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착색렌즈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31초

착색렌즈의 농도와 색상에 따른 조절기능 변화 (The Change of Accommodative Functions by Difference Density and Color)

  • 장정운
    • 대한시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53-459
    • /
    • 2018
  •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착색렌즈 농도와 색상에 따라 눈의 조절기능에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연구대상자는 폭주값이 정상, 안위이상과 색각이상, 안질환이 없으며, 안과관련 수술 경험이 없는 20대 남녀 대학생 31명을 대상으로 무착색렌즈와 50%, 80%로 농도로 착색된 gray, blue, brown렌즈를 착용하고 조절기능을 측정하였다. 조절기능검사는 조절력, 조절효율, 양성 음성 상대조절검사 및 조절래그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본 연구 대상자들은 착색렌즈를 착용 하였을 때 조절력과 조절래그가증가하였으며, 음성상대조절력은 무착색렌즈 착용 시 보다 착색렌즈 착용하였을 때 양안, 단안, 좌안에서 증가하였다. 양성상대조절력은 blue 50%착용 시 크게 나타났다. 또한, 착색렌즈를 착용 하였을 때 조절용이성은 증가하였으나, 착색렌즈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조절용이성은 감소하였다. 결론 : 착색렌즈의 농도에 따라 조절기능의 변화가 나타나므로 착색렌즈 농도 및 색상 선택 시 작업거리, 착색렌즈 착용 환경 등을 고려하여 선택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양한 색상의 착색렌즈와 치과용 팁의 청광차단율 비교의 융합적 연구 (Convergence study of comparison of blue light blocking rate between colored lenses of various colors and dental tips)

  • 이숙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61-67
    • /
    • 2021
  • 일상생활과 치과 광중합 레진 충전 시에도 편리하게 청광에 의한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다양한 색들 중 청광차단에 효과가 있을 안경렌즈의 색깔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안경렌즈 착색기의 개별 용기에 오렌지, 브라운, 회색, 노랑, 빨강, 로사의 각 색깔 염료를 녹여 무착색안경렌즈 6개를 90도 온도에서 1시간 담궈 착색하였다. 착색된 안경렌즈와 광중합기용 팁의 청광투과율을 비교한 결과, 오렌지색 착색렌즈의 청광투과율이 0.82%로 청광 차단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브라운과 회색 착색렌즈는 청광차단율이 우수하였으나 착색 농도가 짙어 렌즈를 통한 사물의 인지가 어려웠고, 노란색 착색렌즈는 농도가 팁과 비슷하게 착색될 경우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로자색 착색렌즈는 청광 투과율이 15.10%로 다른 착색렌즈들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실험 연구 결과는 다양한 색상의 안경착색렌즈별 청광투과율을 인지하고 개개인에 맞는 청광차단렌즈의 색 선택 및 청광 유해자극 차단을 위해 노력하는 행동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확산법칙을 이용한 착색렌즈에서의 농도분포와 확산깊이의 분석 (Analysis of Concentration Distribution and Diffusion Depth in Tinted Lenses Using the Law of Diffusion)

  • 최은정;이신의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03-408
    • /
    • 2011
  • 목적: 확산법칙을 이용하여 착색렌즈에서의 농도분포와 확산깊이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방법: Fick의 제2확산법칙을 바탕으로 유도된 이론적 맞춤곡선을 측정값에 맞춤한다. 결과: 맞춤곡선은 측정값과 매우 잘 일치하였으며, 그 결과로서 착색렌즈의 내부로 확산되어 들어간 단위면적당 착색용액의 질량과 착색시간 사이의 관계, 착색렌즈 내 착색염료에 대한 농도분포, 확산깊이 등을 평가할 수 있었다. 결론: 착색렌즈의 착색기전은 확산법칙으로 잘 설명될 수 있다.

착색안경렌즈의 사용에 따른 노년층의 시력 및 시기능 변화와 자각적 만족도 (Changes of Visual Acuity and Visual Function in the Elderly Generation and their Subjective Satisfaction by the Use of Tinted Ophthalmic Lenses)

  • 유덕현;박미정;김소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0
    • /
    • 2016
  • 목적: 본 연구는 60대 이상의 노년층을 대상으로 착색안경렌즈의 처방이 시력교정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가장 효과적인 착색렌즈의 색상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60대 이상(평균 $71.0{\pm}6.3$세)의 50명(남17, 여33)을 대상으로 원거리 시력이 0.5 이상이 되도록 시험테를 이용하여 교정한 후 무착색, 브라운착색 및 그레이착색렌즈를 덧댐하였다. 각각 착색안경렌즈 덧댐 시의 시력은 원거리 최소가독시력 및 최소분리시력을 측정한 후 LogMAR 시력으로 환산하여 비교하였으며, 시기능은 근거리 입체시와 대비감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대상자들의 착색안경렌즈 선호도와 시지각 및 움직임에 대한 자각증상을 설문조사하였다. 결과: 원거리 최소가독시력과 최소분리시력은 무착색렌즈의 사용 시 가장 좋았으며, 브라운착색 및 그레이착색렌즈 순으로 나타났다. 근거리 입체시, 대비감도 및 시지각은 브라운착색렌즈의 사용 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각적 불편감은 그레이착색렌즈 착용 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대상자가 선호하는 안경렌즈는 브라운착색렌즈로 조사되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착색안경렌즈의 사용으로 노년층의 시력과 시기능이 개선될 수 있으나, 시력 및 시기능의 변화가 자각적 만족도와는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 1,000 lux정도의 조도에서는 원거리 시생활이 보편화된 노년층에게는 무착색 및 브라운착색렌즈의 사용을, 근거리 작업이 많은 경우에는 브라운 및 그레이착색렌즈의 사용을 제안할 수 있겠다.

안경 렌즈의 국소적 투과율 균일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Local Transmittance Homogeneity of the Ocular Lens)

  • 박상국;이형철;장윤석;성덕용;강성수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71-476
    • /
    • 2015
  • 목적: 다양한 안경렌즈의 투과율 분포를 국소 투과율 현미경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렌즈의 광학적 균일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방법: 안경렌즈 표면에 집광된 레이저의 국소적 투과율을 광검출기, 락인앰프 그리고 전동이송장치로 측정하였다. 5종 25장의 멀티코팅된 무착색렌즈와 9종 45장의 멀티코팅된 착색렌즈가 시료로서 분석되었다. 결과: 굴절률과 코팅 종류에 따른 무착색렌즈의 투과율과 렌즈별 투과율 편차는 거의 균일하게 측정되었다. 하지만 착색렌즈의 경우 렌즈별 투과율 편차가 무착색렌즈에 비해 약 3.7배 크게 측정되었다. 또한 렌즈의 국소적 투과율 불균일도도 무착색렌즈에 비해 착색렌즈가 평균 약 3.1배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무착색렌즈에 비해 착색렌즈가 렌즈별 투과율의 편차와 투과율 불균일도가 모두 큰 것을 국소 투과율 현미경을 이용하여 분석할 수 있었다. 국소 투과율 현미경을 통한 이러한 분석은 렌즈의 성능 평가와 광학적 균일성 향상에 적용될 수 있다.

지수감소곡선의 중첩을 이용한 착색렌즈 시감투과율의 실험적 맞춤곡선 (Empirical Fitting Curve for Luminous Transmittance in Tinted Lenses Using Superposition of Exponential Decay Curves)

  • 최은정;이신의;이은진;윤문주;정지현;김창진;양계탁;정주현;김현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83-291
    • /
    • 2011
  • 목적: 지수감소곡선을 이용하여 착색렌즈에서의 착색시간과 시감투과율 사이의 관계를 대표할 수 있는 실험적 맞춤곡선(empirical fitting curve)을 도출한다. 방법: CR-39 렌즈와 6가지 색상의 염료를 이용하여 총 90개의 착색렌즈를 제조하였고, 실험적 맞춤곡선을 구하기 위한 시험곡선(trial curve)으로서 단일(single), 2중(double) 및 3중(triple) 지수감소곡선(exponential decay curve)을 이용한다. 결과: 최적의 실험적 맞춤곡선은 3중 지수감속곡선인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 착색시간에 따른 시감투과율의 변화를 대표하는 적절한 실험적 맞춤곡선으로서 3중 지수감소곡선을 제안한다.

CR-39 렌즈 착색시간에 따른 굴절률(n) 변화 (The Refractive Index Change for Tinted Time of CR-39 Lens)

  • 김용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51-155
    • /
    • 2000
  • 칼라 렌즈 제작시 착색 시간에 따른 분광반사율을 측정하여 렌즈표면의 굴절률을 계산하였다. 착색 시간이 길수록 반사율과 굴절률은 커진다. 렌즈 표면에 착색물질이 포화상태가 될 때까지 굴절률은 시간에 따라 증가하였다. 시간에 따른 blue color 렌즈의 굴절률 변화 곡선은 Boltzmann 성장곡선을 따르며, 이때 $n_{min}$은 1.482. $n_{max}$는 1.497. $t_c=11.53$ 그리고 $d_0$ 등의 2.287 등의 parameter 값을 얻었다.

  • PDF

광중합기용 팁과 시판용 청광 차단 렌즈 및 노란색 착색 렌즈의 청광 투과율 비교 융합 연구 (Convergence study of blue light transmittance comparison between tips for light curing machine and commercially available blue light blocking lenses and yellow tinted lenses)

  • 이숙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125-131
    • /
    • 2021
  • 치과에서 사용횟수가 증가하고 있는 광중합형 레진 치료에는 강한 에너지를 가진 청색광이 필요하나, 그 빛은 산란 또한 커서 눈과 관련된 여러 부작용이 나타난다. 산란되는 빛에 노출되는 위험을 줄이고자 색깔 렌즈를 활용해보고자 하였다. 광중합기용 팁들과 청색광 빛의 차단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시판용 노란색 계열의 청광 차단 렌즈와 노란색 염료로 착색한 노란색 렌즈를 UV-Vis 스펙트로미터 기기에 놓고 각각 청색광의 투과와 차단을 실험하였다. 결과로 광중합기용 팁들의 청광차단율 평균은 99.49%, 시판용 렌즈들 중 색 농도가 가장 높은 C 렌즈는 99.54%의 높은 청광차단율을 보였다. 노란색으로 착색한 렌즈의 경우에는 착색 농도가 가장 짙은 노란색 착색 C 렌즈가 87.57%의 청광차단율을 보였다. 레진 치료 시 광중합기용 팁과 함께 노란계열의 시판용 렌즈나 착색 렌즈를 착용한다면 청색광에 의한 눈과 관련된 부작용들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착색렌즈의 색비율 정량화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coloration factors of tinted lenses)

  • 임용무;심문식;정주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37-46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착색 염료를 이용하여 염료의 혼색 비율과 착색 시간을 다양하게 하여 프라스틱렌즈를 착색하고 이 착색렌즈의 UV-Vis-IR 영역의 분광투과율과 색상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 자료를 바탕으로 착색시간의 로그함수에 직선적 관계를 갖는 착색시간에 따른 파장별 분광투과율의 변화로부터 얻은 직선의 기울기를 스팩트럼합성에 이용하였으며 실험식을 만들어 실측치와의 일치여부를 검증한 결과 실험을 행하지 않고서도 transmittance와 color에 대한 ANSI Z80.3규정에의 부합여부를 용이하게 계측할 수 있었다.

  • PDF

안경 렌즈 및 물체의 색상에 따른 최대 조절력 변화 (The Change of the Accommodative Amplitude in Accordance with the Color of the Spectacle Lens or Object)

  • 오병하;이재호;정세훈;박미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9-124
    • /
    • 2008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안경렌즈와 물체의 색상에 따라 최대 조절력의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방법: 20대 40명을 대상으로 무착색렌즈, 회색렌즈, 갈색렌즈, 녹색렌즈를 착용 후 물체 및 배경의 색상을 달리하면서 최대 조절력을 측정하였다. 최대 조절력은 마이너스 렌즈 부가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흰색 배경에 검정색, 빨간색, 녹색 물체를 볼 때 무착색렌즈에 비해 착색렌즈를 착용한 경우에 최대 조절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녹색렌즈의 경우는 어떤 색상의 물체를 보더라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최대 조절력이 증가하였다. 또한, 어떤 색상의 렌즈를 착용하였을 때라도 녹색 물체를 볼 때 최대 굴절력이 가장 컸다. 배경색에 따라서도 최대 조절력이 변화되어, 배경색이 빨간색일 경우 흰색일 때보다 최대 조절력이 감소하였다. 반대로, 녹색 배경색인 물체를 볼 때는 적색 배경이나 흰색 배경일 때 보다 최대 조절력이 컸다. 착색렌즈 중에서는 회색렌즈가 최대 조절력을 가장 적게 증가시켰으며, 녹색렌즈가 가장 크게 증가시켰다. 최대 조절력이 9 D 이상인 피검자의 수는 초록색 배경에서는 회색렌즈를 사용하였을 때 12.5%, 갈색렌즈는 21.3%, 녹색렌즈는 22.5% 이었으나, 빨간색 배경에서는 각각 5%, 6.5%, 6.5% 이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로 최대 조절력이 안경렌즈의 색상과 물체 및 배경의 색상에 따라 상이하며, 그로 인하여 적절한 색상의 안경렌즈로 눈의 피로감이 감소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