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착용센서

Search Result 231, Processing Time 0.054 seconds

Development of Experiencing Dance Contents using Motion Inertial Sensors (움직임 관성 센서를 이용한 체험형 댄스 콘텐츠 개발)

  • Kim, Jong-Nam;Seon, Duk-Kyu;Kim, Dae-Ong;Kim, Chan-Su;Jung, Young-Ke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a
    • /
    • pp.754-75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관성 센서가 내장된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정의된 5가기의 동작과 비교하여 가상의 댄스 캐릭터와 함께 즐기는 체험형 댄스 콘텐츠 시스템을 제안한다. 체험자는 화면에 순서대로 출력되는 동작 리스트와 같은 움직임을 취하게 되며 동작의 정확도 및 타이밍에 따라 차등 점수를 부여토록 하였다. 이러한 댄스 콘텐츠 시스템을 위해서는 각 동작 대해 학습과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동작을 구분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수개의 소형 무선 컨트롤러를 손과 발 등 주요부위에 착용하고 논문에 제안된 방법을 활용하게 되면 사용자의 흥미와 몰입감을 더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velopment of the wearable ECG measurement system for health monitoring during daily life (일상생활 중 건강모니터링을 위한 착용형 심전도계측 시스템 개발)

  • Noh, Yun-Hong;Jeong, Do-Un
    • Journal of Sensor Science and Technology
    • /
    • v.19 no.1
    • /
    • pp.43-51
    • /
    • 2010
  • In this study, wearable ECG measurement system was implemented for health monitoring during daily life. A wearable belt-type ECG electrode worn around the chest by measuring the real-time ECG is produced in order to minimize the inconvenience in wearing. The measured ECG signal is transmitted via an ultra low power consumption wireless data communications unit to personal computer using Zigbee-compatible wireless sensor node. The ECG monitoring program is developed at end user which is personal computer. The measured ECG contains many noises mainly due to motion artifacts. For ECG signal processing, adaptive filtering process is proposed which can reduce motion artifacts efficiently and accurately than digital filter.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a reliable performance with high quality ECG signal can be achieved using this wearable ECG monitoring system.

Flexible/Stretchable Electronics Based on Transfer Printing Technology

  • Song, Y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104-104
    • /
    • 2014
  • 미래형 전자소자는 높은 성능과 더불어 소형화, 박막화를 거쳐 휘어질 수 있고(flexible), 착용이 가능하며(wearable), 접을 수 있거나(foldable) 늘어날 수 있는(stretchable) 방향으로 발전해 가고 있다. 실리콘, 갈륨비소 등 무기소재를 기반으로 하는 전자소자의 경우 그 성능은 우수하나 딱딱하고 휘어질 수 없는 반면, 유기소재를 기반으로 하는 경우 보다 유연한 구조를 가질 수 있지만 성능이나 신뢰성면에서 아직 개선할 점이 많이 남아있다. 최근에는 성능이 우수한 무기소재를 초박막 형태로 구성하여 이를 휘거나 늘어날 수 있는 기판에 부착하는 형태의 소자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박막트랜지스터, LED, CMOS 회로, 태양 전지 및 각종 센서 등이 휘거나 심하게 변형될 수 있는 형태로 진화하였으며, 기존에 구현하기 어려웠던 피부에 부착이 가능한 전자소자, 반구형 구조를 갖는 이미지 센서 등의 구현이 가능하게 되었다. 무기소재 박막을 플렉서블 기판에 부착시키는 데에는 전사 프린팅(transfer printing) 방법이 핵심기술로서 주로 이용된다. 본 튜토리얼은 플렉서블/스트레쳐블 전자소자의 구현을 위한 전사 프린팅 방법을 소개하고, 구체적인 공정 방법과 이를 이용한 독특한 형태 전자소자의 개발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 PDF

Implementation of User Activity State Estimation Application using Smartphone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용자 활동상태 추정 어플리케이션 구현)

  • Lee, Su-Hyun;Kim, Byeong-Hoon;Jeong, Do-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05a
    • /
    • pp.995-99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활동상태를 추정할 수 있는 안드로이드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였다. 이는 추가적인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항시 휴대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함으로써 착용형의 시스템과 비교하여 사용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하여 활동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스마트폰 내부에 내장된 3축가속도센서 각 축의 변화량을 추출하였으며, 각 축에 대한 변화량과 활동량이 비례하여 나타나는 것을 이용하여, 변화량을 크기로 변환하는 SVM(Single Vector Magnitude)을 계산하였다. 또한 SVM의 절대값을 시간에 적분한 ISVM(Integral Single Vector Magnitude)을 통해 활동량을 정량화 하였으며, 천천히 걷기와 빠르게 걷기, 뛰기, 서있기로 이루어진 실험을 통해 활통상태 분류를 하였다. 또한 그 결과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함으로써 추가적인 설비 없이 활동상태를 추정하였다.

  • PDF

A Reliable u-Health System based on Context-awareness (상황인식 기반의 신뢰성 있는 u-Health 시스템)

  • Park, Gyeong-Jin;Kim, Gyeong-Tae;Choi, Woo-Hyeok;Kim, Woo-Sung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2.04a
    • /
    • pp.840-842
    • /
    • 2012
  • 오늘날의 정보통신 환경은 유비쿼터스 IT기술의 시대로 진입하고 있다. 유비쿼터스는 사용자가 컴퓨터나 네트워크를 의식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 할 수 있는 정보와 환경을 의미한다. u-Health(Ubiquitous-Health)는 의료 및 국민 복지에서 떠오르는 분야이며 기존의 의료서비스와는 달리 사용자가 간편하고 언제 어디서나 사용될 수 있는 시스템이다. 기존 u-Health 시스템은 사용자가 착용한 센서로부터 신체 데이터를 제공받고, 제공 받은 데이터로 사용자가 현재 어떠한 상태인지를 파악한다. 그러나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신체데이터는 무선통신으로 인한 데이터의 손실 및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 정확한 환자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방법으로 온톨로지 기반의 상황인식을 적용하여 기존의 u-Health 시스템 보다 더욱 신뢰성 있는 u-Health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Smart Watch and Monitoring System for Dementia Patients (치매환자를 위한 스마트 시계 및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Shin, Dong-min;Shin, Dong-il;Shin, Dong-kyoo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3.05a
    • /
    • pp.731-734
    • /
    • 2013
  • 치매 환자들은 안전한 생활과 건강한 삶을 위해 행동 정보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이러한 서비스를 위해 휴대가 간편하면서 항상 착용 가능한 모니터링 도구가 필요하며, 기억과 인지장애로 인한 배회 활동과 넘어짐과 같은 응급상황에 빠르게 대처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기술의 적용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재 개발 중인 치매환자를 위한 시계형 장치(스마트 시계)와 서버시스템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해서 서술하면서, 3 축 가속도 센서 기반의 개선된 걸음 수 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개선된 걸음 수 검출 알고리즘은 일반적인 걸음 수를 96%의 정확도로 검출함을 확인했다.

A Study of Design Process for Sensor-based Smart clothing based on requirement engineering (요구공학을 적용한 센서기반 스마트 의류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

  • Cho, Hakyung;Lee, Joo Hyeon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6 no.3
    • /
    • pp.397-408
    • /
    • 2013
  • According to increase of concerning in health and entry of aging society, sensor-based smart clothing has developed various type and applications. Sensor-based smart clothing should be designed with considering of the interaction between a human body-device-clothing, such as accuracy of signal, wearability, suitability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sensor and so on. In this respect, these characteristics distinguish sensor-based smart clothing process from clothing process and Sensor-based smart clothing process is expected to be needing requirements Specification for development purpose and interoperability assessment based on requirements engineering. In this study, to assess efficiency of process based on requirement engineering, the sensor-based smart clothing process was deducted in two types by analysis of empirical performance. Presented two process were empirically evaluated throug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valuation. As a result, design process II based on requiments engineering were confirmed more effective process than processI.

  • PDF

Multi-Modal Wearable Sensor Integration for Daily Activity Pattern Analysis with Gated Multi-Modal Neural Networks (Gated Multi-Modal Neural Networks를 이용한 다중 웨어러블 센서 결합 방법 및 일상 행동 패턴 분석)

  • On, Kyoung-Woon;Kim, Eun-Sol;Zhang, Byoung-Tak
    • KIISE Transactions on Computing Practices
    • /
    • v.23 no.2
    • /
    • pp.104-109
    • /
    • 2017
  • We propose a new machine learning algorithm which analyzes daily activity patterns of users from multi-modal wearable sensor data. The proposed model learns and extracts activity patterns using input from wearable devices in real-time. Inspired by cue integration of human's property, we constructed gated multi-modal neural networks which integrate wearable sensor input data selectively by using gate modules. For the experiments, sensory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multiple wearable devices in restaurant situations. As an experimental result, we first show that the proposed model performs well in terms of prediction accuracy. Then, the possibility to construct a knowledge schema automatically by analyzing the activation patterns in the middle layer of our proposed model is explained.

Implementation of a Helmet Azimuth Tracking System in the Vehicle (이동체 내의 헬멧 방위각 추적 시스템 구현)

  • Lee, Ji-Hoon;Chung, Ha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4 no.4
    • /
    • pp.529-535
    • /
    • 2020
  • It is important to secure the driver's external field view in armored vehicles surrounded by iron armor for preparation for the enemy's firepower. For this purpose, a 360 degree rotatable surveillance camera is mounted on the vehicle. In this case, the key idea is to recognize the head of the driver wearing a helmet so that the external camera rotated in exactly the same direction.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method that uses a MEMS-based AHRS sensor and a illuminance sensor to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s of the existing optical method and implements it with low cost. The key idea is to set the direction of the camera by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Euler angles detected by two sensors mounted on the camera and the helmet, and to adjust the direction with illuminance sensor from time to time to remove the drift error of sensors. The implemented prototype will show the camera's direction matches exactly in driver's one.

Wrist Wearable Device for the Measurement and Analysis of Physiological Signals (생체신호 측정 및 분석을 위한 손목 착용형 단말기)

  • Im, Jae Joong;Li, Ming Kui;Hwang, Chan Song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2 no.6
    • /
    • pp.65-73
    • /
    • 2012
  • Wrist wearable device for the measurement of pulse rate, ECG, and activity during normal daily life, which could be used for the continuous monitoring and remote transmission of acquired data, was developed. Pressure sensor, device attached electrodes, and 3-degree accelerometer were used. Analysis algorithm and firmware program were established for providing diagnostic information for the users. Results of this study, possible for the management of health report and transmission of the results through bluetooth by wearing simple personal wrist device, could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portable device in the u-healthcare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