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천문학

검색결과 8,265건 처리시간 0.032초

가상현실 천문학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소개 (Development and Introduction of Virtual Reality Astronomy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 Ha, Sanghyun;Sohn, Jungjoo;Park, Soonchang
    • 천문학회보
    • /
    • 제46권2호
    • /
    • pp.54.3-55
    • /
    • 2021
  • 지난 연구에서는 국립과학관 천체투영관 등에서 사용하는 천체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스크립트 제작 및 360° VR 영상 제작기술을 개발하였고, 비대면 환경에서도 개인휴대기기 등을 통한 몰입도 높은 천문학 교육을 구현할 수 있도록 연구를 진행하였다. 계속되는 연구로 천체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의 장점을 잘 나타낼 수 있는 주제들 중 2015 교육과정 중학교 3학년에서 다루는 '우주 탐사 성과와 의의'를 주제로 파일럿 프로그램을 개발 중이며 그 과정을 소개하고자 한다. 개발하는 프로그램은 과학관 천체투영관에 적용하여 실무자의 활용을 지원할 계획이며 다양한 교육콘텐츠 개발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PDF

Development and Fabrication of Astronomical Exhibitions

  • Baek, Chang Hyun;Kim, Cheolhee
    • 천문학회보
    • /
    • 제46권2호
    • /
    • pp.55.2-55.2
    • /
    • 2021
  • 2020년 한국천문연구원 보현산천문대의 태양망원경이 국립중앙과학관으로 이전·설치되었다. 태양망원경 이전과 함께 신규로 건립된 국립중앙과학관의 천체관측소 운영을 활성화 하고 전시 및 교육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천문학 전시 콘텐츠를 개발하고 전시품을 제작하였다. 본 발표에서는 태양망원경 이전과정, 개발 중인 전시 콘텐츠와 제작된 전시품 등을 소개하고 앞으로 전국 지역 천문교육시설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천문학 전시 콘텐츠와 소규모 전시품 등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 PDF

Astronomy Education in Planetarium

  • Baek, Chang Hyun
    • 천문학회보
    • /
    • 제41권2호
    • /
    • pp.45.4-46
    • /
    • 2016
  • 천체투영관은 과학관이나 천문교육 시설에서 관람객이나 피교육자가 많이 찾는 인기 시설 중 하나이며 연간 200만 명이 방문하는 비형식학습의 준비된 장소이다. 현재 국내에 운영되고 있는 약 80여개의 천체투영관들은 대부분 별자리 해설과 돔영상물 상영, 과학콘서트, 천체관음악회, 전문가 강연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제 국내에서도 설계된 비형식 학습 환경을 갖춘 천체투영관을 천문학 교육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학교교육과 연계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방안이 연구되어야 한다. 해외 과학관에서 운영되고 있는 비형식 과학교육과 학교 과학교육의 연계 프로그램의 사례 등을 조사하고 국내 천체투영관에서 활용할 수 있는 천문학 교육 연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시급하다. 이번 발표에서는 개편된 교육과정이 반영된 연계 프로그램에 대해 소개하고 천체투영관을 천문학 교육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관계자들의 의견을 듣고자 한다.

  • PDF

천문시설의 운영 현황과 발전 방향

  • 이강환
    • 천문학회보
    • /
    • 제36권2호
    • /
    • pp.136.1-136.1
    • /
    • 2011
  • 현재 국내에는 약 30여 개의 종합(관측실과 투영관이 있는) 천문시설이 운영 중에 있으며 매년 2-3개의 시설이 추가로 건설 되고 있다. 그리고 교육과학연구원, 도서관 등 많은 시설에서 천문시설을 갖추고 교육에 활용하고 있다. 최근 천문학에 대한 대중들의 흥미와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고, 언론도 주요 천문 현상들을 관심을 가지고 보도해주기 때문에 지금은 천문시설들이 천문학 대중화에 큰 역할을 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현재 대부분의 천문시설들은 예산과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천문학 전공자가 전혀 고용되어 있지 않은 천문시설도 많이 있으며, 고용되어 있는 사람들도 대부분 비정규직으로 고용 안정성과 보수에 큰 문제가 있는 상황이다. 천문시설들이 투자된 비용에 걸맞는 역할을 할 수 있는 제도적 방법을 찾고, 천문학계가 천문인력들의 안정적인 일자리 확보에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또한 각 천문시설 운영자들이 직접 다양한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기관협력체나 천문연구원 등의 체계적인 천문교육 콘텐츠 개발 및 보급이 절실하다.

  • PDF

천문올림피아드 국제대회 참가자에 대한 추적연구

  • 임인성;성현일;김유제;최승언
    • 천문학회보
    • /
    • 제36권2호
    • /
    • pp.137.1-137.1
    • /
    • 2011
  • 한국천문학회는 한국천문올림피아드를 통해 영재를 발굴하고, 교육을 통해 천문학의 의미있는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천문학은 우리 문명의 중요한 문화의 한 부분이며, 우리의 삶과 사고를 형성케하는 근본적인 학문으로 인식되고 있어, 천문올림피아드를 통한 영재 교육은 청소년들의 천문학과 천체물리학의 학교 교육 분야는 물론, 서로 다른 나라간의 국제 교류의 증진을 통해 괄목한 성장을 이루고 있다. 또한, 이를 통한 영재 교육은 우리 삶의 모든 부분과 관련된 주제와 특히 과학기술의 발달이 국가 경쟁력의 원천이 될 것 이라는 신념 때문에, 국내는 물론 국제적인 관심이 되었다. 천문올림피아드 3개의 국제대회, 국제천문올림피아드, 아시아 태평양 천문올림피아드, 국제 천문 및 천체물리올림피아드 참가자 24명을 대상으로 추적연구를 실시하였다. 천문올림피아드 참가 학생들의 개인변인, 가정변인, 학교변인을 알아보고, 천문올림피아드가 학생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그들의 진로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한국천문올림피아드가 과학영재 교육에 기여하고 있는지 추적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

아마추어와 프로페셔널

  • 민영기
    • 과학과기술
    • /
    • 제28권9호통권316호
    • /
    • pp.26-27
    • /
    • 1995
  • 스포프에서처럼 아마와 프로가 구분되는 것은 기초과학에서 천문학분야 뿐이다. 아마 인구가 20만명이 넘는다는 일본의 천문학 실태를 돌아보고 우리의 경우 너무 소홀히 여겨온 정부나 소양에만 집착해온 천문학자들이 의식전환이 절실함을 실감했다.

  • PDF

WouldYouLike[우주라이크]: 천문학 전공 학생들의 천문우주과학 대중화 활동 (WouldYouLike[우주라이크]: Astronomy, Space Science popularization activity of astronomy major students)

  • 장예슬;서세혁;진선호;김민영;김현지;이주훈;박승현;최우락;김현식;문용재
    • 천문학회보
    • /
    • 제42권2호
    • /
    • pp.71.1-71.1
    • /
    • 2017
  • WouldYouLike[우주라이크]는 2009년 천문학 전공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탄생한 천문우주과학 대중화를 위해 활동하는 비영리 단체이다. 천문우주과학에 대한 정보를 얻기 힘든 사람들을 위해 쉽게 접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작하여 이를 무료로 배포하고 있다. 2012년 무료 배포용 천문학 잡지 우주라이크 창간호를 시작으로 2017년 현재 11호까지 발간되었으며, 이 잡지는 전국 각지의 대학교 캠퍼스와 천문대 및 과학관의 협조를 통해 배포 중이다. 이러한 오프라인 활동과 더불어 SNS(인스타그램, 페이스북)와 홈페이지를 비롯해 현대인들에게 접근성이 높은 온라인 매체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천문학 콘텐츠와 팟캐스트 등을 통해 대중에게 다가가고 있다. 특히 우주라이크 페이스북 페이지의 팔로워 수는 약 35,000명이며, 이는 한국천문연구원 페이스북 페이지의 약 6,000명보다 많은 수치이다. 이는 우주라이크 본연의 목적인 천문학 대중화에 우주라이크가 크게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현재 우주라이크는 상기에 기술한 활동들과 함께 NASA에서 운영하는 APOD (Astronomy Picture of the Day)의 한글판 서비스를 공식적으로 번역하여 제공하고 있다. 이 포스터는 국내에서 천문우주과학 대중화의 필요성을 역설하며, 이와 연계해서 우주라이크의 활동 내역과 현재 추진 중인 계획을 소개한다. 그리고 이에 대한 국내 천문학계의 다양한 목소리를 듣고 추후 활동에 반영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