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천문학

Search Result 8,261,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Planning of Oral History of Korean Astronomy (한국천문학 구술사연구 기획론)

  • Choi, Youngsil;Kim, Sang Hyuk;Mihn, Byeong-Hee;Seo, Yoon Kyung;Ahn, Young Sook;Yang, Hong-Jin;Choi, Go-Eu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4 no.2
    • /
    • pp.66.2-66.2
    • /
    • 2019
  • 구술채록은 특정 주제의 연구사 기록화 작업에 있어 후대에 생생한 역사체험을 전승할 수 있는 최적의 연구사업이다. 특히 국내 천문우주과학 분야의 원로들이 대부분 연로하다는 점에서 한국천문학 발전사에 대한 구술채록은 시급성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이에 한국천문연구원 고천문연구센터는 그간 기관에서 자체적으로 수행해 온 사료분류체계 수립작업과 단발적인 구술채록 경험을 기반으로 본격적인 구술채록 연구사업을 수행할 계획이다. 이 연구는 한국천문학 발전사 구술채록 사업의 절차적 방법에 대한 기획론이다. 크게 (1)구술채록 로드맵 수립, (2) 구술기록 생산 프로세스, (3) 산출물 관리 및 활용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구술채록 로드맵 수립에 있어서는 현대 한국천문학 발전의 태동기 195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역사연구 및 주제분류를 중심으로 천문학 구술기록 특성화를 기한다. 이를 기반으로 구술대상자를 선정하고 큰 맥락의 역사와 개인 생애사를 교차하는 분석 틀을 중심으로 인터뷰 질문지를 추출한다. 이 과정에서 구술대상자의 소장 사료를 도출하여 미리 잠재적 사료 수집을 도모하도록 한다. 둘째, 본격적 구술기록 생산 프로세스에서는 전 단계에서 이행한 수집정보를 바탕으로 구술 산출물을 제작한다. 면담일지, 상세녹취록, 요약본, 이용동의서 등 기타 필요한 구술 제반 서식을 바탕으로 구술 동영상을 산출하고 라벨링한다. 이 산출물에 대한 사실관계 검증 후 최종 산출물 완성 및 기타 행정 처리로 제작은 종료된다. 마지막으로 산출물 관리 및 활용에 있어서는 사료 수집 전략의 기반 자료와 다양한 지식정보콘텐츠의 활용체계를 수립한다. 더 나아가 향후 이 연구사업은 구술DB화와 서비스 체계화를 위하여 구술아카이브 시스템을 설계하는 데 성과물을 활용한다. 이 연구기획론은 한국천문학이라는 특정 주제에 대한 것이므로 큰 틀에서의 방법은 기록학적 전개방식을 차용하지만, 역사연구와 기록의 특성화에 있어서는 한국천문학 연구사에 대한 깊은 이해가 동반되어야 한다. 따라서 광범위한 한국천문학 네트워크에 해당하는 다양한 학회, 교육기관, 연구기관 및 각종 사단법인 등의 역사와도 긴밀히 연결되어야 성과물은 비로소 가치 있고 풍부할 것이다. 이 연구를 시발점으로 향후 한국천문학 발전사 구술채록 사업에 대한 다양한 관학연구의 인식 공감대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 PDF

Cooperation Research Plan in the Historical Astronomy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남북한 전통천문학 협력 방안 연구)

  • Yang, Hong-Jin;Yim, Insung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1 no.1
    • /
    • pp.57.1-57.1
    • /
    • 2016
  • 전통천문학은 우리 역사에 남아 있는 대표적 과학자산이며 현대 천문학적 자료로 활용이 가능한 문화유산이다. 우리나라에는 역사시대 이전부터 조선시대까지 고대 별자리 그림을 비롯해 천문관측기록과 천문대 등 다양한 천문자산이 전해지고 있다. 오랜 시간 여러 전란과 일제 강점시기를 거치며 많은 자료가 소실되었지만 한반도의 남과북에는 여전히 많이 천문유산이 남아 있다. 천문역사를 공유하고 있는 남북한 천문학자들이 전통천문학을 함께 연구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현재 남북한의 전통천문학분야 협력 방안에 대한 기획연구를 진행 중이다. 북한 천문학자들은 지난 2012년 IAU GA를 기점으로 다시 국제 학술 활동을 이어가고 있으며 2015년 IAU GA에서는 전통천문 분야를 비롯해 두 편의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남북한 공동 연구를 위해서는 북한의 전통천문학 연구와 국제 학술교류 현황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발표에서는 지금까지 조사한 북한의 전통천문 연구 현황과 대외 학술교류 현황에 대해 보고하고 향후 남북한 공동연구를 위한 방법과 연구 주제에 대해서 발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North Korea's Astronomical Research based on the Academic Journal

  • Yang, Hong-Jin;Yim, Insung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6 no.2
    • /
    • pp.63.2-63.2
    • /
    • 2021
  • 북한의 천문학 연구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북한 학자들의 연구 논문을 조사하였다. 북한 평양천문대에서 발행하는 대표적 천문학 학술지인 천문학통보를 비롯해 과학원 통보, 기상과수문 그리고 김일성종합대학학보인 물리학, 자연과학 등의 학술지에 게재된 천문학 논문을 조사하였다. 지난 10년간 북한 학술지에 실린 논문 중 확인된 150여 편 중에서 2015-2018년 천문학통보에 게재된 47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태양 분야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고천문, 인공위성, 항성 등의 연구도 꾸준히 이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북한 학자들의 해외 저널 논문을 조사한 결과 2007-2020년까지 16편을 확인하였다. 평양천문대, 김일성종합대학, 국가과학원 소속의 학자들이 주로 독일이나 중국의 학자들과 공동 논문을 발표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 PDF

국립과천과학관에서 진행되는 천문교육 현황과 계획

  • Lee, Gang-Hwan;Gang, Seon-A;Baek, Chang-Hyeo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1
    • /
    • pp.53.1-53.1
    • /
    • 2012
  • 현재 국내에는 약 40여 개의 종합(관측실과 투영관이 있는) 천문시설이 운영 중에 있으며 새로운 시설이 꾸준히 추가로 건설 되고 있다. 그리고 교육과학연구원, 도서관 등 많은 시설에서 천문시설을 갖추고 교육에 활용하고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천문시설에서는 별자리 설명, 천체투영관에서의 영상물 상영, 그리고 천체망원경을 이용한 관측실습 등 한정된 소재와 일관된 형식의 천문교육 프로그램을 운영 하고 있다. 하지만 국립과천과학관에서 방학 중 천문학교실을 운영해본 결과 좀 더 깊이 있는 천문학 교육에 대한 수요가 상당히 많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제 과학교육 현장에서는 여러 분야의 다양한 교육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 운영되고 있으나 천문학을 주제로 한 교육은 찾아보기 어려운 상황이다. 천문학은 새로운 연구 결과가 가장 활발하게 발표되는 분야들 중 하나로, 일반인이나 언론에서도 상당히 많은 관심을 보여주고 있다. 외계행성 탐사, 초신성 관측, 우주 가속팽창과 같은 최신 천문학 분야의 다양한 주제들을 이용하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면 일반인들에게 천문학의 내용을 알리는데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국립과천과학관에서는 방학 프로그램에 이어 조금 더 심화된 교육프로그램을 기획하여 운영할 준비를 하고 있다. 현재 국립과천과학관에서 준비 중인 천문교육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여러 사람들의 의견을 들어보고자 한다.

  • PDF

A Comparative Analysis of Keywords in Astronomical Journals and Concepts in Secondary School Astronomy Curriculum (최근 천문학 연구 키워드와 천체 분야 교육과정 내용 요소 비교 분석)

  • Shin, Hyeonjeong;Kwon, Woojin;Ga, Seok-Hy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42 no.2
    • /
    • pp.289-309
    • /
    • 2022
  • In recent years, astronomy has been snowballing: including Higgs particle discovery, black hole imaging, extraterrestrial exploration, and deep space observation. Students are also largely interested in astronom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what needs to be improved in the current astronomy curriculum in light of recent scientists' researches and discoveries. We collected keywords from all papers published from 2011 to 2020 in four selected journals-ApJ, ApJL, A&A, and MNRAS- by R package to examine research trends. The curriculum contents were extracted by synthesizing the in-service teachers' coding result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document of six subjects (Science, Integrated Science, Earth Science I, Earth Science II, Physics II, Convergence Scienc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keywords that appear steadily in astronomy are 'galaxies: formation, galaxy: active, star: formation, accretion, method: numerical.' Second, astronomy curriculum includes all areas except the 'High Energy Astrophysical Phenomena' area within the common science curriculum learned by all students. Third,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placement of content elements by subject and grade and to consider introducing new concepts based on astronomy research keywords. This is an exploratory study to compare curriculum and the field of scientific research that forms the basis of the subject. We expect to provide implications for a future revision of the astronomy curriculum as a primary ground investigation.

소집단 협동학습이 교양 천문학 수업에 미치는 영향

  • 이명현;김석환;김은주;김주환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4.04a
    • /
    • pp.31-31
    • /
    • 2004
  • 2002년 2학기부터 천문학 전공자들과 커뮤니케이션 및 교육학 전공자 사이의 학제 간 협력을 통해서 교양 천문학 수업 향상을 위한 연구를 해오고 있다. 특히 과학을 전공하지 않는 대학생을 위한 천문학교육 컨텐츠 개발과 교수 방법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의 역할에 초점을 맞춰서 연구를 진행해왔다. 2002년 2학기부터 2003년 2학기까지 연세대학교 교양 과목인 ‘우주의 이해’ 수강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소집단 협동학습의 결과를 학생 상호간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학업 성취도를 중심으로 논의한다. (중략)

  • PDF

Astronomy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에서의 천문학 교육)

  • Sohn, Jungjoo;Jo, Hoon;Jo, Hoo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1 no.2
    • /
    • pp.46.1-46.1
    • /
    • 2016
  •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의 기초소양교육을 강화하고 핵심개념과 원리를 중심으로 학습내용을 적정화하고 학생 중심의 교실 수업으로의 개선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한 교과서가 집필되고 있는 중에 있으며 개발되는 교과서는 2018년부터 교육 현장에서 적용된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나타난 지구과학 과목 내 천문학 영역의 성취기준을 기존 교육과정과 비교해보고 새 교육과정의 핵심 역량을 살펴 교육 현장에서의 효과적인 천문학 교육에 대해 토의하고자 한다.

  • PDF

역사속 과학인물 - '서운관지'쓴 조선시대 천문학자 성덕주(1759~?)

  • Park, Seong-Rae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0 no.12 s.343
    • /
    • pp.72-74
    • /
    • 1997
  • 2세기 전 조선시대 천문학에 관한 책 '서운관지'를 쓴 성덕주는 대대로 천문학을 전공한 과학자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형, 아들, 손자까지 모두 천문학자였는데 그가 쓴 '서운관지'는 당시 천문학에 관한 모든 것을 4권으로 나눠 총 정리한 전문서적이다. 지난 11월5일 작고한 유경로 교수는 '서운관지' 1권만 한글로 번역해 학회지에 소개한 후 별세하였는데 나머지 2,3,4권의 번역출간이 아쉽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