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착물 안정도상수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44초

N,N'-Oxalylbis(salicylaldehyde hydrazone)과 중금속이온과의 착물 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lex Formation of Heavy Metal Ions with N,N'-Oxalybis(salicylaldehyde hydrazone))

  • 최규성;이익희;김용남
    • 대한화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35-141
    • /
    • 1991
  • N,N'-oxalylbis(salicylaldehyde hydrazone) (OBSH)과 Zn (II), Cd (II) 및 Pb(II) 이온들과의 착물 형성에 따르는 안정도상수를 DMSO 용액에서 폴라로그래피법으로 측정하였다. 안정도상수의 크기는 Cd(II) < Zn(II) < pb(II) 이온의 순서로 증가하였으며, 모든 중금속이온들의 OBSH 리간드와 매우 안정한 착물을 형성하였다. 안정도상수를 여러 온도에서 측정하여 엔탈피 및 엔트로피 변화를 구한 결과, 착물의 안정도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음을 알았다.

  • PDF

Hydrazide Schiff Base 리간드와 Cd(II) 이온과의 착물 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lex Formation of Cd (II) Ion with Hydrazide Schiff)

  • 최규성;김용규;김용남
    • 대한화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42-150
    • /
    • 1991
  • N,N'-oxalylbis(salicylaldehyde hydrazone), N,N'-malonylbis(salicylaldehyde hydrazone), 그리고 N,N'-succinylbis(salicylaldehyde hydrazone)과 Cd(II) 이온과의 착물형성에 따르는 안정도상수를 DMSO 용액에서 폴라로그래피법으로 측정하였다. 안정도상수의 크기는 OBSH < MBSH < SBSH의 순서로 증가하였으며, Cd(II) 이언은 이들 리간드와 매우 안정한 착물을 형성하였다. 안정도 상수를 여러 온도에서 측정하여 엔탈피 및 엔트로피 변화를 측정한 결과, 착물형성에 기여를 하고 있음을 알았다.

  • PDF

Dioxouranium(Ⅵ) 이온과 Hydrazide Schiff Base 리간드와의 착물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lexation of Dioxouranium(Ⅵ) Ion with Hydrazide Schiff Base Ligands)

  • 차분희;허영애;최규성
    • 대한화학회지
    • /
    • 제39권7호
    • /
    • pp.538-542
    • /
    • 1995
  • Hydrazide schiff base 리간드인 N,N'-oxalylbis(salicylalde hydehydrazone)(OBSH)과 N,N'-malonylbis(salicylaldehydehydrazone)(MBSH), N,N'-succinylbis(salicylaldehydehydrazone)(SBSH) 리간드들과 $UO_2^{2+}$ 이온과의 착물형성에 따르는 안정도상수와 열역학적 파라미터를 95% DMF 용액에서 전위차 적정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안정도상수의 크기는 SBSH$UO_2^{2+}$ 이온과의 착물형성에 대한 ΔH는 OBSH에 대해서는 음의 값을 갖는 발열반응임을 알 수 있었고, MBSH, SBSH에 대해서는 양의 값을 갖는 흡열반응임을 알 수 있었다. ΔS는 OBSH < MBSH < SBSH로 증가하였다.

  • PDF

Nd(Ⅲ)과 치환된 Benzo-1,4,7,10,13-pentaoxacyclopentadecane (B15C5)와의 착물 형성에 관한 연구 (Complex Formation of Substituted Benzo-1,4,7,10,13-pentaoxacyclopentadecane (B15C5) with Nd(Ⅲ))

  • 김해중;김정;김시중
    • 대한화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440-445
    • /
    • 1995
  • 메탄올 용액에서 Nd(III)과 B15C5(benzo-1,4,7,10,13-pentaoxacyclopentadecane)의 치환체들간의 착물형성에 따른 화학적 조겅비 및 온도변화에 따른 안정도상수, 열역학적 파라메타들을 분광광도법과 전기전도도법을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이때 B15C5의 치환기들은 $CH_3,\;Br\;CHO,\;NO_2$43,4-(NO_2)_2$이었다. 메탄올 용액에서 Nd(III)과 이들 리간드와의 착물의 조성비는 1:1임을 알 수 있었으며, 안정도상수는 치환기효과에 $B15C5-3,4(NO_2)2 의하여 순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용매변화에 따른 안정도상수의 순위는 용매 염기도(DN)에 역비례하는데 이는 용매의 염기도, 리간드의 염기도, 금속이온의 용매화 현상 및 착물형성에 따른 엔트로피변화 등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 PDF

새로운 질소-산소계 여러 자리 리간드의 합성 및 전이금속(Ⅱ)이온 착물의 안정도상수 (Syntheses of New Nitrogen-Oxygen Multidentate Ligands and Their Stability Constants of Transition Metal(Ⅱ) Ions)

  • 김선덕;장기호;김준광
    • 대한화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39-548
    • /
    • 1998
  • 여러자리 산소-질소계 리간드들은 시프염기 리간드인 Bis(salicylidene)-ethylendiamine(BSED), Bis(salicylidene)-propylenediamine(BSPD), Bis(salicylidene)-diethylenetriamine(BSDT), Bis(salicylidene)-triethylenetetraamine(BSTT) 및 Bis(salicylidene)-tetraethylenepentaamine(BSTP)의 이민기를 수소환원장치에서 백금촉매를 이용하여 네자리 리간드인 N,N'-bis(2-hydroxybenzyl)-ethylenediamine(BHED)과 N,N'-bis(2-hydroxybenzyl)-propylenediamine(BHPD), 다섯자리 N,N'-bis(2-hydroxybenzyl)-diethylenetriamine(BHDT), 여섯자리 N,N'-bis(2-hydroxybenzyl)-triethylenetriamine(BHTT), 일곱자리 N,N'-bis(2-hydroxybenzyl)-tetraethylenepentaamine(BHTP) 리간드들을 합성하였다. 리간드들의 양성자 해리상수와 전이금속(Ⅱ)과 착물의 안정도상수는 전위차 적정법으로 측정하였다. 리간드별 전이금속(Ⅱ)이온에 대한 착물 안정도상수값$(logK_{ML})$의 크기는 BHED아연(Ⅱ)의 순서로 이 결과는 Irving-Williams 서열과 잘 일치하여 증가하였다.

  • PDF

나프톨을 포함하는 폴리아민의 합성 및 전위차 적정에 의한 금속착물의 안정도상수 결정 (Synthesis of Naphthol-Containing Polyamines and Determination of Stability Constants of Their Metal Complexes by Potentiometric Titration)

  • 김선덕;김준광
    • 분석과학
    • /
    • 제10권4호
    • /
    • pp.256-263
    • /
    • 1997
  • 새로운 여섯 자리 리간드 1,12-bis(2-naphthol)-2,5,8,11-tetraazadode cane. 4HCl(nptr)와 1,14-bis(2-naphthol)-2,6,9,13-tetraazatetradodecane .4HCl(npptr)을 합성하고 원소분석, 적외선분광법, 핵자기공명법 및 질량스펙트럼으로 분석하였다. 합성된 리간드의 산해리상수와 코발트(II), 니켈(II), 구리(II) 및 아연(II)의 착물 안정도상수를 $25^{\circ}C$, 0.1M($KNO_3$) 이온강도에서 전위차적정법으로 측정하였다. 지방족 아민과 2-naphthol을 가지는 리간드의 염기도와 안정도상수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 PDF

물아닌 용매에서 Dibenzo-18-Crown-6 화합물과 알칼리토금속이온이 이루는 착물의 안정도상수 (Stability Constants of Dienbzo-18-Crown-6 Complexes with Alkaline Earth Metal Ions in Nonaqueous Solvents)

  • 김시중;고석노;신영국;윤창주
    • 대한화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08-212
    • /
    • 1983
  • 알칼리토금속이온과 dibenzo-18-crown-6이 디메틸술폭시드, 디메틸포름아미드, 아세토니트릴용매에서 이루는 착물의 안정도상수를 일정한 이온세기에서 $25{\circ}C$$35{\circ}C$에서 전기전도도법으로 각각 구하였다. 안정도상수의 순위는 모든 용매에서 $Ca^{2+}이었다. 그 크기는 용매의 염기도에 역으로 비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이온-공동의 상대적 크기, 용매의 염기도 및 용매화 현상으로 설명하였다.

  • PDF

란탄늄 및 네오디늄 금속의 착물합성과 전기화학적 특성 (Synthesis and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Lantanium and Neodynium Metal Complexes)

  • 오제직
    • 분석과학
    • /
    • 제6권1호
    • /
    • pp.83-92
    • /
    • 1993
  • 0.05M TEAP를 지지전해질로 한 아세톤용액에서, 란탄늄 및 네오디늄과 몇 가지 리간드의 착물에 대한 전기화학적 거동인 환원전류의 유형, 가역성, 안정도상수, 전류함수 등을 폴라로그래피와 순환전압전류법으로 조사하였다. 환원파는 2단계로 나타났으며, 반응은 확산지배적이고 비가역적이었다. 또한 란탄족 금속이온의 착물에 대하여 안정도상수를 측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