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참여의사

검색결과 1,438건 처리시간 0.042초

인터넷 영화 리뷰 게시판에서의 인상형성과 참여의사 (Impression Formation and Participative Intention in Internet Movie Review Bulletin Board)

  • 이정은;박주연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721-726
    • /
    • 2006
  • 인터넷 게시판을 통한 커뮤니케이션에서는 상호작용의 결과물이 지속적으로 남아 있어, 상호작용의 당사자뿐 아니라 나중에 참여하는 다른 이용자들의 게시판에 대한 지각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인터넷 게시판에서의 이용자들 간의 상호작용은 게시판의 기술적 형식이나 주제뿐 아니라 게시판에 있는 기존 이용자들의 메시지를 읽고 받은 인상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게시판의 익명성과 메시지의 전문성을 독립변인으로 한 $2{\times}2$ 실험설계에 따라 가상적 CMC 상황에서 피험자들이 영화 리뷰 게시판의 글을 읽도록 하였다. 게시판 기존 이용자 집단에 대해 받은 인상의 긍정성, 모호성, 전문성, 피험자 자신과의 지각된 유사성 및 해당 게시판에 대한 참여의사를 측정하였다. 결과, 전문성이 높은 메시지를 읽은 피험자들은 게시판의 기존 이용자들이 보다 전문적이라는 인상을 받았으며, 해당 게시판에 참여하고자 하는 의사를 더 많이 표시했다. 또한 기존 이용자들에 대한 인상의 긍정성과 유사성, 참여의사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 결과는 인터넷 게시판 이용이 기술적 요인뿐만 아니라 게시판의 기존 이용자 집단에 대한 인상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VRmeeting: 웹상에서 실시간 화상 대화 지원 분산 가상 환경 (VRmeeting : Distributed Virtual Environment Supporting Real Time Video Chatting on WWW)

  • 정헌만;탁진현;이세훈;왕창종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상)
    • /
    • pp.715-718
    • /
    • 2000
  • 다중 사용자 분산 가상환경 시스템에서는 참여자들 사이의 의사 교환을 위해 텍스트 중심의 채팅과 TTS 등을 지원하고 언어 외적인 의사교환을 지원하기 위해 참여자의 대리자인 아바타에 몸짓이나 얼굴 표정 및 감정등을 표현할 수 있도록 애니메이션 기능을 추가하여 사용한다. 하지만 아바타 애니메이션으로 참여자의 의사 및 감정 표현을 표현하는 데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자유로운 만남 및 대화를 지원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참여자의 얼굴과 음성을 가상 공간상에 포함시킴으로써 보다 분명하고 사실적인 의사교환과 감정표현이 가능할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형성되는 다중 사용자 가상 환경에서 참여자들의 의사 교환 및 감정 표현을 극대화하고 자유로운 만남과 대화를 제공하는 실시간 화상 대화가 가능한 분산 가상 환경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설계한 시스템은 참여자들의 거리와 주시 방향에 따라 이벤트의 양을 동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시스템의 부하를 최적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 PDF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의사소통 유형 및 아동의 성취동기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Relation among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Father-Child Communication Style, Children's Achievement Motivation and School Adjustment)

  • 도금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39-155
    • /
    • 2008
  • 본 연구는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의사소통 유형 및 아동의 성취동기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대구 지역의 초등학교 5,6학년 23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빈도, 백분율 및 Cronbach $\alpha$ 계수를 산출하였고,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중 여가활동 참여와 생활지도 참여가 아동의 성취동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의사소통 유형 중 개방형 의사소통 유형이 아동의 성취동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중 여가활동 참여와 생활지도 참여가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버지의 의사소통 유형 중 개방형 의사소통 유형과 문제형 의사소통 유형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아동의 성취동기가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아동의 교사관계 적응에는 아버지의 개방형 의사소통이, 교우관계 적응에는 성취동기가, 학교수업 적응에는 여가활동 참여가, 학교규칙 적응에는 성취동기가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여성들의 해양스포츠 참여제약 요인에 따른 협상전략 및 참여의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Limitation Factor in Women's Marine Sports on Negotiation Strategy and Participation Decision)

  • 장윤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3156-3163
    • /
    • 2011
  • 이 연구는 여성들의 해양스포츠 참여제약요인이 협상전략 및 참여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09년 서울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20대이상의 여성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후 집락무선표집법(cluster random sampling)을 이용하여 총 278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2009년 7월 1일부터 7월 30일 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5.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들의 해양스포츠 참여제약요인은 협상전략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들의 해양스포츠 참여제약요인은 참여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성의 해양스포츠 참여 협상전략은 참여의사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대학생의 생활체육 참여의식 연구 : COVID 19 팬데믹 이후를 중심으로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commitment and exercise continuation intention according to the use of mobile home training : Changes in fitness after Covid-19)

  • 김주원;김우식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963-973
    • /
    • 2021
  • 본 연구는 계획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 TPB)을 바탕으로 코로나-19 환경에서 대학생이 인식하는 생활체육과 참여의사 및 참여행동에 관하여 인과 관계(SEM)를 적용하여 대학생이 인식하는 생활체육을 탐색하고, 생활체육 종목을 예측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12월 1일 ~ 2021년 5월 1일까지 표본계획에 의해 모바일 프로그램인"서베이 몽키"를 사용하여 총 267명 분석에 사용했다. 연구결과 계획행동이론는 생활체육 참여의사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PB는 생활체육 참여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활체육 참여의사는 생활체육 참여행동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소통과 오픈소스 도구를 활용한 과제 관리

  • 김범수;이희승;이동백
    • 정보와 통신
    • /
    • 제31권3호
    • /
    • pp.69-77
    • /
    • 2014
  • 물리적으로 분산된 환경에서 진행하는 대규모 과제에서는 참여자 간 의사소통에 많은 비용이 들고, 의사결정을 위한 공유 자료의 신뢰성도 확보하기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K-Hub와 Redmine을 적용한 협업 시스템을 구축하여 과제를 진행하고 있다. 기존의 오피스 툴을 활용한 과제관리방식에서 K-Hub와 Redmine를 도입함으로써 과제 내 의사소통 및 과제 정보 공유 환경을 구축하여, 과제관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고 참여자들에게 제공되는 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문서의 관리비용을 줄이고, 과제 참여자에게 제공되는 정보에 대한 신뢰성 확보하여, 빠른 의사결정과 효과적인 의사소통의 기반을 실현하였다. 결국 불필요한 관리 업무를 최소화 하였고, 관리의 편리성을 향상 시켰다.

주부의 가정생활에서의 의사결정 공동참여와 가정생활만족도 - 대구시 거주 30~40대 주부를 대상으로 - (Family Life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in Joint Decision Making of Housewives - Urban Housewives of 30~40 Ages in Daegu -)

  • 손현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3권1호
    • /
    • pp.35-46
    • /
    • 1995
  •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 자녀를 둔 도시 주부의 가정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대구시에 거주하는 30대와 40대의 주부를 대상으로 연구한 것이다. 가족환경변인과 부부상호작용변인으로는 의사결정 공동참여를 매개변인으로 하여 가정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모색한 결과 주부의 건강상태, 월평균 소득, 남편직업만족 변인은 가정생활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부인학력과 남편학력은 의사결정 공동참여를 경유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중국 가족에서의 여성의 지위: 6개 도시와 농촌 지역을 중심으로

  • 송유진
    • 한국인구학
    • /
    • 제28권1호
    • /
    • pp.203-233
    • /
    • 2005
  • 기존 연구에 의하면 중국 여성의 사회적 지위는 높게 평가된다. 그러나 실증적인 자료에 근거하여 이루어진 중국 여성의 가족 내 지위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이 연구는 중국 여성의 지위에 대한 균형적인 시각을 얻기 위하여 가족 내 여성의 지위를 알아보고자 한다. 가족 내 여성의 지위를 파악하기 위하여 아버지의 자녀 양육과 자녀교육 관련 의사결정 과정에의 참여를 중심으로 성역할 분담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6개 도시 지역과 농촌 지역에서 수집된 자료의 통계 분석와 상해 산동 지역에서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가 통합적으로 이용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에 관계없이 중국 사회에서 자녀 양육의 주책임은 어머니에게 있다. 둘째, 아버지들은 자녀 양육 활동보다 의사결정 과정에 더 높은 참여율을 보인다. 셋째, 아버지의 자녀 양육 참여율은 농촌에 비해 도시 지역에서 높게 나타난다. 반면, 의사결정의 경우는 도시에 비해 농촌 지역 아버지들의 참여율이 더 높다. 넷째, 전통적인 성역할 구분에 대한 가치관도 도시와 농촌 지역간에 차이가 있다. 결과적으로 중국 가족 내 여성의 지위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이며, 중국 가족에서 자녀 양육 책임이 동등하게 분담되지 않아서 여성의 이중부담이 큰 것으로 생각된다.

웹 기반 3차원 가상 공간에서 실시간 화상 대화 지원 학습/훈련 시스템 (Learning/Training System Supporting Real Time Video Chatting on Web-based 3D Virtual Space)

  • 정헌만;탁진현;이세훈;왕창종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2)
    • /
    • pp.571-573
    • /
    • 2000
  • 기존 분산 가상환경 시스템에서는 참여자들 사이의 언어 외적인 의사교환을 지원하기 위해 참여자의 아바타에 몸짓이나 얼굴 표정 등을 표현할 수 있도록 애니메이션 가능한 아바타를 사용한다. 하지만 아바타 애니메이션으로 참여자의 의사 및 감정 표현을 표현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가상 환경 내의 다중 사용자들의 의사 교환 및 감정 표현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 실시간 화상 대화 가상 환경 학습.훈련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설계한 시스템은 학습 참여자의 화상 및 음성 스트림을 전달함으로써 기존 응용들에 비해 풍부한 의사 교환을 지원하고, 가상 공간에서 학습에 필요한 다양한 모듈들을 포함하고 있다.

  • PDF

증강현실(AR)을 활용한 음식 이미지 제시가 구매 의사에 미치는 영향: 사용자 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Food Image Presentation on Purchase Intention With the Use of Augmented Reality: The Mediation Effect of User Engagement)

  • 공해인;한광희
    • 감성과학
    • /
    • 제22권3호
    • /
    • pp.65-76
    • /
    • 2019
  • AR (Augmented Reality; 증강현실)은 가상의 이미지를 현실 세계에 덧붙이는 기술이다. 본 연구는 온라인으로 활발히 소비되는 품목인 음식을 AR로 제시했을 때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AR 음식 이미지가 구매 의사와 사용자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정적인 음식 이미지와 비교하여 알아보았고, 이미지 제시 방식과 구매 의사와의 관계를 사용자 참여가 매개하는지도 살펴보았다. 참가자는 두 조건 중 하나로 무선할당되어 AR 조건은 AR로 음식 이미지를 보고 정적 조건은 정적인 음식 이미지를 보았다. 그 후 참가자들은 사용자 참여와 구매 의사를 묻는 설문에 응답했다. 실험 결과, AR로 음식을 본 조건이 정적인 이미지를 본 조건보다 사용자 참여가 더 높았고, 구매 의사 또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 분석 결과, 사용자 참여의 간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 사용자 참여는 이미지 제시 방법과 구매 의사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 매개 분석을 진행한 결과, 사용자 참여의 하위 척도 중에서도 심미성의 완전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AR로 음식 이미지를 보게 되면 심미성이 높아지며, 높은 심미성은 음식에 대한 높은 구매 의사로 이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음식 이미지를 제시하는 방법으로 AR 기술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