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참선(參禪)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왕사정(王士禎)의 시가 창작과 이론에 대한 왕사록(王士祿)의 영향 고찰(考察)

  • 이동훈
    • 중국학논총
    • /
    • 제61호
    • /
    • pp.155-179
    • /
    • 2019
  • 淸初, 王士禎與長兄王士祿同上公車, 與海內文人論文定交, 一時馳聲藝苑, 傳譽京師, 人稱'二王'. 王士禎之所以成爲淸初詩壇領袖, 在文藝方面受到王氏前輩與兄弟的薰陶和影響. 家學的淵源是王士禎吸之不盡的營養寶庫. 王士禎對其兄弟們互相切磋. 勸學共勉, 尤其是長兄王士祿, 是王士禎詩的啟蒙人之一, 實際上是爲兄兼師, 對王士禎的詩歌創作與理論兩方面的影響無與論比的. 王士祿仕宦不達, 物役艱難, 尤經歷兩次被入獄的痛苦, 終生靠佛教, 又在香奩體詩見長, 故王士禎受到長兄王士祿的愛好. 王士祿的佛學修養對王士禎深有影響, 王士禎與不少禪僧交遊, 而且王士禎晩年自放逃禪, 深究佛理. 甚至, 王士禎所標榜的神韻說, 長期建樹在詩禪一致的角度, 其理論體系與參禪的原理與標準幾乎沒有差別, 所以嚴羽和王士禎共以禪喩詩, 從創作構思和作態度至於創作技巧, 皆與頓悟境地十分相似, 如王士禎《香祖筆記》卷八曰"捨筏登岸, 禪家以爲悟境, 詩家以爲化境, 詩禪一致, 等無差別. " 其次, 王士祿喜歡作香奩詩, 也有對王士禎的影響. 在中國古典詩歌的角度, 香奩詩不包含雅正文學的範圍, 反而有香奩詩爲淫靡之作的看法. 但是, 王士祿認爲香奩詩表現出人間純粹感情的抒情詩的特徵, 肯定香奩詩一定包含傳統抒情詩的領域, 具備登上中國詩歌之大雅之堂的資格. 王士禎同樣視香奩詩爲內質相同的文學, 甚至香奩詩也有諷諭功能, 能反映出當時現實與時代的眞相. 如此, 王士祿鼓吹香奩詩, 肯定重情思想, 這些顯然對王士禎産生了影響.

단전(丹田) 호흡(呼吸)과 화두(話頭) 참선(參禪)의 원리(原理)에 관(關)한 정기신론적(精氣神論的)인 비교(比較) 고찰(考察) (The Jeong-Gi-Shin study on the principle of Dan-Jeon respiration and Seon meditation)

  • 김경철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307-313
    • /
    • 1996
  • In order to study for the principle of the Dan-Jeon respiration and Seon meditation to be ascetic exercises for the sake of experience of Oriental medicine as practical science, they were investigated the theory of the Jeong-Gi-Shin.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allows ; 1. The Dan-Jeon respiration was Mahayana of ascetic exercises to act demension of Gi to be observed two sides of material and spirit. 2. The Seon meditation was Mahayanea of exercises to experience demension of Shin to be the subject of life directly. 3. Even though Dan-Jeon respiration takes the golden mean of Shin, it belongs to the category of Jeon-Gi to correspond to appearance of material dimension. Seon meditation utilizes the Jeong-Gi in the stage of the golden mean of Shin. As results, Dan-Jeon respiration does not get out of the world of appearance centering around the Gi. But Seon meditation gets out of the world of appearance and utilizers the relativity in the free absoluteness.

  • PDF

${\ll}$삼일신고(三一神誥)${\gg}$에 나타난 의료기공(醫療氣功)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medical Qigong mentioned in ${\ll}$Samilshingo${\gg}$ (三一神誥))

  • 반창열
    • 대한의료기공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40-94
    • /
    • 2004
  • 최근 서구(西歐)에 불고 있는 명상(冥想)과 참선(參禪) 및 기공(氣功)붐과 더불어 우리 전통(傳統)의 양생법(養生法)들의 가치(價値)가 새롭게 평가(評價)되고 있는데, 아직 우리 고유(固有)의 이론적(理論的) 근거(根據)가 미흡(未洽)한 실정(實情)이다. 이에 저자(著者)는 한국의료기공(韓國醫療氣功)의 이론적고찰(理論的根據)를 마련하기 위해서 한국기공(韓國氣功)의 역사(歷史)를 시대순(時代順)으로 살펴보고, 한국기공(韓國氣功)의 이론적(理論的) 근거(根據)가 되는 ${\ulcorner}$${\lrcorner}$ 사상(思想)을 검토(檢討)한 후(後), ${\ll}$삼일신고(三一神誥)${\gg}$${\ll}$황제내경(黃帝內經)${\gg}$에 나타난 신(神)의 의미(意味)와 인체관(人體觀) 그리고 수련법(修鍊法)의 비교연구(比較硏究)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삼국시대(三國時代)에 활기(活氣)를 띤 민족고유(民族固有)의 신선도(神仙道)는 점차(漸次) 도교(道敎)의 영향(影響)을 받아 통일신라시대(統一新羅時代) 이후(以後) 점점(漸漸) 쇠퇴(衰退)되어 겨우 명맥(命脈)만 유지하게 되었으며, ${\ulcorner}$${\lrcorner}$ 사상(思想)의 기원(起源)이 되는 삼대경전(三大經典)중 하나인 ${\ll}$삼일신고(三一神誥)${\gg}$에는 유(儒) 불(佛) 도(道) 삼교(三敎)의 원형(原形)이 포함(包含)되어 있었기 때문에 삼국시대(三國時代)부터 들어온 유(儒) 불(佛) 도(道)의 외래사상(外來思想)을 발전적(發展的)으로 수용(受容)할 수 있었다. ${\ll}$삼일신고(三一神誥)${\gg}$${\ll}$황제내경(黃帝內經)${\gg}$을 비교연구(比較硏究)한 결과 기공(氣功)의 이론적(理論的) 근거(根據)가 되는 세 가지 측면(側面)에서 공통(共通)된 점(點)을 찾아볼 수 있었다. 첫째, 신(神)의 의미(意味)에 있어, 천신(天神)과 인신(人神)의 층차(層差)가 존재하면서도 서로 상통(相通)하고 있으며 신(神)의 작용(作用)을 세 가지로 구분(區分)한다는 면에서 논리구조(論理構造)가 일치(一致)되는 공통점(共通點)이 있었다. 둘째, 인체관(人體觀)에 있어, ${\ll}$삼일신고(三一神誥)${\gg}$의 기일원론(氣一元論), 진망이분론(眞妄二分論), 성(性) 명(命) 정(精)과 심(心) 기(氣) 신(身)의 삼분론(三分論)과 형식적(形式的)인 면에서 공통점(共通點)이 있었고 또한 삼진(三眞)인 성(性) 명(命) 정(精)은 삼보(三寶)인 심(心) 기(氣) 신(身)의 이치적(理致的)인 측면(側面)으로, 삼망(三妄)인 심(心) 기(氣) 신(身)은 삼보(三寶)인 정(精) 기(氣) 신(神)의 기능적(機能的)인 측면(側面)으로 이해(理解)할 수 있었다. 셋째, 수련법(修鍊法)에 있어, ${\ll}$삼일신고(三一神誥)${\gg}$에 나타난 지감(止感) 조식(調息) 금촉(禁觸)의 수련법(修鍊法)은 각각(各各) 한의학(韓醫學)의 병인(病因)인 내인(內因) 외인(外因) 불내외인(不內外因)을 조절하는 방법(方法)으로 이해(理解)할 수 있었다. 즉 지감법(止感法)은 인간(人間)의 감정(感情)과 마음 그리고 본성(本性)을 조절(調節)하는 방법(方法)으로, 조식법(調息法)은 인체내부(人體內部)의 기운(氣運)뿐만 아니라 인체내외(人體內外)의 기운(氣運)을 조절(調節)하는 방법(方法)으로, 금촉법(禁觸法)은 인체(人體)의 이목구비(耳目口鼻)와 자세(姿勢) 그리고 생활습관(生活習慣) 등을 조절(調節)하는 방법(方法)으로 이해(理解)할 수 있었다. 이상(以上)의 결론(結論)을 통(通)하여 ${\ll}$삼일신고(三一神誥)${\gg}$에 나타난 신(神)의 의미(意味)와 인체관(人體觀) 그리고 수련법(修鍊法) 등이 ${\ll}$황제내경(黃帝內經)${\gg}$과 공통(共通)된 기공(氣功)의 이론적(理論的) 근거(根據)를 가지므로 ${\ll}$삼일신고(三一神誥)${\gg}$는 한국의료기공학(韓國醫療氣功學)에 있어서 큰 의의(意義)를 가지고 있으며, 향후(向後)에도 지속적(持續的)인 연구(硏究)가 필요(必要)할 것으로 사료(思料)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