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착화합물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초

제염용액내 유기산이 금속이온 이온교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rganic Acids in Decontamination Solution on Ion Exchange of Metal Ions)

  • 양영석;강영호;정경락
    • 공업화학
    • /
    • 제4권1호
    • /
    • pp.171-177
    • /
    • 1993
  • 원자로 냉각계통의 방사성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염공정에서 유기산에 용해된 금속이온들은 이온교환 수지를 통과하면서 제거된다. 그러나 제염용액내 유기산들은 용액내 금속이온과 착화합물을 형성하여 이온교환수지에 대한 친화도를 감소시킨다. 이같은 관점에서 착화합물 형성이 이온교환공정에 미치는 영향 해석을 위해 코발트와 철 이온을 대상으로 Amberlite IRN-77 양이온수지와의 이온교환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에서 화학제염제로 사용된 유기산 가운데 EDTA는 철 이온보다 코발트 이온과 강한 착화합물을 형성하여 코발트 이온의 수지에 대한 이온교환용량을 현저히 감소시켜 주는 성분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Oxalic Acide와 Citric Acide의 영향은 미미하였다. 또한, 실험결과로부터 이들 금속이온 들에 대한 단일 성분계 및 2성분계 비선형 평형식을 결정하였다.

  • PDF

새로운 펜타아자 거대두고리 기간드의 니켈 (II) 및 구리 (II) 착화합물의 합성과 특성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New Nickel (II) and Copper (II) Complexes of a Pentaaza Macrobicyclic Ligand)

  • 강신걸;정수경
    • 대한화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510-515
    • /
    • 1989
  • 테트라에틸렌펜타아민과 포름알데히드의 주형축합반응으로부터 새로운 펜타아자 거대두고리 리간드인 1,3,6,9,12-펜타아자비시클로[10,2,1]펜타데칸(D)의 니켈(II) 및 구리(II) 착화합물 $[Ni(D)]^{2+},\;[Cu(d)]6{2+}\;그리고\;[Cu(D)Cl]^+$를 합성하였다. 거대두고리 리간드인 D에는 한 개의 이미다졸리딘 고리가 있다. $[Ni(D)]^{2+}와 [Cu(D)]^{2+}$는 5-5-5-6 킬레이트고리 배열로 된 평면사각형 구조를 이루며, 5-배위 착이온인 $[Cu(D)Cl]^+$의 구조는 그의 전자스펙트럼으로 볼 때 사각피라미드일 것으로 보인다. 이들 니켈(II) 및 구리(II) 착화합물의 합성과 확인 그리고 분광학적인 특성과 화학적인 특성이 논의된다.

  • PDF

폴리올과 붕산의 착화합물 형성원리를 이용한 수용액 중의 보론 제거에 관한 라만 분광학 연구 (Removal of Aqueous Boron by Using Complexation of Boric Acid with Polyols: A Raman Spectroscopic Study)

  • 엄기헌;정희철;안혜영;임준혁;이제근;원용선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3권6호
    • /
    • pp.808-813
    • /
    • 2015
  • 해수 중에 보론은 주로 붕산(boric acid, $B(OH)_3$)으로 존재하며 그 크기가 역삼투압(RO, reverse osmosis) 공정의 막의 공칭공경(nominal pore size)만큼 작아 이를 제거하기가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용액 중 보론 화합물의 크기를 역삼투압 공정에서 제거가 용이하도록 키우기 위한 방법으로 $B(OH)_3$가 폴리올과 착화합물을 형성하는 원리를 이용하고자하며 착화합물의 형성 여부를 라만 분광학 연구를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먼저 $B(OH)_3$와 붕산염(borate ion, ${B(OH)_4}^-$) 이온의 대칭(symmetric) B-O 신축운동 모드(stretching vibrational mode)의 진동수를 확인하기 위하여 pH를 증가시키며 라만 스펙트럼을 측정한 결과 $877cm^{-1}$에서 $730cm^{-1}$으로 피크의 이동이 관찰되었다. 이는 수용액 중의 $B(OH)_3$가 pH가 증가하면서 ${B(OH)_4}^-$로 전환됨을 나타내고 이러한 피크의 이동은 진동수 계산(frequency calculation)에 의한 예측과 정확하게 일치하였다. 반면 $B(OH)_3$ 수용액에 폴리올을 첨가한 경우 pH가 증가하여도 ${B(OH)_4}^-$의 특성 진동수인 $730cm^{-1}$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는 $B(OH)_3$${B(OH)_4}^-$로 전환되는 것이 아니라 폴리올과 착화합물을 형성함을 간접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1,4,8,11-테트라아자사이클로테트라데칸의 높은 스핀 다섯배위철(II) 착화합물과 1,5,8,12-테트라아자도데칸의 높은 스핀 여섯배위철(II) 착화합물의 합성 (Preparation of High Spin Five-Coordinate Iron(II) Complexes of 1,4,8,11-Tetraazacyclotetradecane and High Spin Six-Coordinate Iron(II) Complexes of 1,5,8,12-Tetraazadodecane)

  • 백명현
    • 대한화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39-145
    • /
    • 1980
  • 마크로사이클리간드인 1,4,8,11-테트라아자사이클로테트라데칸 (cyclam)과 비환형 리간드인 1,5,8,12-테트라아자도데칸 (3,2,3-tet)의 높은 스핀철(Ⅱ) 착화합물이 합성되었다. 낮은 스핀인 $[Fe(cyclam)(CH_3CN)_2](ClO_4)_2$는 메탄올속에서 염소이온과 반응하여 높은 스핀인 $[Fe(cyclam)Cl]ClO_4$를 생성한다. $[Fe(cyclam)(CH_3CN)_2](ClO_4)_2$는 낮은 스핀이지만 $[Fe(3,2,3-tet)(CH_3CN)_2](ClO_4)_2$는 높은 스핀을 가지며 이 차이는 비환형 리간드가 환형 리간드보다 압축효과가 작은 것으로 설명된다. $[Fe(cyclam)Cl]ClO_4$의 합성은 마크로사이클리간드가 불포화되어 있거나 치환체가 있어야 높은 스핀 다섯배위철(II) 착화합물의 합성이 가능하다는 지금까지의 전해에 반대되는 증거가 된다. $[Fe(cyclam)Cl]ClO_4$$[Fe(3,2,3-tet)(CH_3CN)_2](ClO_4)_2$는 일산화탄소와 반응해서 각기 낮은 스핀 여섯배위인 $[Fe(cyclam)Cl(CO)]ClO_4$$[Fe(3.2,3-tet)(CH_3CN)(CO)](ClO_4)_2$를 만든다.

  • PDF

화학료법제의 금속 chelate 화합물에 관한 연구 (V) Sulfa 제-Cu 착화합물의 구조 (Studies on Metal Chelation of Chemotherapeutic Agents.(V) Structures of Cu-Sulfa Drug Complexes)

  • 이왕규
    • 약학회지
    • /
    • 제13권2_3호
    • /
    • pp.97-100
    • /
    • 1969
  • As a part of an effort to find a relationship between metal chelation and its chemotherapeutic activity change for sulfa drugs, Sulfadimethoxine, Sulfamerazine Sulfamethoxy-pyridazine-Cu(II) complex compounds were studied through IR spectra.

  • PDF

철 (III)-옥살산 착물의 합성과 규명에 관한 연구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Oxalatoferrate (III) Complexes)

  • 최기주;김명순;손연수
    • 대한화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5-42
    • /
    • 1976
  • 사면체 구조를 갖는 철(III)-옥살산 착화합물 5개와 팔면체 구조를 갖는 착화합물을 3개를 합성한 후 화학분석과 적외선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이들 착이온의 구조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이들중 $[FeC_2O_4Br_2]^-,$ $[FeC_2O_4(NCS)_4]^{3-}$$[Fe_2(C_2O_4)_3Cl_4]^{4-}$등의 3개의 피리딘염은 아직 보고되지 않은 새로운 착물이며, 특히 이합체로 생각되는 착물 $(PyH)_4[Fe_2(C_2O_4)_3Cl_4]$는 광화학 반응성이 아주 큼을 알 수 있었다. 이들 여러 철(III)-옥살산 착물의 물전기전도도와 자기화율에 관한 측정결과도 함께 보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