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천문학적 거리

Search Result 14, Processing Time 0.03 seconds

The Conceptions of Astronomical Dista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초등학교 교사들의 천문학적 거리에 대한 개념 연구)

  • Jeong, Jin-Woo;Han, Shi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1 no.7
    • /
    • pp.827-838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n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garding the variation scale about astronomical distance and its accuracy with distance increased. The astronomical distanc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69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n; three teachers were selected to interview about their conceptions. Results showed that many elementary school teachers overestimated the distance from the Earth to the Moon and to the Sun, and dramatically underestimated the distances to the nearest star and to the nearest galaxy. They inferred astronomical distance with the use of both intuitive (psychological) measure and theoretical (calculative) measure. They well recited the terminology such as AU and a light-year, yet they did not show a good understanding of what the terms exactly means. Some teachers thought that the distance to Neptune is farther than the distance from Earth to the nearest star. There was a considerable variability in the participants' estimates of astronomical distances.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a tendency to overestimate the distance as it gradually increases to the outer solar system.

A Design of Matching Module for Synchronizing Moving Objects and VR Images (이동 객체의 움직임과 VR 영상의 동기화를 위한 매칭 모듈 설계)

  • Lee, Hyun-Sup;Kim, Jindeo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7.05a
    • /
    • pp.111-112
    • /
    • 2017
  • 최근 중소 테마파크들은 방문객의 감소로 인한 운영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새로운 어트랙션의 도입 및 테마파크의 리뉴얼을 통해 방문객 증가를 유도하기에는 천문학적인 비용이 소요된다. 이런 비용 소모는 운영 업체의 입장에서 부담하기 쉽지 않은 구조로 새로운 방법으로 방문객의 재방문률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대표적인 방안으로 최근 높은 관심으로 인해 관련 기술 및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VR 시스템의 어트랙션 적용이 있다. 많은 움직임이 없고 안정적인 속도로 운영되는 어트랙션에 VR의 콘텐츠를 적용하여 사용자의 탑승률을 높이고 이로 인해 재방문률 또한 증가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많은 접근이 시도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어트랙션의 탑승자에게 몰입감 높은 VR 콘텐츠 제공을 위해 탑승한 어트랙션의 움직임과 VR영상을 동기화 하는 매칭 모듈에 대해 제안한다. 제안하는 모듈은 가속도 센서의 움직임에 따라 1차 적분하여 속도를 산출하고 이를 2차 적분하여 거리를 산출한다. 기존의 가속도 센서를 통한 이동거리 판단에는 칼만 필터를 적용한 오차 보정, 다분화 사다리꼴 적분 등의 연산이 필요하지만 본 논문의 고정 어트랙션에서는 탑승체의 방향이 결정되어 있어 최소화된 연산으로 정확한 이동거리를 판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chwarzschild-Chang 망원경의 천문학적 응용

  • Kim, Sang-Hyeok;Jo, Jeong-Hun;Jang, Seung-Hyeok;Park, Su-Jong;Kim, Geon-Hui;Yang, Sun-Cheol;Heo, Myeong-Sang;Lee, Sang-Yong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6 no.1
    • /
    • pp.67.2-67.2
    • /
    • 2011
  • Schwarzschild-Chang 망원경은 두 개의 반사경을 사용한 비축 망원경이다. 이 망원경에 사용된 비축 광학 이론을 이용하면 선형 비점수차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으며 3차 이상의 고차수차들도 동축 광학계와 동일한 정도로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이 망원경 디자인을 응용하면 단일 광학계 망원경을 제작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2개의 망원경 시스템을 조합할 경우 색수차나 중앙차폐 없이 대형 망원경의 focal reducer 또는 분광기의 내부 광학 장치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연구팀은 현재 구경 50 mm, 유효초점거리 100 mm, 시야각 $8{\times}8^{\circ}$ 인 Schwarzschild-Chang 망원경 시험 모델을 완성했다. 본 발표에서는 적외선 관측을 직접 할 수 있는 Schwarzschild-Chang 망원경의 개발 진행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 PDF

세종 산개성단 탐사관측 (SOS) II. 중년 산개성단 NGC 2353의 UBVI CCD 측광

  • Im, Beom-Du;Seong, Hwan-Gyeong;Karimov, R.;Ibrahimov, M.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5 no.2
    • /
    • pp.79.1-79.1
    • /
    • 2010
  • 세종 산개성단 탐사관측 연구의 일환으로 중년 산개성단 NGC 2353에 대한 UBVI CCD 측광을 수행하였다. 측광학적인 방법으로 성단 내의 구성원을 선정하였으며, 이로부터 이 성단의 성간소광과 거리를 각각 E(B-V)=$0.10\pm0.02mag$$d=1.17\pm0.04\;kpc$으로 얻었다. 성단 구성원의 공간적인 분포를 통해서 성단의 형태가 북서 방향에서 남동 방향을 잇는 축을 중심으로 타원의 형태를 띠고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Padova 그룹이 제시한 이론적인 등연령 곡선을 관측한 색등급도에 맞춤으로써 이 성단의 나이를 1억 3천만년으로 추정하였으며, 이는 기존 연구보다 나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성원의 거리지수 분포에서 이 성단의 거리지수보다 밝은 곳에 나타나는 쌍성의 분포를 Gaussian 분포와 맞추어 $46\pm4%$ 정도의 최소 쌍성비율을 추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광도함수와 질량함수를 유도하였고, 질량함수의 기울기는 $\Gamma=-1.4\pm0.2$를 얻었다.

  • PDF

최소신장트리를 이용한 흑점군 자동분석 프로그램 개발

  • Park, Jong-Yeop;Mun, Yong-Jae;Choe, Seong-Hwa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130.2-130.2
    • /
    • 2012
  • 태양의 활동영역에서 관측할 수 있는 흑점은 주로 흑점군으로 관측되며, 태양폭발현상의 발생을 예보하기 위한 중요한 관측 대상 중 하나이다. 현재 태양 폭발을 예보하는 모델들은 McIntosh 흑점군 분류법을 사용하며 통계적 모델과 기계학습 모델로 나누어진다. 컴퓨터는 흑점군의 형태학적 특성을 연속적인 값으로 계산하지만 흑점군의 형태적 다양성으로 인해 McIntosh 분류를 잘못 분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컴퓨터가 계산한 흑점군의 형태학적인 특성을 예보에 직접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리는 흑점군의 형태학적인 특성(개수, 면적, 면적비 등)과 함께 모든 흑점을 정점(Vertex)으로 하고 그 사이를 연결하는 간선(Edge)으로 하는 간선의 거리 합이 최소인 최소신장트리(Minimum spanning tree : MST)를 작성하였다. 이 최소신장트리를 사용하여 흑점군을 검출하고 가장 면적이 큰 정점을 중심으로 트리의 깊이(Depth)와 차수(Degree)를 계산하였다. 이 방법을 2003년 SOHO/MDI의 태양 가시광 영상에 적용하여 구한 흑점군의 내부 흑점수와 면적은 NOAA에서 산출한 값들과 90%, 99%의 좋은 상관관계를 가졌다. 우리는 이 연구를 통해 흑점군의 형태학적인 특성과 더불어 예보에 직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논의하고자 한다.

  • PDF

Exploring Topic-Specific PCK Progression for Elementary Teachers Instruction of Astronomy: Focusing on the Topic of Planet Size and Distance in Solar System (천문 수업에 대한 초등 교사의 주제-특이적 PCK 발달과정 탐색 -태양계 행성의 크기와 거리 주제를 중심으로-)

  • Lee, Kiyoung;Lee, Jeong-A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6 no.4
    • /
    • pp.629-641
    • /
    • 2016
  • Understanding of how teachers change instruction can help predict what kind of educational materials is supportive or appropriate. On the basis of this idea, we explored elementary teachers' PCK progression on specific topics of astronomy: planet size and distance in solar system. To identify the development of PCK over time, we utilized learning progression (LP) as a conceptual framework. The progression of teacher PCK can also be illustrated as the hypothetical pathway from novice to expert like LP. Eight 5th grade elementary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observed participating teachers' astronomy classes with the same topic. In order to document topic-specific PCK of participating teachers, we developed an analytic protocol consisting of four categories: knowledge of curriculum, knowledge of teaching strategies, knowledge of assessment, and astronomical thinking practice. In addition, we monitored the changes in the four participating teachers' PCK for two years in order to validate the evidences of the PCK progression. Participating teachers in this study took some intervention by attending a four-week pre-meeting with the researchers to profile an adaptive instruction. Through this research, we profiled four and five different levels of PCK progressions in three knowledge components (curriculum, teaching strategies, student assessment) and one astronomical thinking practice (systems thinking), respectively. Participating teachers demonstrated various levels and pathways in each component of PCK. This study released the empirical evidences in fostering instructional scaffolding, which is appropriate to the level of PCK of science teachers on specific topic.

대마젤란은하 식쌍성의 측광 및 분광 관측

  • Hong, Gyeong-Su;Gang, Yeong-U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5 no.1
    • /
    • pp.55.1-55.1
    • /
    • 2010
  • 대마젤란 은하에 속한 식쌍성의 시선속도 곡선을 완성하기 위하여 2009년 11월 칠레에 위치한 Cerro Tololo Inter-American Observatory (CTIO)의 1.5m 망원경과 R-C Spectrograph를 사용하여 중 분산 분광관측을 수행하였다. 분광관측은 380nm - 540nm 영역에서 $H_8,\;H_{\varepsilon},\;H_{\delta},\;H_{\Gamma},\;H_{\beta}$ 등의 흡수선을 관측하였다. 중분산으로 관측된 식쌍성의 각 구성원별에서 나오는 흡수선들은 구별되지 않으므로 이를 구별하기 위하여 구성원들의 Flux 비와 함께 gauss curves fitting 방법으로 각 흡수선들을 2개의 성분으로 분해하여 시선속도를 측정하고, 시선속도곡선을 완성하였다. 완성된 이중 시선속도 곡선은 Wilson & Devinney 차등 보정법으로 분석하여, 궤도 장반경, 질량비, 계의 시선속도 등을 구하였다. 또한 각 식쌍성들의 광도곡선을 분석하여 측광학적인 해를 구하고, 최종적으로 분광 및 측광관측의 해를 혼합하여 대마젤란은하 식쌍성들의 절대량을 구하였다. 이후 이를 바탕으로 거리를 구하여 기존에 발표된 마젤란은하의 거리와 비교하였다.

  • PDF

A Case Study of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Topic-Specif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n the Unit of Stars and Universe (별과 우주 단원에 대한 중학교 과학 교사의 주제-특이적 PCK 사례연구)

  • Lee, Kiyoung;Maeng, Seungho;Park, Young-Shin;Lee, Jeong-A;Oh, Hyunse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4 no.4
    • /
    • pp.393-406
    • /
    • 2014
  •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is intrinsically domain/topic-specific knowledge for teachers' expertise. On the basis of this idea about PCK, we investigated in-service science teachers' topic-specific PCK on the unit of stars and universe in terms of teachers' knowledge and practices. We observed four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classes for eighth graders, and took the videos of the classes. The topics of the classes covered constellation, annual parallax and the distance of stars, and the expansion of the universe. We also examined the teachers' pedagogical thinking through video stimulated recall interviews. In addition, we developed a protocol to analyze the levels of participant teachers' PCK and the characteristics revealed in their classes on each topic.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participant teachers' level of PCK varied across the topics of classes and the sub-components of PCK. We also identified teaching orientations played key roles in shaping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ir PCK. Moreover, astronomical thinking such as spatial thinking and system thinking, was not appropriately embedded as the specific practices into the astronomical concepts in their instructions.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on the progressions of teachers' PCK in terms of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Study on application of WiMAX technology to underground power cables data acquisition (WiMAX 기술을 적용한 지중전력설비 감시 기술 연구)

  • Myoung, H.C.;Min, B.W.;Choi, H.W.;Kim, J.H.;Lee, B.H.;Lee, D.C.;Kim, Y.J.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681-682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지중전력설비의 안전한 운용을 위하여 무선네트워크기술을 적용한 감시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WiMAX 기술을 적용하기로 하였다. 지중전력설비는 환경친화적 도시설비의 추구로 전체 전력설비중에서 비중이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이다. 노후화되어가는 전력설비는 사고의 위험성이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노후화된 전력설비를 교체하는 비용은 천문학적이므로, 교체보다는 안전하게 유지보수하는 방법이 훨씬 경제적일 것이다. 지중전력설비는 지상설비만큼이나 광범위한 거리에 걸쳐서 시설되어 있다. 그러므로 노후한 설비를 유지보수하기 위하여 유선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방법보다는 경제적으로 무선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방법이 유리하다. 무선네트워크 기술은 종류에 따라서 여러가지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지중설비 감시에 최적인 기술을 채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WiMAX 기술를 적용하여 지중전력설비 감시에 사용하여 기존에 설치한 유선네트워크에 영향을 주지않으면서, 신규로 추가되는 센서네트워크 시스템을 쉽게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기로 한다.

  • PDF

대.소 마젤란은하의 측광탐사관측

  • Seong, Hwan-Gyeong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6 no.2
    • /
    • pp.119.2-119.2
    • /
    • 2011
  • 대 소 마젤란은하는 항성진화 및 은하진화를 연구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실험실이다. 두 은하는 우리은하에 매우 가깝고, 각크기가 매우 크기 때문에 이들 두 은하에 대한 측광학적 연구는 매우 지엽적이고 단편적으로 이루어졌다. 시상이 매우 좋은 KMTNet의 1호기 (칠레)를 사용하여 대마젤란은하 ($10^{\circ}{\times}10^{\circ}$)와 소마젤란은하 ($5^{\circ}{\times}5^{\circ}$) 영역에 대한 UBVI 및 협대역 $H{\alpha}$, [OIII] $5007{\AA}$ 측광 탐사관측을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를 제안한다. 1. $V{\approx}23$ 등급까지 대 소 마젤란은하 천체들의 측광 자료의 제공 2. 거리를 지시할 수 있는 천체들의 공간적 분포를 통해 3차원 구조 연구 3. 협대역 $H{\alpha}$ 측광을 통해 Herbig Ae/Be 천체들의 분포와 별 탄생 연구 4. 협대역 $H{\alpha}$ 및 O[III] 측광을 통해 행성상성운의 분포와 광도함수 연구 5. 색-등급도 연구를 통해 위치에 따른 별 탄생의 역사 연구 6. 어두운 별들의 공간적 분포를 통해 LMC-SMC, LMC-MWG, SMC-MWG의 상호작용 연구.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