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차음측정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28초

고성능 복합차음패널 개발 (Development of multiple panels with high sound insulation)

  • 강현주;김봉기;신상호;김정훈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3권 2호
    • /
    • pp.201-202
    • /
    • 2004
  • 고성능 복합 차음패널 개발을 위해 다양한 복합패널의 차음 성능을 측정하고 이를 토대로 최적의 설계변수를 도출하여 , 설계제한조건 내에서 최대의 차음성능을 갖는 복합차음패널을 개발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Mini-chamber를 이용함으로서, 차음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10m^{2}$ 이상의 시편 대신 $0.6m^{2}$ 의 시편을 사용함으로써, 시편 제작비 및 개발기간을 대폭 줄일 수 있었다. 주요 설계안으로서 stud를 최적화 한 결과, Mini-Chamber에서는 약 5dB의 차음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었으며, 잔향실 측정의 경우 약 $2^{-3}dB$의 차음 성능이 향상되었다.

  • PDF

공동주택에 천장구조에 의한 바닥충격음 변화특성에 관한 연구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Floor Impact Sound by Ceiling Structures in Apartment Buildings)

  • 조창근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3년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제12권 1호
    • /
    • pp.13-16
    • /
    • 1993
  •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성능 향상을 위한 설계자료의 제시를 위해 천장구조가 서로 다른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경량 및 중량 바닥충격음의 현장측정을 통하여 공동주택의 천장구조에 의한 바닥충격음 변화특성을 분석하고 차음성능을 평가하였다. 측정대상 건물에서 천장을 설치한 경우가 비교적 높은 충격음 차음성능 분포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바닥슬래브 하부 천장에 공기층과 완충재를 함께 설치하는 것은 기존 공동주택 등에서 경량 및 중량 바닥충격음 차음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임을 확인하였다.

  • PDF

공동주택 바닥 형성음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 of Impact Sound for Apartment House)

  • 김선우;손철봉;장길수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1990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한양대학교, 서울; 24 Nov. 1990
    • /
    • pp.149-154
    • /
    • 1990
  • 본 연구에서는 차음성능 기준과 평가방법 설정을 위한 기초작업으로 국내 공동주택 바닥구조에 대한 차음성능 실태조사를 실시 차음성능수준을 파악 하고, 주민반응, 주요 내부소음원, 측정방법상의 문제점 등을 고려하여 우리 의 실정에 적합한 평가방법의 설정방향을 모색코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 공동주택의 독특한 바닥구조인 온돌에 적합한 차음등급의 제정에 필수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건축물이 차음성능 보장 을 위한 설계 지침으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흡음/차음재 변경에 의한 차실 내부소음 개선 (Refinement of Vehicle Cabin Noise by Changing Interior Trims)

  • 김재권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8년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7권 2호
    • /
    • pp.107-110
    • /
    • 1998
  • 차량의 주요 소음원부터 실내 탑승자의 귀의 위치까지 도달되는 소음의 전달에 대한 전체적인 경로 및 주파수특성에 대한 해석은 차량의 구조-음향적인 특성이 복잡하므로 매우 어렵다. 그러나, 중-고주파수에 대한 대책에 있어서는 흡차음재가 유용함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차실 벽면에 사용된 흡/차음재는 소음레벨에 부분적인 기여를 함은 물론이고 음질에도 영향을 미친다. 소음 레벨에 있어서는 수백 Hz 이하의 저주파수 성분이 주요하며, 음질에는 중-고주파수 대역의 소음특성이 큰 영향을 미친다[1]. 본 논문에서는, 실험적으로 측정된 소음원의 특성을 수치해석 모델에 이용하여 소음레벨 저감과 음질개선을 위한 흡/차음재의 개선방향을 모색하였다.

  • PDF

항공기소음 저감방안에 대한 검토 -창호설치조건을 중심으로- (Examination of Method of an Aircraft Noise Reduction -Mainly the Window Installation Conditions-)

  • 양재훈;김경우;양관섭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60-263
    • /
    • 2008
  • 공항에 인접한 주거지역에서 항공기 소음문제로 인하여 거주자들에게 소음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항공기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방법 중 건물외피를 차음성능이 높은 구조로 변경하여 건축물의 차음량을 개선시키는 수음원 대책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건축물 방음시설 설치는 건물외피 중 외부소음에 가장 취약한 창호의 차음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효과적인데, 본 연구에서는 기존 창호에 비하여 차음성능이 높은 창호를 교체 설치하여 건축물의 차음량 개선치를 $L_{max}$, SEL, $L_{eq}$로 각각 검토 비교함과 동시에 창호의 기밀성능을 위한 기밀재 및 추가 모헤어의 설치조건에 따른 차음성능을 검토해 보았다. 측정결과 방음시설 설치 후 항공기소음을 $L_{max}$, SEL, $L_{eq}$로 차음량 개선치를 각각 평가한 결과 1.8dB 이내의 편차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의 차음성능 개선치는 기밀재 설치 후 $R'45^{\circ}$,w가 5dB, 기밀재 및 추가 모헤어 설치 후 8dB로 나타났다.

  • PDF

바닥 衝擊音 遮音性能基準 및 等級化에 관한 硏究(Ⅱ) (A Study on the Standard and Classification of Impact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for Apartment House(II))

  • 김선우;손철봉;송용식;장길수;이태강;국찬;김재수;한명호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5-17
    • /
    • 1990
  • 국내 설정에 적합한 차음성능기준 및 등급화 방안을 설정하기 위하여 그 기초 연구단계로서 주민반응조사 및 차음성능수준을 측정하고, 차음성능 평가치와 생활감과의 상관관계를 분석 외국의 기존 평가기준곡선 적응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ISO에 의한 평가방법보다는 JIS에 의한 평가방법이 국내 공동주택의 경우에는 보다 합리적임을 파악하였고, 표준충격원은 경량 및 중량충격원을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측정시 문제가 되는 63Hz 중심 주파수대역을 측정범위에서 제외하여도 차음성능 지수상의 오차는 무시할 수 있었다.

  • PDF

표면 인텐시티법을 이용한 건물부위의 음향투과손실 측정 (Measurement of Transmission Loss Using Surface Intensity Method in Building Elements)

  • 김흥식;손장열;오재응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7-22
    • /
    • 1987
  • 새로운 차음성능 측정방법인 표면인텐시티법을 이용하여 실제 건축물의 현장에서 각부위별 차음성능 평가하고. 이를 종래의 음압측정방법과 은향인텐시티법 및 이론계산에 의한 결과 치 와 비교 . 검토하였다. 표면인텐시티법에 의한 건물부위의 차음성능 측정결과치는 음향인 텐시티법 및 이론계산에 의한 결과치와 잘 일치하였으며, 표면 인텐시티법은 음향인텐시티 법과 더불어 종래의 음압측정방법에 비해 측정시 주위 암소음 및 flanking transmission의 영향을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차음성능에 관한 국제간 round robin test (International round robin. test on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 Kang, Hyun-Ju;Kim, Jae-Seung;Kim, Hyun-Sil;Kim, Bong-Kee;Kim, Sang-Ryul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174-1179
    • /
    • 2001
  • 차음성능 측정에 관한 국제간 신인도 향상을 위하여 home and away 테스트가 수행되었다. 동일 시편에 대한 비교 테스트 결과 대부분의 시편에서는 STC 1 ㏈ 이내의 차이를 보였다. 다만, 특정 시편의 경우 STC 5 ㏈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주원인으로는 잔향시간 측정 오차가 주원인으로 추정되며, 또한 부수적인 원인으로는 시편의 제작 및 설치의 차이 때문인 으로 사료된다.

  • PDF

초등학교 교실의 음환경 비교연구 (The Comparison of Room Acoustics of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 문규천;박계균;연철호;한찬훈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0권 2호
    • /
    • pp.293-296
    • /
    • 2001
  • 1990년대 중반 이후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실은 열린교육과 다양성을 추구하는 새로운 열린교실을 표방하고 진행되고 있다. 또한 건축설계에 있어서도 과거의 종합 표준설계에 의하지 않고 각 학교마다 별도의 건축설계에 따라 지어지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현재의 초등학교 교서의 차음환경을 조사하고 새로이 지어진 교사의 교실과 열린교실의 실내 음환경을 조사하여 현재 상황을 분석평가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건축시공연대가 다른 초등학교 3개 학교를 선택하여 단위교실에서의 실내음향인자(RT60, C80, D50, RASTI)와 인접교실과의 차음성능(TL)을 측정하였다. 또한 해당교실의 학생과 교사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각 측정은 외부와 복도에 인접한 창문의 개폐여부와 실내의 위치별로 이루어 졌다. 실험결과, 열린교육에 따라 가변적 교실의 구성은 기존의 교실보다 차음성능이 평균$5\sim6dB$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축교사의 RASTI값(0.73)이 10년 이상 된 학교(0.70)나 열린교실(0.64)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음성명료도(D50) 역시 일반 신축교사가 열린교실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실의 기밀과 내부바닥의 마감자재로 비롯되었으며 최근의 열린교실은 음의 차음과 실내명료도에서 열악한 것으로 결론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