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천년왕국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16 seconds

Resistance as a Category in Southeast Asian Cultural History : A Millenarian Revolt in Colonial Burma (동남아 문화사의 한 범주로서의 '저항' : 식민지 버마의 천년왕국 봉기)

  • AUNG-THWIN, Maitrii
    • SUVANNABHUMI
    • /
    • v.3 no.2
    • /
    • pp.31-77
    • /
    • 2011
  • 식민지하 동남아 천년왕국 운동에 대한 오늘날의 해석들은 그 주체인 농민들을 식민주의를 개념화하고 저항하는 동기와 조건 그리고 상징을 제공하는 토착 지식의 전수자로 간주한다. 종말론과 저항에 대한 관심의 대부분은 농민연구나 지역연구 학자들로부터 유래하며, 이들은 봉기에 대한 과거의 묘사들이 토착의 정신세계를 간과했거나 국가이념을 저항세력들의 결집원리로 과대 포장한 것에 주의를 기울인다. 천년왕국 봉기에 관한 글들에서 제공하는 해석들은 동남아 신념 체계에 관한 독립적인 관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인식론적 측면에서 식민지국가들을 이와 같은 전통에서 단절시키고 있다. 영국 식민지하에서 최대의 농민반란인 서야쌍 봉기(1930-1932)는 오늘날 이와 같은 천년왕국 운동의 정수를 보여주는 사례로 간주된다. 학자들은 수천 명의 농민들로 하여금 버마인의 권위를 되찾고, 불교를 회복시키며, 식민통치로 인해 낳은 사회-경제적 부조리를 일소시킬 그들의 왕으로 믿게 만든 한 농부의 흥미로운 이야기를 묘사하고 있다. 일련의 반란이 미신에 의해 추동되었다고 간주한 식민지 관찰자들과는 달리 이후의 역사가들은 그 반란이 불교를 재건하고 태평성대로 인도할 미래부처인 미륵불의 현신에 대한 믿음의 표현이라고 해석했다. 이러한 학자들에게 서야쌍 봉기는 어떻게 동남아 사람들의 감수성이 식민지의 사회-경제적 압력 속에서도 지속되었으며, 상좌불교의 예언이 토착의 문화적 토양에 얼마나 깊이 내재해 있는지를 말해주는 사례였다. 경험적 관점에서 본 글은 서야쌍 봉기의 근원을 재해석함으로써 천년왕국 봉기에 관한 글들이 대부분 식민지적 문서화 작업과 종교를 과장되고 세속화된 화술로 믿게 하려고 지역연구자들의 산물임을 밝히고 있다. 개념적 관점에서 본고는 버마에서 일어난 천년왕국 운동의 역사적 구성에 대한 식민주의의 역할을 보다 면밀히 관찰하였다. 또한 식민지법, 학문, 그리고 식민지하 버마 농촌에서 발생한 종교적 저항에 대한 우리들의 이해를 상호 연결하는 인식론적 관계를 탐구했다. 그리하여 본고는 천년왕국 해석이 이 시기에 공존했던 다른 유형의 불교정치적 형태를 어떻게 왜곡했는가를 밝히고 있다.

  • PDF

The Kingdom of Arakan in the Indian Ocean Commerce (AD 1430 - 1666) (아라칸(여카잉) 왕국의 인도양 해상무역 (1430-1666년))

  • Chan, Aye
    • SUVANNABHUMI
    • /
    • v.4 no.1
    • /
    • pp.1-26
    • /
    • 2012
  • 아라칸(여카잉) 왕국은 1785년 버마족의 정복 이전 거의 2천년에 가까운 독립적인 역사를 전개해왔다. 특히, 앤서니 리드가 주창하는 상업적 시대(AD 1450-1680)에 있어서 아라칸 왕국은 인도양의 교역에 본격적으로 개입함에 따라 이슬람 전통과 접촉하였고, 이러한 양상으로 인하여 3백년 이상 동안 아라칸 정체와 사회의 형성에 지대한 영항을 받게 되었다. 이슬람의 영향은 문화적 측면에서 이 지역에 분명한 색채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슬람의 문화적 영향력이 기존의 전통적인 종교 패턴에 어떻게 미쳤는지 살펴보고, 1666년 뱅갈만의 해상중심지였던 칫타공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할 때까지의 아라칸 먀웃우 왕조의 정치, 경제, 사회 구조 형성에 어떠한 역할을 담당하였는지 논해볼 것이다.

  • PDF

현대과학으로 풀어 본 '파라오'의 안식처 피라미드

  • Lee, Jong-Ho
    • The Science & Technology
    • /
    • no.5 s.408
    • /
    • pp.12-17
    • /
    • 2003
  • 이집트는 세계에서 가장 긴 나일강 유역에서 발달한 세계 4대 문명 발상지 중 하나이다. 1만 2,000년 전 구석기시대 말부터 기상 변화로 북부 아프리카 지역이 점차 사막으로 변해가자 사람들은 나일강 유역에 모여 들게 되었다. 나일강이 해마다 범람하자 이집트인들은 정기적인 홍수가 지난 후 비옥해진 땅에 농사짓는 관개 기술을 습득했다. 또한 자연 현상에 기초한 그들만의 신화를 창조하면서 후세 사람들이 '고대 이집트 문명'이라고 부르는 위대한 문명을 쌓아가기 시작했다. 이집트는 기원전 3200년경 전설적인 나메르 시대에 통일왕국을 이루었다. 기원전 2780~2280년까지의 500년간을 '고왕국'이라 하며 이집트에서 가장 번성하였던 피라미드 혹은 파라오 시대라고 한다. 피라미드는 약 1천년 동안 140기 정도가 건설되었으며 현재 위치가 확인된 피라미드는 80여 개이다

  • PDF

Beyond Armageddon: Is the Jehovah's Witnesses' Paradise Earth Conceivable? (아마겟돈을 지나서 - 여호와의 증인이 말하는 지상낙원은 상상할 수 있는 것인가? -)

  • Chryssides, George D.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32
    • /
    • pp.237-267
    • /
    • 2019
  • The article considers the problems of envisaging a paradise on earth, with special reference to Jehovah's Witnesses. After an explanation of their relationship to the Christian Protestant tradition, particularly Adventism and American fundamentalism, some key doctrines of the Watch Tower organisation are identified,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ir belief in a coming earthly paradise. Jehovah's Witnesses are a restorationist movement, seeking a restored paradise on earth, and endeavouring to restore authentic Christianity in what they take to be its original form. Discussion is given to the possibility of physical accommodation on the earth, the position of animals, family life, language, and technology. Finally, brief comparison is made with the expected paradise of the Daesoon Jinrihoe, which is based on a radically different worldview. It is concluded that such differences help to explain why Jehovah's Witnesses have limited success in Korea, as compared with indigenous Korean new religions such as Daesoon Jinriho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