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천문 관측

Search Result 901,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한국천문연구원-제22호

  • 한국천문연구원
    • KASI NEWSLETTER
    • /
    • s.22
    • /
    • pp.1-4
    • /
    • 2000
  • 광학천문학 워크샵 2000 성황리에 마쳐/소형망원경을 이용한 천체관측 연구 워크샵 개최/지역천문대 하반기 관측일정 확정000년 하계 교원연수/2000년 하계 교원연수 실시/새로운 홈페이지로 교체/연구원 방문의 날 행사 실시/CFH와의 국제공동 운영에 관한 MOU 체결 의의/IAU 24차 정기 총회 소식/외국의 천문대 현황-BBSO 태양관측소/CAPP 2000 conference를 다녀와서/콜로키움/소백산 천문대의 어제와 오늘

  • PDF

한국천문연구원-제26호

  • 한국천문연구원
    • KASI NEWSLETTER
    • /
    • s.26
    • /
    • pp.1-4
    • /
    • 2001
  • 하와이 CFHT 망원경 관측제안서 모집 결과/조선시대 일식도 발간/제9회 천체사진 공모전 당선작 선정 및 시상/홈페이지 질문상자 이용빈도 급격히 증가/국립중앙과학관과 천체사진 전시회 공동 개최/과학의 달을 맞아 별의 축제 개최/국가지정연구실 미르호 대책반 참여/CFHT 망원경을 이용한 공동연구 및 자료분석 컴퓨터/우리 연구원 홈페이지 질문상자 3,000회 돌파/콜로퀴움/GPS 관측자료 웹서비스 실시

  • PDF

Public Observatory - 꿈과 희망, 별과 문화가 어우러지는 전라남도 교육과학연구원

  • 한국천문연구원
    • KASI NEWSLETTER
    • /
    • s.97
    • /
    • pp.14-15
    • /
    • 2010
  • <'글로벌 인재육성'을 위한 교육현장 지원충실>을 운영지표로 1990년 9월에 개원한 전라남도교육과학연구원은 학생들에게 꿈과 희망, 그리고 창의성 신장을 위해 과학교육 현장지원과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천체관측교육으로 지역특성에 맞게 낙도 및 오지로 ‘찾아가는 천체관측교육’과 별과 문화가 어우러지는 천체관측활동을 통해서 지역사회의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 PDF

과학기술 동호인 소개-한국 아마추어 천문학회

  • Lee, Tae-Hyeong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28 no.1 s.308
    • /
    • pp.90-92
    • /
    • 1995
  • 신비롭고 아름다운 밤하늘의 별자리를 관측하는 동호인들의 모임으로 한국 아마추어 천문학회는 91년에 재창단되어 「별의 축제」등 우주관측행사를 벌이고 있다.

  • PDF

Development of 1064 nm squeezer for quantum non-demolition measurement in gravitational wave detector

  • Park, June Gyu;Kim, Chang-Hee;Lee, Sungho;Kim, Yunjong;Seong, Hyeon Cheol;Jeong, Ueejeong;Je, Soonkyu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6 no.2
    • /
    • pp.60.3-60.3
    • /
    • 2021
  • Squeezed vacuum injection을 이용한 중력파 검출기의 관측감도 향상 기술은 중력파 검출기 광신호의 양자 잡음을 제어하여 관측감도를 높이는 기술로 이론적으로는 10dB에 가까운 신호 대 잡음비 향상을 달성할 수 있다. 실험실 환경에서는 이미 10dB 이상의 신호 대 잡음비 향상을 달성했으며 실제 중력파 검출기에서는 GEO600의 6dB의 신호 대 잡음비 향상이 현재까지 가장 높은 수준이다. 한국천문연구원에서는 2019년부터 차세대 중력파 검출기 기술개발로 1064 nm 파장의 squeezer 개발을 추진했으며 현재 parametric down conversion을 이용해 squeezed vacuum을 생성하는 공진기를 제작하여 시험하는 단계에 있다. 이 발표에서는 한국천문연구원의 1064 nm squeezer 개발 연구와 개발 현황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Astronomy Education and Public Events of Busan National Science Museum (국립부산과학관 천문교육과 행사)

  • Park, Hyuk;Choi, Joon-Young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1 no.2
    • /
    • pp.45.3-45.3
    • /
    • 2016
  • 2015년 12월에 개관한 국립부산과학관은 동남권 유일의 종합과학관으로 천문교육을 위한 천체관측소와 천체투영관을 보유하고 있다. 천체관측소에는 국내 최대규모의 구경 350mm 굴절망원경을 포함 다양한 천체관측 및 교육장비를 갖추고 있고, 천체투영관에는 디지털식 투영기와 직경 17m의 돔스크린, 133석 규모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천문시설은 일반개인관람, 학교단체교육, 학교 및 가족이 참여하는 1박 2일 캠프프로그램, 천문행사 등에 활용되고 있다. 개관 1주년을 바라보고 있는 시점에서 지속적인 천문 교육수요 창출을 위해 보다 효율적인 운영방법모색 및 다양한 컨텐츠를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2021년 부산에서 개최되는 제31차 국제천문연맹총회(IAUGA)에서의 국립부산과학관의 역할을 증대시키고자 한다. 이번 발표에서는 국립부산과학관의 천문시설의 활용 현황을 소개하고 타 기관의 우수 사례를 공유하여 국립부산과학관 뿐만 아니라 전국 천문교육의 지속적인 발전 방법을 논의하고자 한다.

  • PDF

CubeSat Application for Space Astronomy

  • Jin, Ho;Seon, Jongho;lee, Seongwhan;lee, Jung-Kyu;Lee, Hyojeong;Shin, Jehyuck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2 no.1
    • /
    • pp.40.2-40.2
    • /
    • 2017
  • 인공위성을 이용한 우주망원경 및 우주탐사장비는 천문학 및 우주과학 연구에 매우 중요한 관측 장비로서 지상에서 불가능한 다양한 파장대에서 관측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우주망원경의 경우 개발기간과 비용 또한 상대적으로 매우 큰 규모를 가지고 있다. 또한 장시간의 관측을 위한 관측위성의 운영 신뢰도 확보와 결과 활용을 위해 많은 연구 인력이 투입되는 거대 연구개발 사업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초소형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여러 우주관측 및 실험이 수행되고 있다. 큐브위성으로 명명되어 있는 초소형 인공위성은 크기와 전력의 제한은 있지만 상대적으로 단기간의 개발일정과 저비용으로 전 세계적으로 폭발적인 성장을 하고 있는 관측기술이다. 경희대학교에서는 CINEMA라는 2개의 큐브위성을 개발 운영하였고, SIGMA 라는 큐브위성을 개발하여 발사를 기다리고 있다. 또한 향 후 광학관측을 위한 초소형 인공위성을 기획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천문우주용으로 제작되는 위성이외에도 다양한 기술검증용 위성이 10여기 이상 제작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초소형인공위성의 동향과 향 후 천문우주 관측에 활용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논의 하였다.

  • PDF

Hierarchical Analysis of Astronomical Concepts Using the Knowledge Space Theory (지식공간론을 활용한 천문학 개념의 위계 분석)

  • Yun, Ma-Byeong;Kim, Hui-Su;Lee, Hang-Ro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31-31
    • /
    • 2010
  • 고등학교 지구과학에서 다루는 천문학 개념의 위계를 밝히고, 그에 따른 교수-학습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지식공간론을 활용하여 학습과제 속에서 내재되어 있는 학습자의 지식상태를 분석하였다. 고등학교 학생들의 천문학적 공간개념에 대한 구성 요인 간 위계는 '공간위치 $\rightarrow$ 공간추리 $\rightarrow$ 공간변화' 순이었다. 학습자의 천문학적 공간개념 점수가 같아도 개념의 구조화( 지식상태 )가 다르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었다. 이는 학습자에 따라 개별화 학습의 처방이 달라져야 함을 시사한다. 천체관측 개념의 위계는 '지구운동 $\rightarrow$ 천구좌표계 $\rightarrow$ 천체관측( 망원경 원리 $\rightarrow$ 망원경 설치 $\rightarrow$ 망원경 관측 )' 순으로 분석되었으며 2007개정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순서와는 차이가 있었다. 고등학생들의 천체관측 개념에 대한 지식상태 분석에서 개념의 구조화가 잘 이루어진 학생의 경우에는 하위 위계를 이루는 지구운동과 천구좌표계, 망원경 원리에 관한 문항을 잘 맞추었고, 상위 위계에 있는 망원경 설치와 관측 문항에서 정답률이 낮았다. 그러나 개념의 구조화가 덜 이루어진 학생의 지식상태는 하위 위계를 이루는 지구 운동 관련 문항에서 더 많이 틀렸고, 최상위 위계( 망원경 설치, 관측 )를 이루는 문항에 대한 정답률이 높았다. 지구과학I의 천체관측 단원에 대하여 학습자의 심리적 위계와 교과서의 논리 위계에 따라 학습과제를 제시하여 교수-학습한 결과, 개념의 형성률은 심리적 위계에 따라 수업한 경우가 유의미( p & .05 )하게 더 높았다.

  • PDF

국립과천과학관에서 진행되는 천문교육 현황과 계획

  • Lee, Gang-Hwan;Gang, Seon-A;Baek, Chang-Hyeo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1
    • /
    • pp.53.1-53.1
    • /
    • 2012
  • 현재 국내에는 약 40여 개의 종합(관측실과 투영관이 있는) 천문시설이 운영 중에 있으며 새로운 시설이 꾸준히 추가로 건설 되고 있다. 그리고 교육과학연구원, 도서관 등 많은 시설에서 천문시설을 갖추고 교육에 활용하고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천문시설에서는 별자리 설명, 천체투영관에서의 영상물 상영, 그리고 천체망원경을 이용한 관측실습 등 한정된 소재와 일관된 형식의 천문교육 프로그램을 운영 하고 있다. 하지만 국립과천과학관에서 방학 중 천문학교실을 운영해본 결과 좀 더 깊이 있는 천문학 교육에 대한 수요가 상당히 많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제 과학교육 현장에서는 여러 분야의 다양한 교육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 운영되고 있으나 천문학을 주제로 한 교육은 찾아보기 어려운 상황이다. 천문학은 새로운 연구 결과가 가장 활발하게 발표되는 분야들 중 하나로, 일반인이나 언론에서도 상당히 많은 관심을 보여주고 있다. 외계행성 탐사, 초신성 관측, 우주 가속팽창과 같은 최신 천문학 분야의 다양한 주제들을 이용하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면 일반인들에게 천문학의 내용을 알리는데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국립과천과학관에서는 방학 프로그램에 이어 조금 더 심화된 교육프로그램을 기획하여 운영할 준비를 하고 있다. 현재 국립과천과학관에서 준비 중인 천문교육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여러 사람들의 의견을 들어보고자 한다.

  • PDF

THE ASTRONOMICAL INSTRUMENT, SO-GANUI INVENTED DURING KING SEJONG PERIOD (세종시대 창제된 천문관측의기 소간의(小簡儀))

  • 이용삼;김상혁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v.19 no.3
    • /
    • pp.231-242
    • /
    • 2002
  • So-ganui, namely small simplified armillary sphere, was invented as an astronomical instrument by Lee Cheon, Jeong Cho, Jung In-Ji under 16 years’ rule of King Sejong. We collect records and observed data on So-ganui. It is designed to measure position of celestial sphere and to determine time. It also can be transformed equatorial to horizontal, and horizontal to equatorial coordinate. It can measure the right ascension, declination, altitude and azimuth. It is composed of Sayu-hwan (Four displacements), Jeokdo-hwan (Equato.ial dial), Baekgak-hwan (Ring with one hundred-interval quarters), Gyuhyeong (Sighting aliadade), Yongju (Dragon-pillar) and Bu (Stand). So-ganui was used conveniently portable surveying as well as astronomical instrument and possible to determine time during day and n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