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참조시설

Search Result 84,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Development of Business Reference Models for the Infrastructure Asse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based on Government Enterprise Architecture (범정부 EA에 기반한 인프라 자산관리정보시스템의 업무참조모델 개발)

  • Nah, Hei-Sook;Choi, Won-Sik;Jeong, Seong-Yun;Oh, Seung-W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1373-1374
    • /
    • 2012
  • 공공시설 자산관리는 기존의 대응적 유지보수 개념의 시설물유지관리체계에서 예방적 유지보수 개념으로 전환한 시설물 유지보수의 새로운 개념이다. 기존에 운영되고 있는 공공시설관리 시스템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자산관리 모형이 표준화되어 범정부EA 지원시스템에 목표아키텍처로 등록되고 더 나아가서는 범정부 표준시스템으로 만들어 필요한 기관에 보급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공공시설 자산관리 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필수적인 참조모델을 시스템의 상호운영성과 정보의 호환성을 확보하기 용이하도록 범정부EA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제시한 자산관리 참조모델이 GEAP에 등록 관리 된다면 이것을 바탕으로 타 기관에서 향후 정보시스템을 구축할 때 사전에 파악하고 활용하도록 제안 할 수 있을 것이다.

Development of Performence Reference Model for the Infrastructure Maintenance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based on Government Enterprise Architecture (범정부 EA 기반의 인프라 유지관리 정보시스템의 성과참조모델 개발콘텐츠 기술에 관한 연구)

  • Nah, Hei-sook;Choi, Won-Sik;Jeoung, Seong-Yoon;Seo, Myou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23-424
    • /
    • 2012
  • 기존에 운영되고 있는 공공시설관리 시스템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유지관리 모형이 표준화되어 범정부EA 지원시스템에 목표아키텍처로 등록되고 더 나아가서는 범정부 표준시스템으로 만들어 필요한 기관에 보급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도로, 터널, 철도 등 인프라 시설관리 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필수적인 성과참조모델을 범정부EA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제시한 참조모델을 기준으로한 자산관리모형 아키텍처 모습이 GEAP에 등록 관리 된다면 이것을 바탕으로 타 기관에서 향후 정보시스템을 구축할 때 사전에 파악하고 활용하도록 제안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Research On Technical Reference Models For Ubiquitous City Service (u-City 서비스를 위한 기술 참조모델에 관한 연구)

  • Lee, Kyoung-Hyoun;Lee, Jong-Myun;Park, Jong-Gun;Ahn, Doo-Heon;Kim, Hwa-Jong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8a
    • /
    • pp.51-54
    • /
    • 2008
  • 유비쿼터스도시(u-City) 에서 제공할 서비스 즉, u-City서비스를 실제로 구현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기술을 u-City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u-City서비스, u-City 기반시설 그리고 u-City 기술들 간의 관계를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도구로서 u-City 기술 참조모델을 정의하였다. 이러한 참조모델을 사용함으로써 u-City 구축자, 서비스 제공자, 운영자, 이용자 등 여러 u-City 참여자들이 공감할 수 있는 서비스-기술 연계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u-IT 세부 기술이 발전하고 새로운 u-City 서비스가 추가되어도 이를 원활히 수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A Study on ICT-based Safety Management Platform for Electricity and Gas Energy (ICT 기반의 에너지 융합형 안전관리 플랫폼 구조에 관한 연구)

  • Jeong, Sangjin;Kim, Yong-W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169-1172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ICT 기반의 에너지 융합형 안전관리 플랫폼의 개발을 위해 필요한 국내 에너지 사용 시설의 에너지 안전관리 현황을 분석하고, 에너지 사용 밀집시설에서의 전기 및 가스 안전관리를 위한 에너지 안전관리 인프라 모델을 정의한다. 이를 기반으로 ICT 기반의 에너지 안전관리를 위한 플랫폼 참조 구조를 제시한다.

방음시설의 구조결정을 위한 차음효과예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 조기호
    • Journal of KSNVE
    • /
    • v.4 no.4
    • /
    • pp.413-424
    • /
    • 1994
  • 본 글에서는 도로교통소음을 예측할 경우; 소음영향평가시 계획한 도로변에 방음시설물의 설치여부를 결정할 경우, 그리고 방음시설을 설치할 경우에 그 방음 시설의 구조와 설치기준을 결정하기 위하여 적용할 수 있는 방음시설물에 의한 차음 효과예측법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언급하였다. 방음시설물의 종류와 구조 그리고 그 설치범위 등을 정확하고 공평하게 그리고 경제적으로 결정하기 위해서, 특히 환경영향 평가가 공정하게 실시되기 위해서는 국가에서 방음시설물 설치기준과 정밀 한 차음효과 예측법을 하나의 통일된 규정으로 확정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본문 에 언급한 요소들을 참조하여 기존의 방음벽설치 지침을 대폭적으로 수정.보완하여야 한다. 그러나 보다 정확한 예측과 실세계에 근접한 소음값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소음 원과 소음전파 공간환경의 특성을 고려한 연구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도로교통소음을 공정하게 예방하기 위해서는 조속한 시일내에 이에 적합한 대상지역별 도로교통소음예방 규제기준값을 법규에 명시하여야 하고, 현재 교통로 주변에 주택을 건설하는 경우에는 사업자가 택지로 확보한 부지안에 설치하고 있는 방음벽은 최대한 소음원에 근접하여 교통로변에 설치할 수 있도록 관련규정을 개정 하여야 한다.

  • PDF

Analysis of Improvement Measures of Vertical Moving Facilities at Subway Stations for Elderly Users based on a Data Envelopment Analysis (자료포락분석 기반의 고령자를 위한 지하철 역사 수직이동시설의 개선방안 분석)

  • Lee, Eun Hak;Kho, Seoung-Young;Kim, Dong-Kyu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6 no.5
    • /
    • pp.60-71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vertical moving facilities at subway stations for the elderly users and to analyze their improvement measures. To evaluate vertical moving facilities of the top 31 subway stations with the most trips in Seoul, a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is employed. The input variables for the DEA include the number and percentage of elderly users, which are calculated using smart card data. the output variables consist of the number of elevators and escalators per 100 steps. The results show that the average score of 31 subway stations is 0.62 and four stations, i.e., Jamsil, Gasan Complex, Konkuk University, and Dongmyo, have the highest score. These four subway stations are set as benchmarking groups for the other stations with the lower score. Based on the comparison with the benchmarking groups,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vertical moving facilities of each station are suggested and discussed.

A Study on Estimating Level-of-Service for Pedestrian Facilities (보행자 시설 서비스 수준 산정에 관한 연구)

  • 김정현;오영태;손영태;박우신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1
    • /
    • pp.149-156
    • /
    • 2002
  • 본 연구는 보행자 시설 중 계단과 대기공간에 대해 공학적으로 합리적인 분석방법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안전하고 편리한 보행시설의 제공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계단과 대기공간에 대한 외국의 조사방법과 분석방법을 참조, 비교하여 서비스 수준 결정기준을 정하고 용량 값을 산출하여 우리나라 현실에 맞는 적정한 설계기준을 산출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계단의 경우 효과척도로 보행 교통량을 그리고 대기공간에 있어서는 1인당 점유면적을 사용하였다. 현장 조사 결과 계단에서의 보행량은 보행자가 군을 형성했을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최대 보행량에 차이가 나는 것을 고려하여 보행자 군의 형성 여부에 따라 서비스 수준의 기준을 다르게 제시하였으며, 대기공간의 경우에는 1인당 점유면적을 한국인의 평균체형을 기준으로 하여 서비스 수준의 기준을 제시하였다. 계단과 대기공간에 있어서 이러한 조사와 분석을 통해 산출된 결과는 외국의 경우와 다른 값을 나타내는데, 계단에 있어서는 실질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유효계단 폭에 따라 최대 보행 교통량의 타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대기공간의 경우에는 한사람이 점유 할 수 있는 용량상태에서의 공간이 0.2$m^2$/인으로 외국의 경우보다 적게 나타난다.

GNSS를 이용한 계기비행절차($RNAV_{GNSS}$) 설계 기술동향

  • Kim, Pil-Su
    • Current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Trends in Aerospace
    • /
    • v.5 no.1
    • /
    • pp.93-103
    • /
    • 2007
  • 3차원의 공간을 비행하는 항공기의 항행은 조종사가 직접 지상의 지형지물을 참조하며 비행하는 시각비행과 지상의 항행안전시설로부터 무선신호를 받아 비행하는 계기비행으로 구분되어 발전되었다. 현재 계기비행을 수행하기 위한 계기비행절차 수립에 기반이 되는 항행안전무선시설은 기존의 VOR(VHF Omni-directional Range), ILS(Instrument Landing System) 등의 지상기반 항행안전무선시설에서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를 이용한 위성기반 항행으로 전환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항행체제 또한 기존의 Fix to Fix 항행체제에서 RNAV(Area Navigation) 체제로 전환되고 있는 추세이다. 계기비행절차는 항공기가 활주로를 이륙하여 항로로 진입하기 위한 계기출발절차(SID), 항로절차(Enroute), 항로에서 목적 공항의 지정된 활주로에 설정된 접근절차(Approach)로 인도하는 도착절차(STAR), 지정된 활주로에 착륙하기 위한 접근절차로 구분될 수 있으며 본문에서는 GNSS를 기반으로 하는 RNAV 절차(RNAVGNSS)에 대한 개괄적인 소개, 설계요건 및 RNAVGNSS 계기비행절차를 성공적으로 이행하기 위한 절차이행모델, RNAVGNSS 절차 수립에 중요하게 고려해야할 사항 등에 대하여 소개하도록 한다.

  • PDF

Analysis of the Efficiency of Chinese Repair Shipbuilding Industry (중국 수리조선산업의 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

  • Yang, Yun Ok;Wang, Gao Feng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33 no.4
    • /
    • pp.117-134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efficiency of the Chinese repair shipbuilding industry using a DEA model with 12 Chinese repair shipbuilding companies. Unlike preceding studies, this study has different research subjects as well as selected input and output variables.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competitive Chinese companies in the market. For the efficiency analysis, input variables included the number of technicians as well as facilities, and output variables were diversified with relevant factors using the number of repaired ships and service ranges as well as sales. The differences were analyzed by including only facilities as an input variable for the DEA model, and then both facilities and technicians. For inefficient DMUs,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were analyzed by finding the causes through a reference group, which was developed into an efficient DMU. Moreover, public and private companies were separated to develop improvement measures.

A Study on Kanagawa Prefectural Archives in Japan (일본 가나가와현(神奈川?) 아카이브 연구)

  • Yi, Kyoung Yong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63
    • /
    • pp.115-144
    • /
    • 2020
  • This paper aims to provide a reference case for the reform of the Korean records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interim preservation facility of the Kanagawa Prefectural Archives in Japan, and the early transfer system, appraisal and selection system of current rec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