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천식아동의 가족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1초

부모의 특성을 포함한 아동기 천식과 아토피 피부염의 영향요인: 제5기 2차년도(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Asthma and Atopic Dermatitis in Korean Children: A Population-based Cross-sectional Survey)

  • 이윤정;김지수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1권1호
    • /
    • pp.20-27
    • /
    • 2015
  • 목적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아동 천식과 아토피피부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가 공동으로 수행한 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2차년도(KNHANES V-2) 자료를 이용한 2차 분석으로 12세 미만 아동 1,170명을 대상으로 SPSS를 이용한 복합표본 분석을 하였으며 각 단위별 가중치를 적용하였다. 결과 본 연구를 통해 아동 천식에는 3세대 가족구성, 주관적 건강상태에 대한 인식이 보통이하인 경우, 그리고 어머니의 천식이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고 아토피 피부염은 주관적 건강상태에 대한 인식이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아동기 주요 문제가 되고 있는 천식과 아토피 피부염 모두 부모로부터 인식되는 주관적 건강상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주관적 건강인식이 삶의 질을 반영하는 결과인 만큼 아동의 천식과 아토피 피부염은 질병으로써의 치료뿐만 아니라 가족과 아동을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건강증진에 초점을 두는 중재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토대로 천식과 아토피 피부염 아동과 가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 방안을 마련하는 연구의 계기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집단 사회적지지와 개별 사회적지지가 천식아동 가족의 부담감과 가족기능에 미치는 영향 (Comparision of Group and Individual Social Support on Burden and Family Functioning in Families with Asthmatic Children)

  • 전화연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418-428
    • /
    • 1999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group social support and individual social support on the reduction of burden and improvement in family functioning of families with asthmatic children.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a randomized pre-posttest quasi-experimental design to compare the two experimental groups. The theoretical framework for this study was derived from the study of burden in family caregivers by Suh and Oh (1993) based on the main effect model of social support theori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12, 1998 to May 29, 1998 at the pediatric out patient department of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Suwon city. The sample consisted of 39 family members who were identified as families with asthmatic children, Eighteen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group social support group and 21 were assigned to the individual social support group. Group and individual social support members were seen for 60 to 90 minutes, four times over one to three weeks.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Burden Scale developed by Suh & Oh(1993), the Visual Analogue Scale, and the Family Adaptability Cohesion Evaluation Scale(FACES-III) developed by Olson, Portner, and Lavee(1985).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Mann-Whitney test, x$^2$-test, Wilcoxon sign rank test, t-test, ANOVA (Scheff),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d social support process and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 :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fore the experimental treatment among the subjects in the group social support group and individual social support group for general characteristics, burden, or family functioning. 2. Hypothesis 1 : “There will be a greater reduction on the burden score of the group social support group compared to the individual social support group”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U=174.5, p=.683). The burden score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after participation in social support as compared to before participation for both groups. However there was a tendency for more reduction in the burden scores for the group social support than for individual social support. 3. Hypothesis 2 : “There will be a greater improvement in the family functioning scores for the group social support group compared to the individual social support group”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U=153.0. p=.309). There was a tendency toward improvement in the family functioning scores of the group social support as compared to that of the individual social support. 4.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treatment period, families with asthmatic children displayed affirmative responses, and the families set up a self-help group of mothers with asthmatic children in order to share their experiences, to get information and to solve their problems.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group social support was the more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reducing burden and for improving family functioning of families with asthmatic children.

  • PDF

학동기 아동에서 코골이의 유병률과 관련인자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Snoring in School-Aged Children)

  • 조성종;김은영;노영일;양은석;박영봉;문경래;이철갑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11호
    • /
    • pp.1340-1345
    • /
    • 2002
  • 목 적 : 코골음은 소아에서 흔히 보이는 증상 중 하나로, 일부에선 주간의 과다졸음,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야뇨증, 두통 등의 행동장애와 수면 시간 감소와 수면 중 잦은 깸 등의 수면장애를 일으키고 심한 경우엔 수면 무호흡 증후군을 동반하기도 한다. 수면 무호흡의 고위험 인자로 비만이나 코골음의 가족력 그리고 동반질환의 연관성이 보고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초등학교 아동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이용하여 코골음의 유병율, 유발인자, 동반되는 수면장애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 소아에서 수면 장애를 대처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되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2001년 7월 광주광역시에 소재 2개 초등학교 학생 1,707명(남학생 816명, 여학생 89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분하여 부모님의 지도하에 무기명으로 기입하도록 하여 최근 6개월 이내의 코골음의 발생 빈도 그리고 코골음으로 인해 수면시간 감소, 잠꼬대, 낮잠, 졸음 및 학교 성적 저하 등의 수면장애로 인한 결과들과 비만이나 여러 질환 등의 유발인자와 코골음과 연관성을 연구하였다. 결 과 : 1) 전체 대상 아동 29.0%에서 최근 6개월 이내에 코골음을 경험하였고 15.6%에서는 1주일에 1회 이상씩 자주 경험하였고 거의 매일 코를 고는 아이들은 4.3%이었다. 코골음군에서는 남녀 각각 19.5%, 12.0%로 남아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 연령의 차이는 없었다. 2) 두 군 모두 저녁에 잠자는 시간은 8-10시간이 가장 많았고, 코를 자주 고는 군에서 8시간 미만으로 자는 경우와 수면 중 잠꼬대를 하는 경우가 의의있게 많았으며, 주간에 과다하게 졸음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으나 낮잠, 야뇨증, 학교 성적 저하, 피로감, 아침에 일어나 두통을 호소하는 경우 등은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3) 코를 자주 고는 군에서는 남아인 경우, 편도 비대, 기관지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부비동염, 비만 등이 의의있게 많았고, 의의있는 관련 요인들 중에서 남아인 경우, 편도 비대, 비만, 부비동염 등이 의의있는 위험요인이었다. 특히, 비만인 경우는 고도 비만일수록 코골음과의 연관성은 증가하였다. 결 론 : 1주일에 1회 이상 자주 코를 고는 아이들의 유병율은 15.6%이었고 코골음으로 인해 수면시간의 감소, 수면 중 잠꼬대, 주간의 심한 졸음 등 수면장애로 인한 증상들이 의의있게 많았다. 유발인자들 중에서 편도 비대, 비만, 기관지 천식, 부비동염의 병력이 유의한 위험요인으로 작용하였다. 학동기 아동에서 적극적인 체중 조절과 호흡기 및 알레르기성 질환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로 코골음의 발생을 줄여 수면장애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