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착의

검색결과 1,019건 처리시간 0.026초

Glucose와 Inorganic Phosphate가 Rat 8-세포기 난자의 체외배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lucose and Inorganic Phosphate on the Development of Rat 8-Cell Embryos In Vitro)

  • 이홍미;진동일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51-258
    • /
    • 1996
  • 본 연구는 착성전 Rat 8-세포기 난자의 체외배양시 glucose95.56 mM와 0mM)와 phosphate(1.19mM와 0 mM)의 억제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48시간 배양후 발육율은 glucose+phosphate군에서는 37%(31/84), glucose군은 70%(64/91), phosphate군은 69% (59/85) 그리고 glucose와 phosphate가 없는 무처리군에서는 77%(67/85)를 나타냈다. Glucose+phosphate군의 발육율은 다른 처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고, 그 외 처리군 사이에는 유의성이 없었다. 발육난자의 핵염색에 의한 세포수의 측정에서는 glucose군에서 가장 많은 세포수를 나타냈고 (29.3$\pm$0.97, P<.001), 그외 처리에서는 유의성이 없었다 (glucose+phosphate, 17.5$\pm$1.04; phosphate, 18.6$\pm$1.01; no glucosephosphate, 19.8$\pm$1.01). 본 실험의 결과로 glucose와 phosphate는 Rat 8-세포기 난자의 발육에 억제효과를 나타냈고, glucose는 난자의 세포분열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겨울철 토마토 2단말식 펄라이트경에서 야간 근권 온도가 토마토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oot Zone Temperature during the Night on the Growth and yield of Perlite Cultured Tomato in Winter)

  • 이한철;강경희;권기범;최영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0-35
    • /
    • 2001
  • 본 연구는 겨울철 토마토 펄라이트경에서 야간 근권온도를 1$0^{\circ}C$, 15$^{\circ}C$, 2$0^{\circ}C$, $25^{\circ}C$ 및 대구조로 설정하여 생육과 근활력 및 양분의 흡수 특성을 조사코자 수행하였다. 터널 피복내 온도는 근권온도가 높을수록 다소 증가하였으나 대구조에 비해 3$^{\circ}C$ 이상 증가되지 않았다. 초장, 엽장, 엽폭 등의 생육은 2$0^{\circ}C$ 처리구에서 가장 좋았다. 경엽의 생체중 및 건물중은 2$0^{\circ}C$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으나, 뿌리의 생체중 및 건물중은 대조구에서 가장 낮았다. 근활력은 제 1화방 개화기에는 근권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과실 수확기에는 2$0^{\circ}C$ 처리구가 가장 높았고 15$^{\circ}C$, $25^{\circ}C$, 1$0^{\circ}C$ 및 대조구 순으로 높았다. 칼륨 함량은 경엽과 뿌리 모두 근권온도가 높을수록 많았으나, 질소와 마그네슘 함량은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인산과 칼슘 함량은 경엽에서는 근권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나, 뿌리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주당 착과수와 평균과중은 온도가 높을수록 많고 무거운 경향이었으나 $25^{\circ}C$ 처리구에서는 15$^{\circ}C$ 또는 2$0^{\circ}C$ 처리구에서보다 적고 가벼웠다. 이러한 결과로 10a당 수량은 2$0^{\circ}C$ 처리구가 6.960 kg으로 가장 많았으며 15$^{\circ}C$, $25^{\circ}C$, 1$0^{\circ}C$, 대조구 순으로 많았다. 2$0^{\circ}C$ 처리구보다 낮은 온도에서의 수량감소는 기형과의 발생의 많은 것에, 그리고 $25^{\circ}C$ 처리구에서의 수량감소는 착과수가 적은 것에 기인되었다.

  • PDF

결절종에 의한 견갑상신경 포착 증후군 (Suprascapular Nerve Entrapment Syndrome Caused by Ganglion)

  • 김성연;안성찬;전재명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65-70
    • /
    • 2002
  • 목적 : 결절종에의해발생한견갑상 신경포착증후군환자에서수술적치료후결과를분석하고치료방법의개선을찾고자하였다. 대상및방법 : 1996년3월부터2001년5월까지진찰소견, 근전도, 자기공명영상소견에서결절종에의한견갑상신경포착증후군으로진단받은 13명의환자를대상으로하였다. 수술은결절종의개방적절제및감압술과관절경하검사를시행하였으며수술후의평가는근력의주관적인회복정도와American shoulder elbow surgeon (ASES)의평가법을이용하여분석하였다. 결과 : 수술후9예(69$\%$)에서간헐적인동통, 근력의불완전회복, 근위축의잔류로인한증상의지속소견이관찰되었으며4예(31$\%$)에서증상의완전회복소견을보였다. 수술후ASES 점수는평균86.4(70$\~$99.8)점이었으며수술전에비해수술후84$\%$의환자에서동통의호전과53$\%$의환자에서근력의호전을보였으나근위축은남아있었다. 결론 : 결절종에의한견갑상신경포착증후군은결절종의절제만으로는증상의완전한해소를기대하기어려우며, 수술시결절종에의한주병변이외에포착이다발성으로발생할가능성이있으므로결절종의제거및관절내병변의치료와함께견갑상절흔과견갑하절흔부위에서의신경에대한감압술을함께고려하는것이좋을것으로생각한다.

  • PDF

영구거푸집으로 사용한 유리섬유 FRP 판과 현장타설 고강도콘크리트로 이루어진 합성보의 휨/전단파괴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for Flexure/Shear Failure Behavior of Composite Beam with GFRP Plank Used As a Permanent Formwork and Cast-in-place High Strength Concrete)

  • 유승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4245-4252
    • /
    • 2015
  • 유리섬유강화폴리머(GFRP) 판을 현장타설 고강도콘크리트 구조물의 영구거푸집으로 사용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현재 생산되는 GFRP 판의 경우 표면이 매끈하여 콘크리트와 일체 거동에 다소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FRP 판 하부의 잔골재 부착여부, GFRP판 웨브의 천공유무 및 간격, 상부 플랜지 폭을 실험 변수로 하여 현장타설 고강도콘크리트와 GFRP를 영구거푸집으로 활용한 전단경간비가 짧은 합성보의 휨/전단파괴거동을 분석하였다. GFRP 판 웨브를 천공하지 않은 경우 잔골재 부착효과 여부를 위한 실험 결과, 잔골재를 부착한 경우 미부착의 경우 보다 약 47% 정도의 높은 극한하중 값을 보여주며, 파괴형태도 휨/전단파괴모드를 보여 주었다. 웨브의 천공유무 및 간격효과는 잔골재를 부착하지 않은 경우 천공간격이 조밀한 경우가 약 24% 정도 높은 극한하중 값을 보여주었으며, 잔골재를 부착한 경우 천공 간격이 조밀하지 않은 경우가 약 25% 정도 낮은 극한하중 값을 보여주었다. 상부플랜지 영향을 살펴보면, 폭 40mm 경우가 20mm에 비해 약 17% 정도 큰 극한하중 값을 보여주었다.

친환경 과원의 단감 '부유'(Diospyros kaki 'Fuyu') 과실의 동상해에 미치는 나무의 식재위치와 착과방향의 영향 (Effect of Planting Site and Direction of Fruiting on Fruit Frost Damage in Persimmon (Diospyros kaki 'Fuyu') Fruits from Environment-friendly Orchard)

  • 강성구;안광환;최성태;도경란;조광식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789-799
    • /
    • 2014
  • 본 연구는 친환경단감과원의 부유(Diospyros kaki 'Fuyu') 과실을 대상으로 창원과 창녕지역에서 발생한 저온내습(2012년 11월 2일)으로 인한 가을 동상해발생과 식재위치(표고) 및 나무 내에서의 착과 방향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창녕지역 과원의 과중과 과실횡경은 착과방향에 의해 강하게 영향을 받았으며(p<0.01), 과실종경과 동상해발생은 식재위치(p<0.01)와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실경도와 과실종경은 각각 착과방향과 식재위치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밝혀졌다(p<0.05). 특히 동상해는 과원 하단에 식재된 나무의 과실(15.2%)과 잎(약 90%)에서 심하게 나타나 동상해의 주요 요인이 과원의 지형적 특징인 것으로 나타났다. 과실 동상해를 입은 과실은 과피에 수침상 반점이나 흔적이 발생했다. 한편 창원지역의 과원에서는 과실횡경이 식재위치의 영향을 받은 것(p<0.05)을 제외하고 식재위치와 착과방향이 과실의 생육 및 동상해발생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뉴타운 사업 지구내 가구특성에 관한 연구 -부산시 서·금사재정비촉진지구를 중심으로-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Households in the Seo·Geumsa Newtown Project)

  • 최재영;남광우;이석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52-163
    • /
    • 2009
  • 본 연구는 부산시 서 금사재정비촉진지구를 대상으로 재정비촉진계획 수립과정에서 가구별 사업에 대한 이해도, 찬반 및 재정착 의사와 관련된 요인 등을 중심으로 가구특성 파악 및 유형화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통단위의 공간분석단위를 설정함으로써 대규모의 개발대상지를 세분화하여 각 특성요인 별 비교분석과 세분화된 지역별 특성을 활용한 소규역 유형화를 통해 대상지의 세부사업구역 설정 및 촉진계획수립과정에 보다 많은 주민의견과 이해를 공간위치와 함께 체계화된 정보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사업 지구내 가구특성 및 유형별 분석결과는 첫째, 지구차원의 특성, 둘째, 찬반요인과의 상관성 분석, 셋째, 지구내 세부지역간의 차별성 분석의 세 단계로 분석되었다. 더불어 전체적인 지구내 가구특성과는 다른 특성을 보이는 지역들을 찾아내고 그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이변량 단계구분도 작성 및 군집분석 등을 실시하여 통 단위로 분석된 가구 특성을 바탕으로 특징적인 세부 지역들을 도출하여 그 공간위치와 함께 지구내 분포특성을 분석하였다.

  • PDF

남부지방에 재배되고 있는 밤나무 품종의 과실 특성 (Nut Characteristics of Chestnut Varieties Cultivated in Southern Korea)

  • 박준호;윤준혁;황명수;조민기;최명석;김종갑;문현식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2호
    • /
    • pp.61-67
    • /
    • 2011
  • 밤나무 품종개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남부지방에 재배되고 있는 밤나무 주요 품종의 과실 특성을 2008년부터 2010년까지 3년간 조사하였다. 품종별 착과수는 37.7 (광주조율)~183개 (주옥)로 품종간에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밤송이 내에 들어 있는 평균 함과수는 1.2~2.0개로 품종에 따라 많은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대 (Idea)는 1.2개였고, 산대와 광은은 2.0개였다. 입중도 품종간 차이가 많았는데, 광덕이 31.3 g으로 가장 무거웠으며, 광주조율은 14.1 g으로 가장 소립품종이었다. 건전과의 비율이 가장 높은 품종은 창방감율 (89.9%)이었으며, 건전과 비율이 80% 이상인 품종은 국견, 유마, 축파, 광은, 평기 5품종이었다. 부패과에 있어서는 신이평과 출운이 각각 10.8, 16.8%의 비율을 나타내어 수확 후 저장에 유의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열과율에 있어서는 0 (창방감율)~20.6% (세일)로 품종별로 많은 차이가 나타났으며, 산대, 이평, 주옥, 광덕, 세일은 15% 이상이었으나 국견, 유마, 축파, 만성, 창방감율, 축파변이, 출운은 3% 이하로 나타났다.

건설현장 달비계 추락재해 예방을 위한 사례분석 연구 (Analysing Disaster Cases on Construction Sites to Prevent Falling Disaster of Hanging Scaffolding)

  • 임형철;이동헌;정성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66-73
    • /
    • 2019
  • 정부와 안전보건공단의 재해 절감을 위한 다양한 노력덕분에 산업과 건설업 전반에 걸쳐 재해 사고는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건설업에서의 추락재해는 감소하지 않고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 특히, 달비계에 의한 추락재해는 매년 발생빈도는 낮지만 발생 시 작업자의 사망과 직결한다는 측면에서 재해강도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국내 건설업에서의 달비계 작업환경은 매우 열악하다. 특히 소규모 건설현장에서의 달비계 작업자들은 안전에 대한 감독과 관리를 받을 수 있는 주체가 없다. 달비계 작업자들은 자신들이 직접 제작한 성능이 확인되지 않은 달비계를 가지고 불안전한 작업환경에 내몰리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15년간 달비계에서 기인한 242건의 사고사례들을 분석하여 추락재해 발생 주요 원인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주요내용은 불안전한 행동에 의한 재해발생률이 높아서 작업대 안착 시, 안전난간을 넘어가는 과정, 몸의 불균형 등에서 사고가 많으며 설비개선 및 작업방법개선으로 해결이 요구된다. 또한, KOSHA Guide에서 제시하는 작업순서 상의 문제점으로 발생되는 재해는 없었으며, 다만 작업 순서를 따르지 않아 안전대를 안전대 걸이용 로프에 미설치 및 미부착에 의한 사망으로 이르는 재해가 다수 발생된 것으로 파악되어 작업방법의 개선에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수직구명줄 및 안전대의 설치 및 착용이 가장 중요한 사항으로 도출되었다.

망간첨착 활성탄의 다기능성을 이용한 3가 비소 및 페놀 제거 (Removal of As(III) and Phenol by Multi-functional Property of Activated Carbon Impregnated With Manganese)

  • 유목련;홍순철;양재규;장윤영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3권3호
    • /
    • pp.52-58
    • /
    • 2008
  • 여러 조건으로 제조한 망간첨착활성탄(Mn-AC)을 유기물과 무기물이 함께 오염되어 있는 합성 폐수처리에 적용하였다. 유기물과 무기물의 대표물질로 각각 페놀과 3가 비소를 선정하였다. Mn-AC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안정성을 분석한 후, 회분식 반응조에서 활성탄(AC) 및 Mn-AC에 의한 3가 비소 및 페놀 흡착 특성을 조사하였다. Mn-AC의 안정성 평가를 위해 pH 2에서 4의 산성용액에서 용출되는 망간의 농도로부터 평가하였다. pH 3 이하에서는 Mn-AC로부터 많은 양의 망간이 용출되었지만, pH 4에서는 청정지역 허용기준인 3 ppm 이하의 농도로 용출되었다. Mn-AC에 대한 X-선 회절기 분석결과 첨착된 망간은 $Mn_2O_3$로 밝혀졌다. Mn-AC를 이용한 3가 비소와 페놀의 동시처리 실험결과 3가 비소는 낮은 pH에서 AC보다 높은 산화율을 보였으나, 중성 이상의 pH에서는 AC가 더욱 높은 산화율을 보였다. 활성탄에 망간을 첨착시킴으로서, 비표면적이 13% 감소하였고 이로서 Mn-AC에 의한 페놀제거율은 AC에 비해 8% 정도 줄어들었다. 3가 비소 산화 및 페놀 흡착실험을 통하여 Mn-AC는 복합오염물을 갖는 폐수의 동시처리에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부식산(腐植酸)-중금속(重金屬) 착화합물형성(錯化合物形成) 반응(反應)에 대한 Mechanism (Mechanisms of Humic Acid-Heavy Metal Complexation)

  • 이정재;장상문;최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4-122
    • /
    • 1995
  • 토양유기물(土壤有機物)에 의한 중금속(重金屬)의 흡착(吸着)현상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이탄토(泥炭土)에서 humic acid를 분리정제(分離精製)하여, humid acid-metal complex 생성반응(生成反應)에 대한 mechanism을 조사(調査)하였다. 1. Humic acid-metal complex의 흡광도(吸光度)는 장파장영역(長波長領域)에서 단파장영역(短波長領域)으로 갈수록 Zn-HA > Cd-HA > Cu-HA의 순(順)으로 증가(增加)하였다. 2. Humic acid의 carboxyl group과 phenolic OH group들이 중금속(重金屬) ion들과 반응(反應)하여 complex를 생성(生成)하였으며 그 생성량(生成量)은 Cu > Zn ≧ Cd의 순(順)이었다. 3. Humic acid-medal complex의 안정도(安定度) 상수(常數)는 pH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增加하였으며 1차(次) 안정도(安定度) 상수(常數)는 Zn>Cd>Cu 순(順)이었고, 2차(次) 안정도(安定度) 상수(常數)는 Cu>Zn>Cd의 순(順)이었으며, 總安定도 常數는 Cu>Zn>Cd의 순(順)이었다. 4. Humlc acid와 중금속(重金屬)ion들 상호(相互) 간(間)의 평균결합수(平均結合數)는 pH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Cu>Zn>Cd의 順으고 增加하였다. 5. Humic acid에 의한 중금속(重金屬) ion들의 complex생성과정(生成課程)에서 barboxyl group만이 관여(關與)하는 것과 car-boxyl gruup 및 phenolic OH group이 동시(同時)에 관여(關與)하는 두가지 흡착(吸着)mechanlsm을 제안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