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창업초기기업

Search Result 23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The Correlation Influences by the Quality of Product Pivoting Boot Camp and its level of Training Satisfaction on the Applying Will to Their Real Business of High-tech Ventures in the Early Stage of Growth (창업도약기업 제품개선훈련프로그램의 품질과 전반적 만족도가 현업적용의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 Kim, Myung-Seuk;Yang, Young-Seok;Hwangbo, Yu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3 no.3
    • /
    • pp.37-46
    • /
    • 2018
  • This paper define the research problem as the jeopardized situation of most startups in early chasm. Korean government have put more policy focus on helping these startups to jump over the chasm. One of the effective policy measures helps these startups defining the core competencies validated from target customers, in-housing them effectively, and therefore enhancing the level of differentiation against the competitors by "Product Pivoting Training Boots Camp." It ultimately give the key nudge to startups in struggling with unsold products after initial launch to the market. This paper carried out the empirical test to the target sample of startups participating in this camp. In particular, this research analyze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startups, as move along with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 and training program, going through this camp whether it enhance their will of application into real business case. The survey were delivered and collected from 203 startups in attending "Product Pivoting Academy, the following program of Startup Jump-up package policy module. The research result shows that all startups participating in this academy were so much satisfied and motivated strongly to take the training process into applying real business case in order to increase sales. The quality of the training program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had mediating variable effects on the will of application with respect to the level of satisfaction. It imply that the program should put more attention on improving coaches' nudge and learning motivation of participants to enhance the level program satisfaction.

Accelerator Incubation Program and Entrepreneurial Performance of Portfolios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Accelerator Entrepreneur Passion (액셀러레이터 보육프로그램과 보육기업의 창업성과 : 액셀러레이터 창업가 열정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 Kim, Sang-cheol;Chung, Byoung-gyu
    • Journal of Venture Innovation
    • /
    • v.5 no.3
    • /
    • pp.1-17
    • /
    • 2022
  • Entrepreneurs recognize that their passion was an important factor in driving successful entrepreneurship. However, they were often unaware of the impact that third-party passions related to startups have on them. Therefore, in this study, it was verified whether the accelerator incubation program had an effective effect on portfolios. At this time, I tried to do an empirical analysis focusing on how the third-party accelerator entrepreneur passion affects the entrepreneurial performance of portfolio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representatives of portfolios across the country who completed the accelerator incubation program, and empirical testing was conducted based on 330 valid ones.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mentoring and networking among accelerator incubation programs had a positive (+) effect on entrepreneurial performance of portfolios. On the other hand, education and seed investment in the accelerator program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entrepreneurial performance of portfolios. On the other hand, it was tested that accelerator entrepreneur passion significantly moderated both the incubation program elements (education, mentoring, network, seed investment) and the entrepreneurial performance of portfolio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reveal that the passion of accelerator entrepreneurs is an important lynchpin of incubation programs and the key to success in startup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for startups to go one step further from seed investment and properly identify the accelerator entrepreneur and his passion, the key man of accelerators.

폐업기업 대표의 불안과 우울 및 회복탄력성이 삶의 질과 재창업 의지에 미치는 영향

  • Jeong, Geum-Jong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9.04a
    • /
    • pp.45-49
    • /
    • 2019
  • 매년 수많은 기업이 폐업하고 있으며 그 숫자만큼 폐업 기업의 대표가 실패하고 있다. 중소기업연구원의 재기성공요인 분석을 통한 중소 벤처기업의 재도전 활성화 연구(백필규,2011)에 의하면 폐업이나 부도의 형태로 실패하는 기업이 급격하게 증가한 시점은 외환위기가 발생했던 1997년과 1998년의 사이로 보고 있다. 부도 기업의 숫자가 외환위기때는 약 4만사, 1999년부터 2010년까지도 평균 4만 7천여사가 발생하였고 폐업기업수는 부도기업보다 훨씬 많아 매년 80~90만개 전후의 기업이 실패하고 있다. 최근 IBK경제연구소의 실패기업인의 재창업 지원제도 설문조사 결과(김나라,2017)에 의하면 최근 5년간 창업기업은 연평균 77만개사, 폐업기업은 69만개사로 조사되었으며 창업기업의 5년 생존율은 27.3%로 OECD 주요회원국 17개국중 최하위를 차지했다. 오랜시간 대한민국 사회는 사업실패는 곧 패가망신이라는 인식이 깊게 자리잡고 있다. 연대보증이나 재기가 어려운 구조로 인하여 폐업기업의 대표가 실패하면 가족들도 모두 힘들어지고 본인은 경제적, 심리적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는 현실이다. 정부와 민간 기관들이 실패기업인들의 재기를 지원하기 위하여 다양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지만 아직 시행 초기 단계라 보다 재기를 원하는 기업인들에게 맞춤형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시스템이 구축되었다 할 수 없다. 창업강국인 미국과 중국의 기업가들은 평균 2.8회의 실패 경험을 가지고 있으나 한국의 기업가는 1.3회의 실패 경험을 보유 한다.(중기청, 2014) 폐업기업 대표의 재무적 손실의 규모와 관계없이 불안과 우울이 낮고 회복탄력성이 높은 기업가가 본인과 가족의 삶의 질과 재창업의지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은 재기중소기업개발원의 재기 기업인과 정부 재창업 지원 프로그램에 지원한 재기 기업인을 대상으로 조사 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해 폐업기업 대표에게 필요한 사회적 안전장치와 국가의 창업지원이 고용창출, 매출증가로 이어질 수 있는 선순환 구조의 재기 창업 생태계를 만드는 데 일조하고자 한다.

  • PDF

Literature Studies for Testing validity of Business Model of High-tech Starts-up;Utilizing BMO Model (창업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타당성 평가방안의 이론적 고찰;BMO 모델 응용 중심으로)

  • Chung, Hwa-Young;Yang, Young-Seok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2 no.2
    • /
    • pp.1-22
    • /
    • 2007
  • This paper is targeting on developing pre-test Methodology for start-up as tuning successful business modelling with their implementation. Start-up is asked to a complete preparation and analysis for business to enhance the success possibility. In this stream, Start-up should test the validity of their business model before starting a business. This paper deliver alternatives to meet this requirement. Overall, this paper suggest two different approaches. First, by literature review, this paper prove the importance of BM in success factor analysis of high-tech start-up. Second, This paper prove BMO Model as the best practicing model to assess the validity of BM. Additionally, this paper, BMO will be utilized to bring significant implications to sort out enhancing strategies of BM validity.

  • PDF

A Study on the Effects of Adoption and Application of Platform Strategy for Social Ventures in Early Stage of Start-up: A Case Study of JUMP! (소셜벤처 창업초기에 플랫폼 전략의 도입과 영향에 관한 연구: 점프!의 사례를 중심으로)

  • Park, Jaehong;Hwang, Kumju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2 no.4
    • /
    • pp.133-144
    • /
    • 2017
  • For a social venture in early stage, it is very difficult to set up a strategy as it has to pursue two contradictory goals; economic value and social value. The platform strategy can be good alternative solution for social ventures as it seeks building-up connections with other businesses to co-create value despite of limited resources. A Korean social venture, JUMP! which adopted platform strategy in the early stage, and successfully applied 4 key factors of platform strategy; core competency, value creation ability, efficiency and network effect, has been able to develop sustainable growth for itself and induce innovation and growth among the participants within the platform. This study was intended to research effect of adoption and successful application of platform strategy for social ventures in the early stage of start-up and draw conclusion through case study that platform strategy works for sustainable growth of social ventures.

  • PDF

An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n Incubator Organization Ventures and Independent Ventures (배태조직 벤처기업과 개인창업 벤처기업의 특성분석)

  • Kim, S.K.;Park, B.S.;Oh, K.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7 no.6 s.78
    • /
    • pp.127-134
    • /
    • 2002
  • 정보통신 연구개발 사업인 우수신기술 지정 ·지원사업에 참여한 벤처기업 중 초기단계 벤처기업 75개사를 대상으로 대기업 및 중소기업으로부터 spin-off한 배태조직 벤처기업과 개인창업 벤처기업으로 분류하여 업종 및 벤처확인 유형별 특성, 재무 및 조직현황 특성, 최고경영자 특성, 기술개발 특성, 해외진출 특성을 분석하여 두 그룹간의 차이점 및 공통점을 파악한 후 향후 벤처기업의 나아갈 방향에 대해 제시해 보았다.

기업의 특성과 스타트업 생태계 특성이 데스밸리 극복에 미치는 영향: 벤처캐피탈과 개방형혁신의 조절효과

  • Park, Hyeon-Suk;Na, Hui-Gyeong;Mun, Gye-Wa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2.04a
    • /
    • pp.197-204
    • /
    • 2022
  • 국가차원의 창업장려책으로 인해 제2의 벤처붐이라고 부를 만큼 스타트업 및 벤처 창업이 활성화되면서, 데스밸리를 극복하고 창업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노력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기업이 생존율을 높이고 성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죽음의 계곡에 직면하는 가장 큰 부분인 자금 조달 및 투자유치에 대한 고민과 대책이 필요하다. 창업의 활성화는 창업초기의 높은 실패율을 낮출 수 있는지의 여부가 그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기업의 생존은 기업의 내적 요인뿐만 아니라 기업의 외적요인인 시장이나 산업의 상황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혁신 부서를 보유한 기업의 전략적 지향성과 외부지식활용 능력인 흡수역량이 스타트업의 데스밸리 극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스타트업 생태계 특징인 개방형혁신과 벤처캐피탈 지원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종속변수는 기업이 손익분기점을 달성 한 후의 매출액, 순이익, 시장점유율, 종업원 수의 증가를 봄으로써 데스밸리 극복의 기준으로 삼고자 한다. 분석결과 전략적 지향성은 데스밸리 극복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을 밝혀졌다. 흡수역량과 개방형혁신, 벤처캐피탈의 지원의 조절효과는 표본수가 적고 결측값 있으므로 유의미한 영향을 확인하지 못하였지만 추후 표본수를 늘려 다시 측정한 후 그 결과를 보고자 한다.

  • PDF

The Effect of Technology-Based Entrepreneurship(TBE) Activities on Firms Growth (기술기반창업기업의 기업활동이 기업성장에 미치는 영향)

  • Lee, Myung-Jong;Joo, Youngj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4 no.6
    • /
    • pp.59-76
    • /
    • 2019
  • Most technology-based entrepreneurship(TBE) go through an process of decline or disappear without overcoming the valley of death(V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growth dimension of TBE and to test the influence of firms activities on firms growth over time. This study identified the two-dimensional growth dimension divided by size and profit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EFA) of a number of growth indicators. Then, we defined the discrete state of growth firm in four states, divided by size and profit, and five states, including the closure of business. Multi-nomial logit model is used to predict the effect of TBE activities on a discrete state of growth firm(size×profit, closure of business) based on multiple independent variables.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based on five representative firms activities: employment, marketing, R&D, financial activities, and general management activities. The growth stage of TBE over time has been categorized into three stages: early stage, middle stage, and late stage of business, taking into account the main periods during which the survival rate of startups sharply decreases. The analytical data of this study was based on the secondary data of the start-up supporting companies of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The subjects of analysis were TBE within 10 years.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the employment and marketing activities of TBE show that early and mid-term activities had an effect on the state of firms growth. However, if there is a difference, employment activities have both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while marketing activities have only a positive effect on size and profit growth. And besides, R&D activities, financial activities, and general management activities throughout the entire process of firms growth were found to be firms activities that have both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n firms growth. In addition, the age of the founder, the firms' industry, and the geographic location of the firms, which ar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company, were found to have a distinctive effect on the growth status of the firms according to the growth stage.

벤처기업의 든든한 후원자 중소기업청

  • Korea Venture Business Association
    • Venture DIGEST
    • /
    • s.65
    • /
    • pp.22-23
    • /
    • 2005
  • 새해부터 벤처기업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벤처 지원 유관기관을 알아보고 각 기관의 지원정책을 소개하는 코너를 새롭게 마련하였다. 신년호에는 벤처에 성원을 해주는 여러 단체 중 다양한 정책으로 벤처 창업 초기부터 수성을 이루기까지 정책지원을 마련한 중소기업청을 소개한다.

  • PDF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마케팅 활성화 방안 연구

  • Jang, Seok-Ju;Yun, U-Gyu;Mun, Yeong-S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4a
    • /
    • pp.253-301
    • /
    • 2008
  • 본연구는 우리나라의 창업보육센터가 태동기, 양적 기반 확충기를 거쳐 이제 질적인 성장을 고려해야 할 성숙기의 단계에 접어들고 있는 시점에서 중소 벤처기업의 가장 어려운 난관인 Marketing 취약점을 제도적으로 지원함으로써 BI 입주기업의 성공을 도와 지역경제를 회생시키고 나아가 국가경제의 부흥을 도모할 필요가 있어 BI입주기업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분석 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해결방안을 모색하였다. 조사 분석 결과 BI입주기업은 기술력과 사업성은 우수하나, 대외 인지도 및 마케팅능력 부족 등으로 매출신장은 미흡한 실정이고, 일부 BI 입주업체를 위한 마케팅 교육, 전시회 참가 및 홈페이지 제작 등을 지원하고 있으나, 그 성과는 극히 미홉하며, 기존 중소기업을 위한 판로지원 시책은 그 지원규모가 영세하고 또한, 기업의 성장단계 면에서 볼 때 초기 단계에 있는 BI입주기업이 이들 시책을 활용하기에는 애로가 있다. 경영자원의 부족에 따른 판매성과 미흡, 이에 따른 신규 경영자원 확보 실패와 계속적 판매 부진의 악순환을 탈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이에 해결방안으로는 BI 입주기업에 대한 마케팅 지원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BI 입주기업만을 대상으로 하는 사업과 예산의 확보가 절대 필요하며 이를 시행함에 있어서는 수요자인 BI 입주기업이 필요로하는 서비스에 최우선을 두면서 소요 예산을 감안하는 것이 필요하다. 지원대상에 있어서는 BI 입주기업 전체를 지원하는 것은 예상되는 사업 비용상 불가능하며 차등적 지원을 통해 성공모델을 육성하는 것이 필요하리라고 전망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