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착용자 만족도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4초

여대생의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자에 대한 연구 (A Study of Soft Contact Lens Wearer on Women College Students)

  • 김덕훈;유재태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87-192
    • /
    • 2000
  •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착용하고 있는 한국인 여대생을 대상으로 이들의 소프트 콘택트 렌즈 학용에 관련된 각종 문제점을 비교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부분 소프트렌즈의 구입은 안경원이다. 2. 대부분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의 동기는 안경 사용의 불편함이다. 3. 대게 렌즈 사용의 만족도는 중등도이다. 4. 렌즈 교체의 주요 원인에 대해서 10대는 렌즈의 손상이며 20대는 사용기간의 만기이다. 5. 하루 중 렌즈 사용의 기간에 대해서 10대는 10시간 이상이며, 20대는 7시간에서 10시간 사이이다. 6. 콘택트 렌즈 관리와 처방의 어려움에 대해서는 10대는 세척과 저장을, 20대는 세척과 소독이다. 7. 렌즈 취급의 주요 어려움에 대해서 10대는 렌즈 제거와 렌즈 케이스 소독을, 20대는 관리용액의 취급과 렌즈의 삽입이다. 8. 렌즈의 삽입중 가장 어려운 사항에 대해서 10대는 눈에 렌즈의 걸림과 두려운 감정이, 20대는 두려운 감정이다. 9. 렌즈 제거시 어려움에 대해서는 눈의 개안 유지가 대부분이다. 10. 렌즈 착용중 가장 불편한 사항은 충혈, 이물감, 동통 등이다. 11. 렌즈 착용의 장점에서 10대는 주로 안경 불편함이며, 20대는 미용이다.

  • PDF

니트웨어 품질 개선을 위한 니트웨어 착용 경험자의 만족.불만족 연구 -질적 연구를 통하여- (A Study on the Wearer s Perception for the Improvement of Knit Wear Quality -A Qualitative Approach-)

  • 류경옥
    • 복식문화연구
    • /
    • 제10권3호
    • /
    • pp.236-247
    • /
    • 2002
  • In spite of the bad conditions of fashion companies: the number of licit wear consumers in Korea are increasing because knit wear gives a body with an comfort action. Domestic knit wear industry, however, doesn't have any standard fur satisfying consumers'needs and for quality estimation on that. So we examined the knit wearers'conception of the quality to broaden the knowledge of knit wear and produce better produ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factors of wearer's perception. This study carried out through a qualitative approach.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17 single women who were 20's and living in Seoul and Kyoungki province. The item of this questionary was as follow: 1) what they know about knit wear and how much they are satisfied with that 2) what the wearers think the problems of knit wear are 3) how knitted wear industry can satisfy consumers's needs and take into account consumer feedback in product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wearers had no knowledge about materials, sewing methods, patterns, knitting methods, and gage. 2 The wearers didn't recogni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oducts by famous brand and obscure conventional market. For that reason, the high price knit wear wont satisfy wearer. 3. The wearers didn't prefer the revealing their body shapes. 4. Laundering was the big problem which was they chosen the knit wear. They take it for granted that the knit wear needs dry-cleaning or hand-washing. Knit wear industry tries to make it easy laundering by development knit material.

  • PDF

수직동향프리즘의 자각적 시감각에 관한 연구 (Subjective Visuoperception to Vertical Yoked Prisms)

  • 김재도;김대현;이익한;김봉환;김영훈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95-99
    • /
    • 2008
  • 목적: 굴절교정 안경 착용 시 안경 착용자가 교정시력에는 만족할지라도 어지럼증상과 같은 위화감으로 안경착용에 불편함을 호소한다. 이는 안경 교정 굴절력에 의한 프리즘영향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본 연구는 평소 어지럼을 느끼지 않는 피검자를 대상으로 수직동향프리즘에 대한 자각증상을 조사하였다. 방법: 시각적으로 정상인 나이 20세에서 31세인 37명의 학생으로 실시하였다. 소프트콘택트렌즈로 굴절이상을 교정한 상태에서 수직동향프리즘, Base Down과 Base Up의 단프리즘렌즈로 조제가공 된 가공안경을 각각 착용한 상태로 걸어 보게 하여 자각적인 위화감에 대한 느낌의 정도를 나타내게 하였다. 결과: 프리즘에 대한 자각적 위화감에 대한 반응 정도는 Base Up 동향프리즘이 Base Down 동향프리즘 보다 유의적 수준에서 크게 나타났다. 또한 수직 Base Up에 의해 위화감을 느끼는 대상자의 빈도는 외사위 보다 내사위가 더 높게 나타나서 외사위 대상자 보다 내사위의 대상자가 보다 Base Up에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결론: 안경에 의한 어지럼과 같은 위화감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프리즘의 효과를 최소화해야 하며 프리즘이 부득이 부가될 경우는 Base Up 보다는 Base Down의 동향프리즘을 유도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 PDF

개발한 일회용 지혈대의 사용자 및 환자 만족도 조사 (The Satisfaction Survey of Users and Patients on the Developed Disposable Tourniquet)

  • 김상현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9권4호
    • /
    • pp.615-622
    • /
    • 2016
  • 전산화단층촬영(CT) 조영 검사 시 18~20G 바늘이 사용되고, 검사 후 환자는 일반적으로 알코올솜을 이용한 자가 압박 지혈(Conventional Method: CM)을 하며 충분하지 못한 압박으로 종종 출혈을 목격한다. 이에 출혈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회용 투명 지혈대(Transparent Tourniquet: TT)를 개발했으며, 기존 지혈 방법과 만족도를 비교하여 유용성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CT 경험이 있는 환자 50명, CT 근무 중인 간호사 25명으로 조사는 설문지 개발을 통한 개별 인터뷰 방식이었고, 5점 척도를 이용하여 기존 CM과 TT 방식의 전체적 만족도의 평균을 대응 T-test를 하였다. 또한 TT에 대한 환자 대상 설문은 편리, 안전. 위생, 착용감을 연령과 성별로, 간호사의 경우는 기능, 편리, 안전, 위생, 지혈정도를 간호 경력에 따른 만족도 차이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환자 설문 결과는 전체적 만족도는 TT가 $4.34{\pm}0.51$로 CM이 $2.5{\pm}0.81$ 보다 높았으며 p<0.05로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으며, 편리, 안전. 위생, 착용감이 각각 $4.40{\pm}0.53$, $4.28{\pm}0.57$, $4.52{\pm}0.54$, $4.10{\pm}0.54$이며 연령과 성별에 따른 차이는 크게 없이 평균이 높게 나왔다. 간호사 설문 결과는 전체적 만족도는 TT가 $3.8{\pm}0.33$로 CM이 $3.5{\pm}0.96$ 보다 높았으나 p>0.05로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기능, 편리, 안전, 위생, 지혈정도는 각각 $3.52{\pm}0.77$, $3.84{\pm}0.68$, $3.64{\pm}0.48$, $3.40{\pm}0.50$, $3.92{\pm}0.49$이며 간호경력에 따른 큰 차이는 없었다. 새로 개발된 지혈대는 환자와 사용자 모두 기존 알코올 솜 보다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각 평가 항목 또한 높은 평균을 나타내 유용성이 증명되었으며, 환자 위생과 안전에 크게 도움될 것으로 사료된다.

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nior Simulation on Geriatric Unit Nurses' Attitude and Job Satisfaction toward the Elderly)

  • 최수원;박명화
    • 한국노년학
    • /
    • 제29권2호
    • /
    • pp.513-527
    • /
    • 2009
  • 본 연구는 노인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노인유사체험을 실시한 후 노인에 대한 태도와 노인간호 업무만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실시된 단일군 전후설계이다. 연구대상자는 대구광역시 소재 1개 종합병원 내 노인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참여를 허락한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06년 8월 23일부터 9월 6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연구는 노인체험복을 착용하고 45분정도 일상생활을 체험하는 것으로서, 노인유사체험 전, 유사체험 직후, 유사체험 1주일 후에 노인에 대한 태도, 노인간호 업무만족과 유사체험 직후에 노인체험 경험을 묻는 질문으로 이루어졌다. 자료분석방법은 SPSS/WIN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노인 경험관련 특성은 서술통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노인유사체험 전, 후, 일주일 후 노인에 대한 태도와 업무 만족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의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연구도구의 신뢰도를 보기 위해 Cronbach's α 계수로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볼 때, 간호사를 대상으로 노인유사체험을 실시한 결과 체험 전과 비교 시 체험 직후와 체험 1주일 후의 조사에서 노인에 대한 태도와 업무만족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여 노인유사체험이노인에 대한 태도와 노인간호 업무만족에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노인유사체험은 간호사들이 노인 대상자를 간호할 때 공감적인 이해와 태도를 바탕으로 업무만족도를 높여 능동적인 간호를 가능하게 해주는 중재방법으로 사료되며 노인간호를 배우는 간호대학생이나 노인병동에서 노인을 간호하는 건강관리자들에게도 유용한 방법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운동 중 피드백 방식 연구 - 근력 운동에 대한 멀티 모달 피드백 적용을 중심으로 - (Desigining a Feedback for Exercises Using a Wearable Device)

  • 유현진;맹욱재;이중식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23-30
    • /
    • 2016
  • 현재 피트니스 트래커(fitness tracker)시장은 유산소 운동에만 초점을 맞춰 근력 운동 분야는 상대적으로 소외되어 있다. 최근 근력 운동 피트니스 트래커가 소수 출시되고 있으나, 운동 상황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여 사람-기기 간 인터랙션에 불편함을 초래한다. 특히, 운동 중에는 신체의 움직임이 활발하므로, 손으로 기기를 휴대하거나 기기를 조작하는 상황은 사용자에게 부정적 경험을 유발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항시적인 착용이 가능하므로, 손과 발의 사용이 자유로워 운동 중 피드백 제공에 효과적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피드백을 감각하게 함으로써, 운동 수행자가 효과적인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는 다음 세 가지 연구 문제를 검증하였다. 1) 운동 상황에서 필요한 정보는 무엇인가? 2) 근력 운동 중, 어떤 감각 피드백이 선호되는가? 3) 근력 운동 중, 감각 피드백의 가치는 무엇인가? 그 결과, 첫째, 운동 수행자는 운동 단계 중, '운동 중'에 해당하는 정보가 가장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페이스 조절(횟수 카운팅, 동기 부여)'과 '자세 지도(문제점 진단, 자세 교정)'에 해당하는 정보를 가장 필요로 하였다. 둘째, 운동 중 선호되는 감각 피드백에 대해서는 청각 피드백, 촉각 피드백, 시각 피드백 순으로 만족도가 높았으며, 운동 강도가 높을수록 감각 피드백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았다. 셋째, 감각 피드백과 기기 피드백의 가치에 대해 비교한 결과, 기기 피드백과 사람이 제공하는 피드백에 대한 만족도, 유용성, 효용성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근력 운동 중,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감각 피드백의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으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감각 피드백이 사람이 제공하는 피드백을 대체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웨어러블 기반의 스마트 모자를 이용한 생활기상지수 모니터링 시스템 (Life Weather Index Monitoring System using Wearable based Smart Cap)

  • 전인자;정경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477-484
    • /
    • 2009
  • 스마트 의류가 고객 중심으로 다변화 되어가는 생활환경 속에서 날씨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서비스 전략의 중요한 성공요소가 되고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 의류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연구자와 개발자에 의해 제시되고 있다. 그 중 센서 기반의 스마트 의류는 시장에서 가장 수요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에서는 웨어러블 기반의 스마트 모자를 이용한 생활기상지수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스마트 모자를 착용하여, 기상상태를 수집하고 신호를 UMPC로 무선 전송되어 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센서에 따른 생활기상지수를 제공하기 위해서, 기상지수를 6가지 요소(열지수, 식중독지수, 불쾌지수, 자외선지수, 체감온도지수, 동파가능지수)에 따라 분석하였다. 생활기상지수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여 논리적 타당성과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적인 적용을 시도하고자 한다. 따라서 스마트 의류에서 서비스의 만족도와 질을 향상시켰다.

복지차 이용 시 장애인의 불편사항 조사와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and the Survey Study on the Complain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Use of Disabled Car)

  • 이근민;김동옥
    • 재활복지
    • /
    • 제17권4호
    • /
    • pp.339-370
    • /
    • 2013
  • 본 연구는 장애인 자가 운전 차량과 보호자 운전 차량의 불편사항에 대한 설문조사와 장애인 차량 실차 이용 시 행동조사를 관찰하여 복지차 개발 시 인간공학 설계 기준을 제시하고 불편요소에 대한 개선점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가운전 장애인과 보호자 모두 현재 사용하고 있는 자동차에 대한 불편 정도가 높은 반면,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가운전 장애인들도 장애인 보호자들이 가장 불편하다고 응답한 부분인 승 하차 시 보조기구 이동에 관해 공통적으로 불편하다고 하였다. 자가운전 장애인 및 보호자 모두 좌석 시트와 안전벨트 착용 시 발생하는 어려움을 호소하여 복지차량개발 시 장애인 보조기구 이동문제와 더불어 장애인 좌석의 보조공학적 설계, 안전벨트의 안전성 문제 등은 반드시 해결되어야 것으로 분석된다. 셋째, 자가운전 장애인보다 보호자들이 장애인 차량에 대한 불편 정도가 높고 만족도도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장애인 자가운전 차량에 대한 접근성만을 고려한 복지차량 개발의 관점을 바꾸어야 할 것으로 분석된다. 넷째, 자가운전 차량이나 보호자 모두 차량 승 하차 시 탑승을 위한 보조기구 활용보다는 차량운전이나 차량의 다른 여러 가지 안전장치나 편의시설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나 탑승이나 하차 시의 접근성보다는 안전과 편의성을 위한 설계가 우선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된다. 다섯째, 복지차를 개발 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은 사용자의 편의성으로 이를 위해 장애인을 참여시키는 방안이나 관련 전문가들을 참여시키는 방안들이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된다.

한복에서 표출되는 감성을 측정하기 위한 대표감성 추출 (Extraction of Representative Emotions to Measure Emotions Expressed by Traditional Korean Clothes (Hanbok))

  • 박은정;서종환;정상훈
    • 감성과학
    • /
    • 제21권2호
    • /
    • pp.61-72
    • /
    • 2018
  • 최근 들어 한복에 대한 문화수용자들의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한복들이 시장에 등장하고 있다. 문화수용자들의 요구사항을 충분히 반영한 한복이 일상복으로까지 확산되려면 한복의 기능성 측면뿐만 아니라 한복을 착용하면서 느끼는 감성적인 만족까지 가져다주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한복을 경험하면서 표출되는 문화수용자의 감성에 대한 기존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심리학, 언어학, 감성공학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기존의 연구결과와 참고문헌을 활용하여 수집한 182개의 감성어휘를 활용하여 델파이 기법과 적합성 평정을 위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한복에서 표출되는 감성어휘 28개를 추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추출된 28개의 감성어휘는 한복에서 느끼는 문화수용자의 감성을 표현하기 위한 감성어휘라고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요인분석을 통해 최종 선택된 28개의 감성어휘들 간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어휘들을 그룹핑하였다. 결론적으로 요인분석을 통해 추출된 6개의 요인에 적재된 감성어휘들은 각 요인에 적재된 감성어휘들의 공통적 특성에 따라 '유쾌감', '심미감', '조화감', '신선감', '호감', '안정감' 등 6개 감성 카테고리로 구분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추출된 6개의 감성 카테고리는 사용자들이 한복에서 느끼는 대표감성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한 28개의 감성어휘와 6개의 대표감성은 한복에서 표출되는 문화수용자의 감성을 측정하는 데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향후 연구과제로는 본 연구에서 추출한 대표감성을 이용하여 한복에서 느끼는 문화수용자의 감성을 측정하기 위한 구체적인 평가스케일을 도출해보고자 한다.

위험 시나리오 분석을 통한 스마트 HSE 시스템 및 웨어러블 컴포넌트 연동방안 (An Interactive Method between HSE System and Wearable Components through Analysis on Risk Scenarios)

  • 손동구;임동선;임기창;박정호;김종면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407-416
    • /
    • 2018
  • 현대사회의 빠른 발달로 인해 웨어러블 장비가 탄생했고 빠르게 성장 중에 있다. 웨어러블 장비는 신체에 착용하는 특성으로 인해 경량, 소형 및 저전력을 만족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웨어러블 장비의 개요를 기술하였고, 웨어러블 장비 분야의 시장현황을 조사하였다. 또한 기존 개발된 웨어러블 컴포넌트 기술에 대한 사례 및 웨어러블 통신기술을 조사하였다. 한편 산업현장에서의 중대산업재해에 대한 사회적 관심으로 인한 스마트 HSE 시스템의 구축이 요구되었으며, 결합 되었을 경우 효과적으로 안전관리가 이루어 질 것으로 예상되는 웨어러블 장비와 스마트 HSE 시스템을 접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조선해양 분야의 용접작업장 위험요소를 도출하고, 용접작업장에서의 위험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웨어러블 장비 접목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웨어러블 장비가 적용된 위험 시나리오를 통해 위험이 저감될 수 있음을 보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웨어러블 장비와 HSE 시스템 연동방안을 통해 보다 안전하고, 사고 발생 시에는 신속한 대응으로 작업자 안전이 확보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