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참여자 네트워크

Search Result 355, Processing Time 0.071 seconds

An Integration Scheme of Overlay Multicast protocol for wired and wireless Ad hoc Networks (유.무선 망에서의 오버레이 멀티캐스트 프로토콜 통합 방안)

  • 고보정;안소연;김남훈;이영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c
    • /
    • pp.184-186
    • /
    • 2004
  • 유선 네트워크와 애드 혹 무선 네트워크의 기본적인 차이점인 제한적 대역폭, 파워 등으로 인해 두 네트워크 사이에 멀티캐스트를 하고자 할 때, 한 멀티캐스트 프로토콜을 다른 네트워크에 적용 시키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서로 다른 네트워크 환경의 멀티캐스트를 통합하기 위한 방안으로 몇 가지 멀티캐스트 게이트웨이가 연구되었다. 기존의 멀티캐스트 게이트웨이는 멀티캐스트 그룹에 참여하기를 원하는 노드가 다른 환경의 멀티캐스트 그룹에 참여할 때마다 컨트롤 메시지의 전환이나, 패킷 헤더의 변경을 요구한다. 이와 달리,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멀티캐스트 게이트웨이는 애드 혹 노드가 유선 네트워크의 오버레이 멀티캐스트 그룹에 참여하고자 할 때에는 애드 혹 수신자 노드의 대리 송신자 역할을 하며, 반대로 유선 네트워크 노드가 애드 혹 멀티캐스트 그룹에 참여하고자 할 때에는 유선 네트워크 수신자 노드의 대리 송신자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애드 혹 네트워크의 노드가 직접 오버레이 멀티캐스트 그룹에 참여할 때 또는 오버레이 네트워크의 노드가 직접 애드 혹 멀티캐스트 그룹에 참여할 때 복잡한 멀티캐스트 프로토콜의 전환 과정을 생략할 수 있고, 투명성을 제공할 수 있다.

  • PDF

Mobil Agent based User Group Management for Distributed Virtual Environment (분산 가상 환경을 모빌 에이전트 기반 참여자 그룹 관리)

  • 이승근;탁진현;이세훈;왕창종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b
    • /
    • pp.236-238
    • /
    • 1999
  • 컴퓨팅 능력의 발달과 네트워크의 대용량화로 인해서 다중 참여자를 고려한 분산 가상 환경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분산 가상 환경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연결된 다중의 참여자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참여자 그룹 관리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기존의 분산 가상 환경에서의 참여자 그룹 관리는 참여자의 가입, 탈퇴 처리와 현재 상태의 제공 기능 등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형태의 참여자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현재 상태의 정보 뿐만 아니라 다양한 그룹 활동의 지원과 각각의 참여자가 수행한 작업의 형태와 그룹에 대한 정책등에 대한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다. 이러한 작업은 기존의 참여자 그룹 관리 방식에는 중앙 서버에 지나친 부담을 주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하기 위한 고려도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모빌 에이전트를 기반한 분산 가상 환경을 위한 참여자 그룹 관리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설계한 시스템의 특징은 하나의 그룹내에 다수의 소그룹이 존재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그룹 활동을 지원하며, 그룹의 현재 상태 정보 뿐만 아니라 그룹에 참여하는 각각의 참여자들의 행위 정보와 이동 정보를 관리함으로써 참여자를 진단을 욕하는 응용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모빌 에이전트 형태로 설계함으로써 중앙 서버에 대한 지나친 부담 문제를 해결하였다.

  • PDF

A Case Study of The Participant Network of Community Media in Seoul: Mapo FM Community Media (공동체 미디어의 참여자 네트워크 특성과 의미 분석: 마포FM 사례를 중심으로)

  • Jang, Si-Yeon;Chae, Young-Gil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5
    • /
    • pp.720-731
    • /
    • 2016
  •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community media in Seoul to discuss the meanings of the media. Community media is constructed based upon the networks of relations of community participants, whose characteristic relations of participants within the network determines the roles and meanings of the media for the community. Research have shown that community media's unique open, participatory, and horizontal communicative structures enable to realize such objects. For this study, we chose Mapo FM to conduct case study based upon network analysis of 'participant network' of the media. In particular, we tried to measure the density and centrality of the network, which can explain the rel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networks of the media. In addition, we also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of participants to better understand the problems and meanings of the community media. The findings suggest that unlike the conceptual and theoretical assumptions, the community media under the study lacks of open, participatory, and horizontal ways of participation in the media.

신규 참여자의 형평성 향상을 위한 블록체인에서의 새로운 증명 방식 연구: Proof-of-Probability

  • Kim, Sungmin;Kim, Kyeong Seon;Kim, Joongheon
    • Review of KIISC
    • /
    • v.28 no.3
    • /
    • pp.18-25
    • /
    • 2018
  • 최근 블록체인 기술을 응용한 가상화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자본금이 많지 않은 사람들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가장 유명한 가상화폐인 비트코인이 채택한 PoW 방식은 고성능 하드웨어의 과열된 열풍을 불어왔고 PoS 방식은 기존 지분이 많은 참여자들이 많이 존재하여 소수의 자본금을 가진 신규 참여자들이 네트워크에 새로 참여하기 어려운 환경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 블록체인 증명방식인 PoW, PoS 방식보다 네트워크 참여를 위한 자본금이 적고 신규로 참여하더라도 리스크가 적은 PoP(Proof-of-Probability) 방식을 소개한다. PoP 방식은 블록을 생성할 시 실제 암호화된 해쉬와 수많은 가짜 해쉬를 각 노드들이 정렬하여 진짜 해쉬를 복호화하여 찾은 노드가 블록을 생성하는 방식이다. 또한 1개의 해쉬를 복호화하여 검증받을 때 1분의 대기시간을 두어 과열된 컴퓨팅파워 경쟁을 제한한다. 지분(Stake)이 많을수록 블록을 생성할 확률은 높아지지만 이는 PoS 방식처럼 절대적이지 않다. 이 방식을 이용한다면 지분을 많이 가진 유효성 검증자(Validators)에 의한 집중화를 피하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려는 진입장벽도 낮출 수 있을 것 이다.

산업 제어 시스템 네트워크 분석 저지를 위한 트래픽 난분석화 기법

  • Lee, Yangjae;Jung, Hye-Lim;Ahn, Sung-Kyu;Park, Ki-Woong
    • Review of KIISC
    • /
    • v.30 no.5
    • /
    • pp.25-33
    • /
    • 2020
  • 산업 제어 시스템 대상 원격 관제 기술은 관리자의 즉각적 대응을 통해 산업 재해 발생 확률 저하를 위한 핵심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산업 제어 시스템 원격 관제 기술은 원격의 관리자와 통신하기 위해 외부 네트워크 연결이 필수적이며, 따라서 공격자들에게 기존 산업 제어 시스템에 존재하지 않던 새로운 네트워크 취약점을 노출하게 된다. 산업 제어시스템은 네트워크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해 터널링 프로토콜 또는 패킷 암호화 솔루션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러한 솔루션은 패킷 메타데이터를 분석하는 네트워크 트래픽 분석 공격을 방어하지 못한다. 공격자는 네트워크 트래픽 분석을 통해 패킷의 송수신 대상, 통신 빈도, 활성화 상태 등을 알 수 있으며 획득한 정보를 다음 공격을 위한 초석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솔루션들이 해결하지 못하는 산업 제어 시스템 네트워크 환경에서 발생하는 잠재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네트워크 트래픽 분석 난이도를 향상시켜 분석을 방어하는 솔루션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패킷 메타데이터를 분석하는 네트워크 트래픽 분석 공격을 어렵게 하고자 패킷 분할 및 병합 기반 네트워크 트래픽 난분석화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기법의 참여자인 관리자와 산업 기기는 각각 일정한 크기의 그룹으로 묶인다. 그리고 원격 관제를 위해 관리자와 산업 기기 간 송수신되는 모든 패킷을 대상으로 분할 노드를 경유하도록 한다. 분할노드는 패킷의 난분석화를 위한 핵심 요소로써, 관리자와 산업 기기 사이에 송수신되는 모든 패킷을 상호 목적 대상 그룹의 개수로 분할한다. 그리고 분할한 패킷 조각에 패킷 식별자와 번호를 부여하여 패킷 조각을 모두 수신한 목적대상이 올바르게 패킷을 병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분할노드는 목적 대상이 속한 그룹의 모든 참여자에게 서로 다른 패킷 조각들을 전달함으로써 공격자가 패킷의 흐름을 알 수 없도록 하여 산업 제어 시스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방어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패킷 분할 및 병합 기반 트래픽 난분석화 기법을 통해 산업 제어 시스템을 대상으로 한 트래픽 분석 공격을 방어함으로써 네트워크 공격의 피해를 줄이고 추가적인 네트워크 공격을 차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 Study on the Influence factors for Virtual Enterprise (가상기업의 성과요인에 관한 연구)

  • Park, Kyoung-Hye;Choi, Se-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Conference
    • /
    • 2006.06a
    • /
    • pp.109-129
    • /
    • 2006
  •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정보의 획득, 관리, 활용이 용이해지며 글로벌 네트워크의 구성이 가능해졌다. 글로벌 경쟁의 심화로 경영환경의 불확실성이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기업의 e-비즈니스화가 보편화되면 기업간의 협업이 증대되었다. 협업 네트워크(Collaborative Networks)는 사회적 자본과 목적의 관점에서 대부분 자동화되고, 지리적으로 분산되어 있으며, 컴퓨터 네트워크를 토대로 공통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협력하는 다양한 참여자로 구성되는 네트워크라 할 수 있다. 가상기업은 협업 네트워크의 대표적인 개념으로 시장기회의 대응성을 높이기 위해 상호보완적인 핵심역량을 가진 참여자들의 네트워크이다. 본 연구는 가상기업의 주요 특징을 고찰함으로써 가상기업의 개념을 구체화시키고 가상기업의 성공요인과 위험요인을 도출하고 각 요인간의 상대적 중요도 및 순위화를 통해 가상기업 참여기업의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하고자한다.

  • PDF

A Selective Message Synchronization Mechanism for Networked Virtual Environment (네트워크 가상환경에서의 선별적 메시지 동기화 기법)

  • Yun Chung-Ha;Paik Doo-Won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9 no.2
    • /
    • pp.208-214
    • /
    • 2006
  • Participants of a NVE(networked virtual environment) may have different hardwares and network environments, and to guarantee the fairness, messages of participants should be synchronized. A solution for the synchronization problem is to wait for a certain amount of time until the server processes the message. It is not easy to determine a suitable waiting period because of the trade-off between the fairness and the responsivenes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decide a waiting period by considering only the participants with small network delays and perform experiments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Experimen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leads to significant improvement of responsiveness, while retaining fairness.

  • PDF

Network Game based Cardiology Learning-Evaluation System (네트워크 게임을 이용한 심장학 학습평가 시스템의 개발)

  • 남상아;최수미;배소영;김명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c
    • /
    • pp.219-221
    • /
    • 1998
  • 네트워크 게임은 동시에 많은 참여자가 함께 게임에 참가하여 서로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게임을 진행하는 새로운 방식으로, 내용이 어려운 전문교육에 네트워크 게임이 갖는 이와 같은 특징을 접목시킴으로써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교육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의학전문분야 중 심장학에 대해 게임과 교육을 결합시킨 에듀테인먼트 시스템 Cardio.NT를 개발하였다. 개발 시스템은 다중 사용자가 함께 게임에 참여하여 심장학 문제풀이를 통해 얻어지는 점수를 상호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객관적이며 상대적인 학습평가를 제공한다.

  • PDF

An Error Sharing for Multimedia Collaboration Works running on Home Network Environment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멀티미디어 공동 작업을 위한 오류 공유)

  • Ko, Eung-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1346-1348
    • /
    • 2007
  •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오류 공유 시스템은 홈 네트워크의 LAN 및 WAN 환경에서 UDP 브로드 캐스팅 및 IP 멀티캐스팅을 지원하며 적은 부하로 응용 프로그램에서의 오류를 다수의 사용자가 공유하도록 지원한다. 특히 기존의 TCP 를 이용한 방법과는 달리 참여자의 수에 관계없이 일정한 전송률과 동일한 응답 시간을 보장함으로써 동시에 모든 참여자들이 같은 결과의 오류를 인식하게 되며 사용자의 수의 증가에 따른 영향을 적게 받는다.

  • PDF

E-learning System using Learner Created Contents based on Social Network (소셜 네트워크 기반 학습자 생성 콘텐츠를 이용한 이러닝 시스템)

  • Jang, Jae-Kyung;Kim, Ho-S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6
    • /
    • pp.17-24
    • /
    • 2009
  • This paper proposes a new e-learning model which introduces a participant method based on concepts of open source as well as UCC of web2.0 and achieves learner-centered learning. It is possible for learner to participate actively in creation of micro-contents and reorganize contents using various micro-content with one's learning strategies in consideration of one's own intellectual power, learning objectives and propensity to learn. The learner can achieve the learner-oriented learning through this procedure and select micro-contents in order to reorganize the personalized learning contents to take advantage of social network among learners. The higher effectiveness of learning would be expected by forming connectedness among learners using social 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