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차폐막

Search Result 153,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etracycline-loaded Biodegradable Membranes in Experimental Periodontitis of Beagle Dogs (실험적으로 치주염을 유발한 비글견에서 테트라싸이클린 함유 생분해성 차폐막의 항염효과)

  • Jun, Hyung-Sik;Seol, Yang-Jo;Park, Yoon-Jeong;Lee, Yong-Moo;Ku, Young;Rhyu, In-Cheul;Lee, Seung-Jin;Han, Soo-Boo;Choi, Sang-Mook;Kwon, Soo-Kyoung;Chung, Chong-Pyoung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0 no.3
    • /
    • pp.583-599
    • /
    • 2000
  • 조직유도재생술 과정에 사용된 차폐막의 술 후 오염 혹은 시술부위의 감염으로 조직재생유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이 있다. 테트라싸이클린은 넓은 범위의 치주 원인균에 효과적이고, 중성구 교원분해효소를 억제 함으로써 결합조직파괴를 억제하기 때문에 전신적 혹은 국소적으로 치주질환 치료에 널리 이용되어져왔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비글견에 실험적으로 치주염을 유발시킨 후 테트라싸이클린 함유 차폐막을 이용하여 조직유도재생술을 하고서 테트라싸이클린의 유리반응을 관찰하는 것과 테트라싸이클린에 의한 항염, 항균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실험 2-3개월 전에 비글견의 구강에서 치조골 결손부를 형성하여 치주염을 유발시켰다. 결손부 형성 2-3개월 후 실험군으로 테트라싸이클린 함유 차폐막으로 조직유도재생술을 하였고, 대조군으로 테트라 싸이클린이 함유되지 않은 차폐막으로 조직유도재생술을 하였고, 음성대조군으로 치은판막술만을 하였다. 시술 전과 시술 후 1, 2, 4주 간격으로 치은지수, 치태지수, 치은열구액의 양 및 혐기성 세균과 호기성 세균의 군락수를 측정하였다. 술 후, 1, 3, 5, 7, 및 14일 간격으로 유리된 테트라싸이클린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테트라싸이클린 함유 차폐막은 임상적 치은지수는 술 후 2, 4주째, 치태지수는 1, 2, 4주째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1주에서 혐기성 및 호기성 세균집락수는 테트라싸이클린 함유 차폐막을 사용한 군이 약물이 함유되지 않은 차폐막보다 유의성있게 적었다.(p<0.001) 테트라싸이클린 함유 차폐막은 처음 1일은 높은 농도로 유리되었고 그 후 1주일 동안 일정하게 MIC 이상으로 유리되었다. 하지만 14일째는 유리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테트라싸이클린 함유 생분해성 차폐막은 1주이상 약제가 MIC 이상 유리되었고, 유리된 테트라싸이클린에 의한 항염, 항균작용이 있어 치주조직 재생유도술시에 초기 치유가 잘 진행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 PDF

Evaluation on the biocompatibility, bone cell activity and bone regenerative capacity of chitosan-PLLA bilayer porous membrane (Chitosan-PLLA 다층 다공성 차폐막의 생체적합성, 골세포활성도 및 골재생 능력에 관한 연구)

  • Park, Jun-Beom;Nam, Sung-Heon;Kim, Kyoung-Hwa;Lee, Sang-Chul;Lee, Seung-Jin;Kim, Tae-II;Seol, Yang-Jo;Lee, Yong-Moo;Ku, Young;Rhyu, In-Chul;Han, Soo-Boo;Chung, Chong-Pyoung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5 no.3
    • /
    • pp.549-561
    • /
    • 2005
  • 이 연구의 목적은 새로이 제작된 chitosan-poly(L-lactic acid)(PLLA) 다층 다공성 차폐막의 생체적합성 및 골세포활성도 및 골재생능을 평가하는 것이다. 제작된 차폐막을 24 well에 넣고 clonal osteoblast-like cell line(MC3T3-E1)을 접종한 군을 실험군으로, 차폐막을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으로 하였다. 배양 1일, 7일 및 14일째에 각 well에서 세포수를 측정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차폐막에 부착된 세포의 형태관찰을 시행하였다. RNA 추출 및 RT-PCR을 실시한 후, agarose gel상에서 전기영동하여 조골세포 표식자인 collagen type I(COL), osteopontin(OP) 및 osteocalcin(OC) mRNA의 발현을 관찰하였다. 제작된 매트릭스의 생체적합성 및 골재생능을 관찰하기 위하여 백서의 두개골에 직경 8mm의 원형 결손부를 형성한 후 차폐막을 이식한 군을 실험군으로, 아무 것도 넣지 않은 군을 대조군으로 하여 4주 경과 후 실험동물을 희생시킨 후 조직학적관찰을 시행하였다. 시간경과에 따른 부착세포수 관찰결과, 배양 14일까지 조골세포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세포의 형태 관찰결과, 배양된 세포들은 중층의 형태로 성장하면서 시간경과에 따라 세포가 응집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관찰 기간동안 COL, OP, 및 OC mRNA의 발현이 관찰되어 배양 전 기간동안 조골세포의 형질이 잘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백서 두개골 결손부에 이식된 차폐막은 염증반응 없이 주위 조직과 우수한 생체적합성을 나타내었으며, 차폐막을 이식하지 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높은 신생골 형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관찰결과로 새로이 제작된 chitosan-PLLA 차폐막은 우수한 생체적합성 및 골재생능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으며, 향후 이를 골조직 재생 및 치주조직유도재생 분야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nalysis for Shielding Effectiveness of Metal Shielding Layer within Near-Field of Noise Source (노이즈 소스 근거리장에 위치한 금속 차폐막의 차폐효과 분석)

  • Lee, Won-Seon;Lee, Won-Hui;Hur, Jung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9 no.3
    • /
    • pp.59-65
    • /
    • 2019
  • The EMI shielding effectiveness of the shielding layer thickness was analyzed when the metal shielding layer was placed in the near field of the magnetic probe and the noise source. Microstrip lines were used as noise source, and graphite and ferrite were selected as metal shielding materials. The magnetic probe uses the electromagnetic radiation measurement method using the magnetic probe by applying the IEC 61967-6 method. The transmission coefficient between the microstrip line and the magnetic probe was analyzed.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was 1 mm for a single shielding layer and 5 mm for a multiple shielding layer. The thickness of the shielding layer was changed to 5 um, 10 um, 30 um, and 50 um. When the frequency was changed from 150 kHz to 1 GHz, a maximum shielding effectiveness (SE) of 44.9 dB was obtained.

Analysis of Shielding Effectiveness of Low Conductivity Shield Layers within Near-field Region (근거리장에 놓인 저전도율 차폐막의 차폐 효과 분석)

  • Lee, Won-Seon;Lee, Won-Hui;Hur, Jung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9 no.2
    • /
    • pp.59-65
    • /
    • 2019
  • The EMI shielding effectiveness of shielding layers thickness was analyzed when the low conductivity shielding layers was placed in the near field of the noise source. A spiral antenna with broadband characteristics was used as the noise source, and graphite was selected as the low conductivity shielding material. Two spiral antennas were constructed to analyze the transmission coefficient between two antennas, and the distances between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s were 5 cm and 10 cm. The thickness of the shielding layers was changed from 1 um to 200 um. The frequency was changed from 100 MHz to 6 GHz to obtain a maximum SE(Shielding Effectiveness) of 70 dB. In this simulation, electronic shielding was used due to the nature of graphite, which is a shielding film material. Based on these results, we will study how to improve the shielding performance by implementing magnetic shielding in the future.

Improvement for Shielding Effectiveness of EMI Shield Layers using Conformal Spray Coating Scheme (콘포멀 스프레이 코팅으로 형성한 EMI 차단막의 차폐효과 개선)

  • Hur, Jung;Lee, Won-Hui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8 no.6
    • /
    • pp.107-112
    • /
    • 2018
  • Shielding effectiveness (SE) improvement with EMI shield layers fabricated by conformal spray coating system was studied. Silver or Nickel powder filled acrylic resin were sprayed on the samples. We compared the performance with the viscosity of 400 cPs and 100 cPs cases. The thickness range of the coating layer was 20 to 50 um for the silver, 60 to 120 um for the nickel. The shielding effectiveness was measured by ASTM D4935 using coaxial type TEM-cell. The silver-filled resin showed much better performance than that of the nickel-filled resin. The shielding effectiveness increased almost proportional to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layers until being saturated around 63 dB for the silver-layer or around 34 dB for the nickel-layer. The best performance measured in this study was the shielding effectiveness of 63 dB with $35{\mu}m-thick$ of silver-layer.

Evaluation on the bone regenerative capacity of hyaluronic acid applied poly (D,L-lactic-co-glycolic acid) membranes in rabbit calvarial defect (Rabbit calvaria를 이용하여 hyaluronic acid (HA)를 처리한 poly (D,L-lactic-co-glycolic acid) 차폐막들의 골 생성능력에 대한 비교 연구)

  • Kim, Nam-Sook;Yun, Kwi-Dug;Vang, Mong-Sook;Yang, Hong-So;Lim, Hyun-Phil;Kang, Sung-Soo;Park, Sang-Won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 /
    • v.48 no.2
    • /
    • pp.158-165
    • /
    • 2010
  • Purpose: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histologically evaluate durability and bone regeneration capacity of new synthetic membranes in comparison to clinically available collagen membrane. Material and methods: To the skulls of 12 rabbits, we created 4 bone defects of 6 mm in diameter on each of them. Each of defects were covered with at least one of 5 membranes; No membrane, Collagen ($Ossix^{TM}$), PLGA, HA-coated-PLGA and HA-PLGA/PLGA. After 4, 8, 12 weeks, we cut the skulls and dyed with H-E. And then, the histologic observation was done. Results: In current study, the control group which did not use the membrane showed bone regeneration at 12 weeks and covered the bone defect partially. New bones were formed through the underneath of endocranium, and the upper defect was filled with connective tissues and fats. Collagen membrane ($Ossix^{TM}$) showed new bones after 4 weeks, and they were formed through the membrane which maintained until 12 weeks. PLGA, HA-coated-PLGA, HA-PLGA/PLGA showed bone regeneration after 4 weeks and after 8 weeks, they mostly filled defects. At 12 weeks, we could find new bones and previous bones almost look alike and also, they united well. Membranes were unnoticeable after 4 weeks and were absorbed. Conclusion: Bone formation and maturation of PLGA, HA-coated-PLGA and HA-PLGA/PLGA were faster than the control group. They showed no difference on the application of HA and after 4 weeks, they were absorbed.

Periodontal Regeneration Using the Mixture of Human Tooth-ash and Plaster of Paris in Dogs (성견에서 치아회분말과 연석고를 이용한 치주조직재생술)

  • Gu, Ha-Ra;Jang, Hyun-Seon;Kim, Su-Wan;Park, Joo-Cheol;Kim, Byung-Ock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6 no.1
    • /
    • pp.15-26
    • /
    • 2006
  • 흡수성 차페막을 이용한 조직 유도 재생술시 차폐막의 견고성으로 미루어 보아 재생을 위한 공간의 유지가 어려울 수 있다. 조직 유도 재생술과 함께 골이식술을 시행함으로써 공간 확보와 함께 적절한 혈병의 유지를 도모할 수 있고 이식된 골은 선생골 형성을 위한 핵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최근에 사람의 치아회분말과 연석고를 혼합한 골이식재가 여러 연구를 통해 좋은 골이식재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성견 하악 소구치 2급 치근이개부위에 외과적으로 형성하여 흡수성 차폐막과 치아회분말-연석고 혼합 이식재를 이용한 조직유도재생 술을 시행하여 치주 조직 재생의 양상을 조직학적으로 관찰하고자 한다. 생후 12개월에서 16개윌 된 체중 15 Kg 내외의 성견 4마리를 이용하였다. 실험 재료로 생체흡수성 차폐막 (Biogide(R), Swiss) 를 사용하였고, 골이식재로 치아회분말-연석고를 혼합매식 하였다. 양측 상악 소구치 부위에 변연 치조골하방에 4 mm ${\times}$ 4 mm ${\times}$ 4 mm, (깊이 ${\times}$ 근원심 ${\times}$ 협설폭경) 깊이로 골내낭을 형성하였다. 형성된 골내낭의 기저부위 치근 표면에 1/4 round bur로 notch를 형성하여 참고점으로 하였다. 무작위로 선택된 한 쪽의 결손부를 대조군으로 오직 생체 흡수성 차폐막을 사용하였고, 실험군으로 치아회분말-연석고와 생체 흡수성 차폐막을 결손부로부터 2 mm 이상 덮을 수 있도록 다듬어 결손부 위에 위치시킨 후 협측 판막을 덮고 봉합하였다. 4주 후 2마리 ,8주 후 2마리를 희생시키고 통상의 방법으로 고정, 탈회, 포매의 과정을 거쳐 광학 현미경으로 검경하였다. 그 결과, 1. 4주 대조군에서 Bio-gide(R)는 완전한 흡수를 보였고, 치근이개부내에는 큰 공간이 존재하였다. 2. 4주 실험군에서 역시 Bio-gide(R)는 완전한 흡수를 보였고, 골 결손부내에 더 많은 신생골 관찰되었다. 그러나 아직까진 기존골과 신생골간에 명확한 차이가 있어서 쉽게 구분할 수 있었다. 또한 골이식재 주변으로 파골세포가 다수 관찰되며 이로 미루어 보아 활발한 골흡수가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3. 8주 대조군에서 결손부내에서는 기존골에 인접하여 신생골 형성이 부분적으로 일어났으나 연조직 침입이 관찰되었다. 4. 8주 실험군은 신생골이 기존골과 매우 유사한 형태로 관찰되었고, 신생골 형성 부위에 신생 혈관 증식이 관찰되었다. 또한 골내낭 기저부위에서는 백악질과, 치주인대가 재생됨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치아회분말-연석고 혼합매식은 골재생을 위한 골전도성이 있는 재료로 사료되며, 이를 이용히여 치주조직재생술시 흡수성 차폐막과 병행하여 사용한다면 더 많은 골재생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축전 결합 차폐막(faraday shield)이 없는 평판형 유도 결합 아르곤 플라즈마에서 전자 에너지 분포 및 플라즈마 전위에 대한 연구

  • 서상훈;홍정인;장홍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1999.07a
    • /
    • pp.217-217
    • /
    • 1999
  • 축전 결합 차폐막(Faraday shield)이 없는 평판형 유도 결합 플라즈마 장치에서 방전 모드 전이 중출력 결합 변화동안 전자 가열에 대한 연구가 행하여졌다. 전자 에너지 분포 함수(EEDF)의 전개가 RF 보상탐침을 사용, 교류 충첩 방법으로 측정된다. RF 출력에 따른 전자 밀도, 유효 전자 온도 및 특히, 플라즈마 전위의 동향이 제시된다. bi-Maxwellian EEDF를 가진 플라즈마에서 플라즈마 전위가 고 에너지 전자 그룹에 의해 결정됨을 보이고, 플라즈마 전위와 EEDF 상호 관계가 논의된다. 실험 결과로부터 RF출력에 따른 플라즈마 전위의 변화가 전자 가열에 있어 축전 출력 결합의 상대적인 기여의 변화를 반영함을 알 수 있다.

  • PDF

Cyclic Precalcification Treatment of Titanium Membrane Formed with Nanotubular TiO2 Layer (나노튜브를 형성한 타이타늄 차폐막의 석회화 순환처리)

  • Mun, So-Hui;Nguyen, Thuy Duong Thi;Ji, Jeong-Hui;Kim, Yu-Gyeong;Park, Il-Song;Lee, Min-Ho;Bae, Tae-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3.05a
    • /
    • pp.111-111
    • /
    • 2013
  • 골이식 부위에서 연조직의 붕괴를 막아주면서 골이식재를 위한 안정적인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타이타늄 메쉬가 적용된다. 본 연구에서 생체 불활성의 특성을 보이는 타이타늄 차폐막에 양극산화와 석회화 순환처리에 의해서 생체활성을 부여한 결과, 골형성을 촉진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