체가 면역체계에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는지 진단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셋째 면역조절 경로에서 다당체의 정확한 신호전달 경로가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고, 또한 동물과 임상실험에서 다당체가 작용하는 수용체 및 신호전달 경로에 대한 상반되는 결과가 발표되고 있기도 하다. 따라서 다당체의 면역조절활성에 대한 연구에 있어 다음과 같은 점들에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첫째 다당체의 구조와 활성간의 상관관계를 밝혀야 할 것이다. 특히 다당체의 세부 구조 및 활성 부위를 밝혀낸다면 분자수준의 면역조절 기작을 명확히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면 다당체의 구조를 변형시켜 활성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며, 또한 활성이 증가된 다당체를 합성하는 일도 가능해 질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beta}$-glucan과 lentinan과 같은 정제된 다당체의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효과적인 동물실험 및 임상실험 protocol을 확보하고 연구결과들에 대한 database를 구축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노력들이 성공적으로 수행된다면 천연소재유래 다당체들이 가까운 장래에 암 치료를 포함한 다양한 질병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면역조절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천연소재 혼합물 섭취가 당뇨환자의 혈당 및 당화혈색소에 미치는 영향 (Hypoglycemic Effect of Naturaceuticals Extract Supplementations in NIDDM Patients)

  • 김현숙;김대중;황하진;이현주;최면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1호
    • /
    • pp.68-71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동충하초, 메밀쌀, 인진쑥 등 천연소재 혼합물 섭취가 당뇨병 환자의 혈당수준 및 당화혈색소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천연소재 혼합물을 섭취한 후 공복혈당과 식후혈당이 각각 118.4${\pm}$3.9mg/dl, 160.5${\pm}$4.0mg/dl로 섭취 전에 비해 36.5%와 45.0%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으며, 대상자들의 혈당수준은 4주 이내에 정상범위에 도달하였다. 그러나 천연소재 혼합물의 섭취를 중단한지 3주 후에는 168.4${\pm}$6.2mg/dl 와 245.9${\pm}$7.8mg/dl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위약제품으로 전환하여 섭취시킨 7주후에는 실험시작 전의 혈당수준으로 돌아갔다. 대상자들의 당화혈색소는 7주간의 천연소재 혼합물을 섭취한 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7주 동안의 천연소재 혼합물의 섭취가 당뇨병 환자의 당질 대사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므로 동충하초, 메밀쌀, 인진쑥이 첨가된 기능성 식품이 당뇨병의 치료 및 예방에서 유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코로나 19 시대의 화장품분야 천연소재 개발방향

  • 정의수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4
    • /
    • 2021
  • 전 세계는 covid 19의 pandemic 상황이 장기화되면서 화장품 분야의 trend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covid 19의 예방으로 마스크는 생활필수품이 되었고, 행정적으로도 사무공간에서도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으면 과태료를 부과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이로 인하여 장시간 마스크 착용은 필수 불가결한 상황이며, 이로 인하여 얼굴 피부의 장벽기능(barrier function)의 와해로 인하여 피부가 예민해지고 크고 작은 피부의 trouble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은 화장품의 선택에 있어 피부 진정과 피부에 자극완화(anti-irritation) 및 안전성(safety)에 대한 것으로 점차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Covid 19 이전의 화장품 소재 및 제품 개발의 트렌드는 국내의 기능성화장품 범주에 있는 미백 관련, 주름관련, 자외선 차단관련, 염모관련, 육모 탈모 관련, 여드름관련, 피부장벽관련, 튼살 관련 기능성 소재 및 제품 개발과 화장품 용도외의 고기능성 부여를 위한 코스메슈티컬(cosmeceutical)용 제품의 개발이 중요한 시기였다. 코스메슈티컬(cosmeceutical)은 화장품(cosmetic)과 의약품(pharmaceutical)의 합성어이다. 그러나 최근 Covid 19의 상황에 따라 화장품 업계는 포스트 코로나의 트렌드로 피부 장벽기능 강화, 피부노화 억제, 식물성, 자극완화, 비건, 안전성 확보에 대한 다양한 천연 소재의 연구와 제품을 개발 출시하고 있다. 따라서, 2020년 Covid 19의 상황에 따른 화장품 분야의 천연 신소재 및 화장품 개발 방향에 대하여 자원 식물의 활용성 및 개발 동향에 대하여 논의 하고자한다.

  • PDF

연구실탐방-명지대 천연 신기능 소재 개발 센터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기술
    • /
    • 제31권3호통권346호
    • /
    • pp.92-93
    • /
    • 1998
  • 명지대 천연 신기능 소재개발 센터는 국내최초로 비타민A의 제조기술을 확립한데 이어 이번엔 '베타 카로틴'의 혁신적인 제조기술의 완성단계에 이르러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베타카로틴은 비타민A를 제공해주는 전위체로 면역증진 및 항산화제로서의 효과가 큰 물질이다. 이 개발센터는 항균활성을 갖는 천도 만들어 병원과 일반 위생업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