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착화실험

Search Result 194,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Ppray Ignition Phenomena Using Shock Tube Combustion System Design (충격파관 시스템설계에 의한 분무의 착화현상 연구)

  • ;水谷幸夫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3 no.1
    • /
    • pp.54-61
    • /
    • 1994
  • 계단형태의 고온발생장치로서, 고온의 흐름을 형성하고 난류유동이 없이 일정한 혼합기류를 만들 수 있는 2단격막구조 충격파관 장치를 이용하여, 혼합을 동반하지 않는 분무의 착화과정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충격파관 속에 하향으로 설치된 초음파 분무기에 의해 자유낙하 상태에 있는 예혼합 분무주를 만들어서 반사충격파에 의해 순간적으로 단열압축시켜서 착화 현상을 관찰하였다. 고온영역과 저온영역에서 얻어진 활성화에너지는 큰 차이가 나며 본 연구에서 얻은 착화지연의 실험결과는 통상의 분무착화 실험인 전기로법, 급속압축기법, 고온기류속에 연료를 분사하는 방법과 다른 현상을 보였다. 그 대표적인 결과에 대한 예로는 착화지연에 대한 압력 의존성과 연료분사율의 영향이 일반적인 분무의 결과에 비해 적게 나타났다.

  • PDF

Ion Exchange Modeling with Mass Action Law and Surface Complexation Models (질량작용법칙과 표면착화모델을 이용한 이온교환 모델링)

  • 이인형;안현경;김상대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3.06a
    • /
    • pp.322-324
    • /
    • 2003
  • 이온교환은 액체상에 존재하는 이온과 고체상에 존재하는 이온이 당량적으로 치환되는 것으로 정의하며, 치환되는 정도는 일반적으로 전하의 크기와 이온이 수화반경에 따라 달라진다. 지금까지의 이온교환 반응에 대한 모델링 연구는 실험식, 질량작용식, 열역학식, 전기이중층이론, 표면착화모델 등을 이용하여 2 성분에 대하여 다양한 시도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 3, 4성분에 대해 질량작용법칙과 전기이중층이론을 조합한 표면착화모델과 질량작용법칙을 이용한 모델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표면착화모델이 질량작용법칙을 이용한 것보다 실험치와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화재 사례를 통한 양초 연소시간 측정 실험

  • Mun, Yong-Su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Investigation
    • /
    • v.7 no.1
    • /
    • pp.49-54
    • /
    • 2005
  • 본 실험은 방화 사건 현장에서 지연 착화 재료로 쓰이는 양초의 연소 시간을 측정키 위해 실험을 수행하였고, 시중에서 판매되는 양초는 종류, 크기, 제조사별 모두 다른 연소 시간을 나타나는 결과를 확인하여 양초에 대한 일괄적인 연소량, 시간에 비례되는 공통적인 자료를 도출할 수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사건 현장에서 지연 착화의 재료로 사용한 양초가 발견된다면 그 양초를 시료로 한 현장의 분위기를 조건으로 연소실험을 통하여 연소량에 비례하는 시간 측정결과로 착화 시간을 추정해야 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A Study on the Ignition Delay Effect in the Reduced-Scale Fire by Flame-Resistant Treated Plywood (유사 화재에 대한 방염처리 합판의 착화 지연효과 연구)

  • Lee, Seung-Hyun;Kim, Hwang-Jin;Lee, Sung-Eun;Oh, Kyu-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4a
    • /
    • pp.180-187
    • /
    • 2011
  • 본 논문은 다중이용업소와 목조건축물에 자주 사용되는 미송합판에 방염처리를 하여 유사 화재를 구현하고, 그 화염 세기에 따른 방염의 실효성을 실험한 것이다. 방염처리를 하면 화재 시 가연물의 초기착화시간을 지연시켜 화재성장속도를 늦출 수 있고, 원활한 소화활동을 가능하게 해준다. 하지만 어느 정도 화재가 진행되어 화염이 거세지면, 45도 연소시험을 통한 방염기준을 충족하여도 그 성능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한다. 따라서 45도 연소시험 시 사용되는 65mm의 불꽃보다 큰 화염상태(초기착화 이후의 상태)에서 방염처리한 내장재(미송합판)의 방염성능이 유지되는지의 여부를 실제로 입증하고 그 근거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실험에서는 화재의 규모(화염의 세기)를 달리하여 각기 다른 종류의 방염제로 방염 처리한 미송합판의 착화 시 화염온도, 복사열 유속 그리고 착화지연시간을 파악하였으며, 45도 연소시험과 관련하여 방염성능을 분석하였다. 45도 연소시험의 경우 실험에 사용한 방염 처리 합판은 방염성능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규모 유사 화재로 직경 10cm 연소용기를 사용한 연소실험에서는 방염 처리한 합판의 착화지연시간이 평균적으로 대규모 유사 화재실험보다 길어 어느 정도는 방염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대규모 유사 화재로 1단위 유류화재 연소용기를 사용한 연소실험의 경우 열방출율이 커 형성된 탄화막이 무분별하게 박리되고 발화가 일어나 착화지연시간의 차이를 구별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방염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 PDF

A Comparison Study of Radiostrontium Chelation with Chitin, Chitosan, EDTA and DTPA (카이틴, 카이토산, EDTA, DTPA의 방사성스트론튬(Sr-85) 착화물 형성에 관한 비교 연구)

  • Bom, Hee-Seung;Kim, Young-Ho;Kim, Ji-Yeul
    • The 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 /
    • v.32 no.4
    • /
    • pp.391-395
    • /
    • 1998
  • Purpose: Chitin and chitosan are nontoxic natural chelators that chelate radiostrontium effectiv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radiostrontium chelation of chitin and chitosan with that of well known chemical chelators, namely EDTA and DTPA. Materials and Methods: The chelaton rates of chitin, chitosan, EDTA and DTPA were compared using a column chromatography method (Sephadex G-25M, Sweden). Three kinds of chitins and four kinds of chitosans were used. All of them were water soluble. Results: Phosphated chitosan showed the highest chelation yield of 97% at pH 7. All of chitins, chitosans, EDTA and DTPA showed chelation yield of more than 90% independent of varing pH level. Conclusion: Chitin and chitosan have similar chelation rate as compared with EDTA and DTPA.

  • PDF

Ignition Temperature of Hydrogen/Air Mixture by Hot Wire in Pipeline (열선에 의한 파이프라인내의 수소/공기 혼합기의 착화온도)

  • Kim, Dong-Joo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8 no.4
    • /
    • pp.8-13
    • /
    • 2014
  • In order to improve safety for hydrogen network infrastructure, the ignition temperature by hot wire was investigated for different hydrogen compositions in pipelines. The result shows that minimum temperature for ignition decreased with decreasing hydrogen composition. The minimum temperature was confirmed at a hydrogen composition of approximately 10 vol.%. The one of the reasons is supposed that buoyancy force should generate the convection of gas mixture. It was also found that humidity had a little effect on ignition temperature, flame temperature.

Effects of the Powder Agglomeration on Vibrating Minimum Ignition Energy Measurement System for Powder (진동형 분진 최소착화에너지측정장치에서 분진 응집현상이 미치는 영향)

  • ;;;;;;M.Yamaguma;W.L.Cheung;T. Kodama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9.06a
    • /
    • pp.229-233
    • /
    • 1999
  • 일반적으로 가연성 분진의 최소착화에너지(Minimum Ignition Energy; MIE)를 측정하는 방법에는 Hartmann식(이하 재래식이라 칭한다)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재래식은 상당히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나 착화 후 용기류의 청소, 실험장치의 조작성 등 실험에 어려움이 있으며, 또한, 압축공기계통의 필요 등으로 제조 가격이 상당히 고가이다. 따라서, 일본에서는 이러한 재래식의 단점을 보완하면서도 기존의 재래식보다 신뢰성이 크게 뒤떨어지지 않은 장치를 개발하고자, 신 개념의 진동형 분진 최소 착화 에너지 측정장치를 개발중에 있다. (중략)

  • PDF

Effects of Dissolved Humic Acid on Complexation and Activate Carbon Adsorption of PCB (Humic Acid가 PCB의 착화합과 활성탄 흡착특성에 미치는 영향)

  • Kim, Sung-Hyun;Beak, Il-Hyun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4 no.4
    • /
    • pp.746-752
    • /
    • 1993
  • Quantitative measurements have been made by using equilibrium dialysis techniques on the extent of complexation between PCB and dissoved humic acid(HA).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effectiveness of activated carbon adsorption for the removal of PCB from organic free water and humid acid background solution by using bench-scale equilibrium and rate tests. It was found that the extent of complexation depended on the pH, calcium concentration, ionic strength, and the concentration of humic acid. When HA was present, activated carbon capacity was greatly reduced due to complexation and competitive adsorption effects and the adsorption characteristics became complicated by the presence of various species such as the unassociated HA, PCB, and PCB-HA complexes.

  • PDF

Influences of fuel additives on the low temperature reaction of DME HCCI engine (DME 예혼합압축착화 기관의 저온산화반응에 미치는 첨가연료의 영향)

  • Jung, Suk Ho;Ishida, Masahiro
    • Journal of Power System Engineering
    • /
    • v.16 no.6
    • /
    • pp.19-23
    • /
    • 2012
  • DME HCCI기관의 단점은 디젤 엔진에 비해 기관부하 영역이 굉장히 좁다는 것이고 이는 저온산화반응이 너무 빨리 일어나서 노크를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저온산화반응을 억제하기 위해서 DME 연소에 미치는 천연가스의 영향을 실험한 결과, 천연가스가 DME의 저온산화반응을 억제시키기 때문에 기관부하영역이 확대된다는 것을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세탄가를 가진 첨가연료가 DME 저온산화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저온산화반응의 최고 열발생율은 세탄가에 의존하지 않지만 착화온도는 세탄가에 의존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A Study on Combustion Characteristic of Building Materials (건축용 내장재 연소 특성에 관한 연구)

  • Song, Jae-Yong;Kim, Jin-Pyo;Cho, Young-Jin;Park, Nam-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4a
    • /
    • pp.16-19
    • /
    • 2011
  • 본 논문은 건축물 내장재로 사용되는 폴리우레탄폼 및 스티로폼의 연소특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연소특성 평가를 위하여 폴리우레탄폼 및 스티로폼을 대상으로 연소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건축용 내장재 사용의 적합성 평가를 위하여 콘칼로리미터법을 이용한 열방출률 및 연기밀도를 측정 분석하였다. 연소특성 실험 결과, 일반 재질의 폴리우레탄폼은 착화와 동시에 급속히 연소되는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난연 처리된 폴리우레탄폼은 착화와 동시에 자체적으로 소화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스티로폼은 착화 이후 서서히 연소 확대되며, 이후에는 가장 격렬히 연소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방출률 및 연기밀도는 한국산업규격 KS F ISO 5660-1 및 국제해사기구의 FTP Code를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로 볼 때, 폴리우레탄폼 및 스티로폼은 건축용 내장재로 사용하기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