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천문교육 프로그램

Search Result 71,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천체투영관을 활용한 천문교육 프로그램 개발(2)

  • Baek, Chang-Hyeon;Lee, Gang-Hwan;Lee, Dong-Ju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6 no.1
    • /
    • pp.78.2-78.2
    • /
    • 2011
  • 2010년 천체투영관을 갖춘 9개 기관 천문관련 시설의 운영실무자들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시설 현황, 운영 및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사전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에서 천체투영관의 운영 활성화와 교육적 활용을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시설 보완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특히 초등학생들을 위한 천문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는 운영자들의 공통된 의견을 들을 수 있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1)국외에서 이용되고 있는 천체투영관 활용 교육프로그램을 조사하였고, 2) 조사결과를 기초로 우리의 현재 환경과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 등을 고려하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하였다. 이번 발표에서는 국외에서 활용되고 있는 교육 프로그램들과 개발된 교육용 활동지 및 가이드북을 소개 하고자 한다. 개발된 교육용 활동지와 가이드북을 적극 활용할 경우 천체투영관의 운영 활성화와 교육적 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Recent progress in astronomy education in Makerspace situation

  • Kim, Yonggi;Kim, Hyoungbum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6 no.2
    • /
    • pp.73.2-73.2
    • /
    • 2021
  • 본 연구는 지능정보기술을 천문교육에 활용하여 어떻게 천문교육에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방안을 모색해보았다. 3D프린터, 레이저커팅기, 빅데이터, 인공지능, 드론 등 지능정보기술을 확보한 메이커스페이스 공간에서 이들 기술을 활용하여 천문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보는 일은 4차산업혁명시대의 핵심역량을 함양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2021년 8월에 중기부 사업으로 선정된 충북대 Pro 메이커스 센터를 중심으로 메이커스페이스 환경에서 다양한 천문교구 개발 및 개발된 천문교구를 활용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형식교육의 현장 뿐만 아니라 비형식 교육의 현장에 다양하게 적용될 계획이다. 이에 향후 메이커스페이스 환경에서 대중천문프로그램이 어떻게 발전될 것인가에 대한 견해 및 토론도 발표될 예정이다.

  • PDF

국립과천과학관에서 진행되는 천문교육 현황과 계획

  • Lee, Gang-Hwan;Gang, Seon-A;Baek, Chang-Hyeo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1
    • /
    • pp.53.1-53.1
    • /
    • 2012
  • 현재 국내에는 약 40여 개의 종합(관측실과 투영관이 있는) 천문시설이 운영 중에 있으며 새로운 시설이 꾸준히 추가로 건설 되고 있다. 그리고 교육과학연구원, 도서관 등 많은 시설에서 천문시설을 갖추고 교육에 활용하고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천문시설에서는 별자리 설명, 천체투영관에서의 영상물 상영, 그리고 천체망원경을 이용한 관측실습 등 한정된 소재와 일관된 형식의 천문교육 프로그램을 운영 하고 있다. 하지만 국립과천과학관에서 방학 중 천문학교실을 운영해본 결과 좀 더 깊이 있는 천문학 교육에 대한 수요가 상당히 많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제 과학교육 현장에서는 여러 분야의 다양한 교육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 운영되고 있으나 천문학을 주제로 한 교육은 찾아보기 어려운 상황이다. 천문학은 새로운 연구 결과가 가장 활발하게 발표되는 분야들 중 하나로, 일반인이나 언론에서도 상당히 많은 관심을 보여주고 있다. 외계행성 탐사, 초신성 관측, 우주 가속팽창과 같은 최신 천문학 분야의 다양한 주제들을 이용하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면 일반인들에게 천문학의 내용을 알리는데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국립과천과학관에서는 방학 프로그램에 이어 조금 더 심화된 교육프로그램을 기획하여 운영할 준비를 하고 있다. 현재 국립과천과학관에서 준비 중인 천문교육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여러 사람들의 의견을 들어보고자 한다.

  • PDF

천문시설에서 활용할 천문교육 콘텐츠 개발

  • Lee, Gang-Hwan;Baek, Chang-Hyeon;Gwon, Sun-Gil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6 no.1
    • /
    • pp.78.1-78.1
    • /
    • 2011
  • 현재 국내에는 약 30여 개의 종합(관측실과 투영관이 있는) 천문시설이 운영 중에 있으며 매년 2-3개의 시설이 추가로 건설 되고 있다. 대부분의 천문시설에서는 별자리 설명, 천체투영관에서의 영상물 상영, 그리고 천체망원경을 이용한 관측실습 등 한정된 소재와 일관된 형식의 천문교육 프로그램을 운영 하고 있다. 하지만 천문학은 일반 대중들이 많은 흥미와 관심을 가지는 분야이기 때문에 여러 가지 다양한 소재와 형식의 교육프로그램 및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최근 언론에 자주 등장하는 UFO, 황도 13궁, 태양 폭발, 우주선(Cosmic Rays)이 지구에 미치는 영향 등의 소재들은 일반인들이 잘못된 개념을 가지기 쉬운 분야이기 때문에 여기에 대한 올바른 과학내용을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전달하는 것이 필요하다. 교육 콘텐츠는 디지털 천체투영기를 이용한 스크립트 프로그램 개발, 관측실습 전 후의 이론 교육 등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각 천문시설 운영자들이 직접 다양한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기관협력체나 천문연구원 등의 체계적인 천문교육 콘텐츠 개발 및 보급이 절실하다.

  • PD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Astronomy Education Program Reflecting Astronomical Thinking: A Case of Planetarium Class at Science Museum (천문학적 사고를 반영한 천문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과학관 천체 투영관 수업 사례)

  • Choi, Joontae;Lee, Kiyoung;Park, Jaeyong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40 no.1
    • /
    • pp.86-106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stronomy education program reflecting astronomical thinking to be used at science museum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astronomical thinking 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After selecting the components of astronomical thinking through literature studies, we developed an astronomy education program consisting of four stages: demonstration and observation, and question and thinking, support and group discussion, demonstration and assessment.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e conducted a covariance analysis on the pre- and post-test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o examine the level of students' thinking before and after using the program in teaching and learning.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astronomy education program reflecting astronomical thinking was effective in promoting students' astronomical thinking ability. In particular, this program was effective in enhancing the ability of modeling by reconstructing the observed astronomical phenomenon from the viewpoint of the universe with respect to spatial thinking in the astronomy domain. It was also effective to improve the ability of organizing the system by grasp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astronomical system in relation to the system thinking in the astronomy domai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suggesting a specific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to develop students' astronomical thinking.

천체투영관을 활용한 천문교육 프로그램 개발

  • Baek, Chang-Hyeon;Lee, Gang-Hwan;Lee, Dong-Ju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5 no.1
    • /
    • pp.85.1-85.1
    • /
    • 2010
  • 2010년 현재 국내에는 약 30여 개의 천체투영관(Planetarium)이 운영 중에 있으며 매년 2-3개의 천체투영관이 건설 되고 있다. 국내 다수의 천체교육시설은 천문학전공자가 아닌 비전문가들의 건설기획 운영으로 천체투영관의 근본적 역할과 기능을 다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천체투영관의 긍정적 운영과 교육적 활용을 높이기 위하여 1)현재 운영 중인 천체투영관의 운영실무자들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각 천체투영관 시설 현황과 운영 교육 프로그램을 조사하고, 2)설문조사 결과와 학년별 과학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천체투영관을 활용한 천문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려 한다. 본 발표에서는 설문조사 결과와 교육프로그램 개발 계획에 대해 이야기 하고자 한다. 향후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은 국립과천과학관에서 시범운영하고 설문결과를 얻어 발표할 예정이다.

  • PDF

Development of the Astronomy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tudents and Astronomy Outreach Initiative (초등학생 천문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천문학 대중화)

  • Yu, Jinhee;Kim, Seunghyun;Byun, Yongik;NamKung, San;Lee, Eunseok;Park, Donggan;Jo, Hyunsik;Lee, Hyunyoung;Hyun, Yojun;Kim, Jungmin;Yu, Jeehye;Lee, Honggyu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3 no.1
    • /
    • pp.64.3-64.3
    • /
    • 2018
  • 어린이천문대는 2003년부터 15년간 어린이들의 천문지식 함양과 과학탐구 능력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수준별 3단계 프로그램을 연구 개발해왔다. 우리의 3단계 천문교육 시스템은 저학년을 대상으로 한 체험교실, 고학년을 대상으로 한 탐구교실, 그리고 탐구교실을 수료한 학생들을 위한 심화 단계인 테마교실로 이루어져 있다. 단계별 교재, 교보재, 관측실험 및 시각자료의 개발을 통해 프로그램의 완성도를 높여왔다. 우리의 천문교육 프로그램으로 교육된 누적 인원은 모두 67986명(2018년 3월 31일 기준)에 달한다. 그중 천문학 진출 사례로는 페리지로켓의 신동윤 대표와 다수의 천문학 전공 학생들이 있다. 전문적인 초등학생 천문교육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대한민국 천문학 대중화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stronomy Program Support for Cambodia Secondary School Teachers

  • Shin, Yong-Cheol;Kwon, Sun-Gill;Kim, Taewoo;Astronomy Program Support Team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2 no.2
    • /
    • pp.71.4-72
    • /
    • 2017
  • 국립청소년우주센터에서 캄보디아의 Xavier Jesuit School과 연계하여 지역 중등교사 18명을 대상으로 천문교육을 지원했다. 이번 교육지원은 한국천문학회 소속 천문교육프로그램지원단과 캄보디아와의 교류를 통해 이루어졌다. 2017년 4월 3일부터 7일까지 5일 동안 시간과 좌표, 간이 망원경 제작, 결상의 원리, 분광, 망원경의 조립과 분해 및 천체관측 등 천체관측과 관련된 내용을 위주로 교육을 진행하였다. 이번 천문교육을 계기로 지속적인 천문교육지원이 이뤄지길 바라며, 이를 통해 캄보디아를 비롯해 천문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지역의 청소년이 우주에 관심을 가지고 자신의 꿈을 펼칠 수 있게 되길 기대한다.

  • PDF

Astronomy Education in Planetarium

  • Baek, Chang Hyu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1 no.2
    • /
    • pp.45.4-46
    • /
    • 2016
  • 천체투영관은 과학관이나 천문교육 시설에서 관람객이나 피교육자가 많이 찾는 인기 시설 중 하나이며 연간 200만 명이 방문하는 비형식학습의 준비된 장소이다. 현재 국내에 운영되고 있는 약 80여개의 천체투영관들은 대부분 별자리 해설과 돔영상물 상영, 과학콘서트, 천체관음악회, 전문가 강연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제 국내에서도 설계된 비형식 학습 환경을 갖춘 천체투영관을 천문학 교육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학교교육과 연계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방안이 연구되어야 한다. 해외 과학관에서 운영되고 있는 비형식 과학교육과 학교 과학교육의 연계 프로그램의 사례 등을 조사하고 국내 천체투영관에서 활용할 수 있는 천문학 교육 연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시급하다. 이번 발표에서는 개편된 교육과정이 반영된 연계 프로그램에 대해 소개하고 천체투영관을 천문학 교육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관계자들의 의견을 듣고자 한다.

  • PDF

The Analysis of Science Curricula Reflected Programs in Astronomy Science Museums (천문과학관 프로그램에 반영된 과학교육과정의 분석)

  • Yun, Gwang-a;Choi, Sang-In;Jeong, Ku-Song;Lee, Ho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33 no.1
    • /
    • pp.142-15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much the programs of astronomy museums reflect the contents and objectives of current science curriculums. To attain the aim, comparison and analysis on the museum programs and science curriclum have been made. Five domestic astronomy museums have been selected. The contents and forms of their programs have been studied and appreciated by assessment instruments for astronomy museum programs. The assessment instruments were devised in consideration of both the science curriculum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1997) and the achievement and evaluation criteria of the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astronomy museums reflect most of the learning elements of science curricula concerning astronom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stronomy museum as an informal education institute is comparatively well connected to science education. The 5thgrade science curriculum reflected mostly on the museum programs, and too many of the astronomy museum programs were in forms of panel exhibition. Science curricula fared well but they failed to reflect the curricular objectives, which resulted in relatively low assessment scores. It is suggested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a foundation and act as guidance for selecting and developing astronomy museum programs which include the contents of the science curriculums more substantial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