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차음성능레벨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초

현장실험을 통한 학교교실의 벽체 차음성능 및 측로전달소음 조사 (Investigation of the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of walls and flanking noises in classrooms using field measurements)

  • 류다정;박찬재;한찬훈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329-337
    • /
    • 2017
  • 미국과 영국에서는 교실의 적정한 음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잔향시간 및 배경소음에 대한 기준이 수립되어 있다. 또한 이를 실현하기 위한 건축계획방법 및 실내마감재 적용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의 경우 학교 교실의 배경소음 기준을 만족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이에 기초가 되는 교실 벽체의 차음성능에 대한 실태조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 교실의 실내외 소음에 대한 차음성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청주시 소재 중학교 2개소의 외부벽체와 실간벽체의 구조를 조사하였다. 실내외 벽체의 차음성능 및 측로전달소음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투과손실, 가중 표준화 음압레벨차, 음향 감쇠 계수, 신호대잡음비 등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실간벽체의 경우 건식벽으로 건립된 학교의 차음성능이 습식벽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중고파수대역에서 높은 차음성능을 나타내었다. 외부벽체의 경우 각 학교 별로 차음성능을 비교하였을 때 단창을 이중으로 배치한 학교보다 복층유리를 사용한 학교의 성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측로전달소음의 경우 창문을 모두 개방하거나 복도 측 창문과 문을 연 경우 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나 내부 소음에 의해 학생이 음성전달에 방해를 받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해양플랜트용 허니컴 패널의 차음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Sound Insulation Characteristics of Honeycomb Panels for Offshore Plants)

  • 정재덕;홍석윤;송지훈;권현웅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948-955
    • /
    • 2017
  • 현재 해양플랜트용 패널의 주요한 중심재는 다공성재료(미네랄울) 이지만, 뛰어난 차음성능에도 불구하고 환경적인 이유로 이를 대체할 재료가 요구되고 있다. 허니컴 구조는 무게 대비 강도가 우수하여 산업전반에서 많이 쓰이고 있다. 하지만 소음진동 측면에서의 연구는 미미하다. 다공성재료를 대체하기 위한 연구로서 허니컴의 음향학적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허니컴패널을 대칭모드와 비대칭모드의 중첩으로 가정하여 수치해석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이론을 통한 수치해석과 실험결과를 비교하여 수치해석의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수치해석을 통해 허니컴패널의 차음특성을 연구하고 중심재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패널두께를 키울수록 일치주파수가 저주파수로 이동하였다. 셀사이즈와 셀벽의 사이각이 감소함에 따라 차음성능이 개선되었고, 셀벽두께의 경우 증가할수록 차음성능이 향상되었다.

스팀 사이렌서의 소음저감성능 평가 (Evaluation on the Noise Reduction Performance of Steam Silencer)

  • 정정호;김정욱;고용호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663-665
    • /
    • 2007
  • 생산시설에서의 소음원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증기 방출시 발생되는 소음은 대기 중에 직접 노출되기 때문에 증기 방출시 소음저감을 위한 사이렌서의 설치가 필요하다. 스팀 사이렌서는 습기와 고온에 항상 노출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흡음 및 차음재료의 사용에 제한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틸 울과 스틸 타공판으로 구성된 사이렌서와 사이렌서를 둘러싸는 외부 용기로 구성된 스팀 사이렌서를 대상으로 소음저감성능을 평가하였다. 스팀 방출시 소음 저감 성능을 평가하여야 하지만 사이렌서 내부에서 스팀이 방출되는 조건에서의 실험에 어려움이 있어 스팀사이렌서의 내부에 라우드 스피커와 마이크로폰을 설치하여 스팀사이렌서 내부에서 발생되는 음압레벨을 측정하였다. 또한 소음이 표면에서 1m 이격된 지점에서의 소음레벨을 측정하여 소음저감성능을 평가하였다. 소음 저감성능 평가 결과 500 Hz 이상 주파수 범위에서 약 40 dB이상의 소음저감성능을 확인하였다.

  • PDF

대학 내 사무실의 스피치 프라이버시 측정 및 평가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speech privacy in university office rooms)

  • 임재섭;최영지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96-405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대학 내 밀폐형 사무실의 SPC(Speech Privacy Class) 값을 측정하고 평가하였다. 대학 캠퍼스 내 3곳의 건물에 위치한 5곳 대상공간에서 실간 음압레벨차이(Level Difference, LD)와 수음실의 암소음 레벨($L_b$)을 각각 측정하였다. 5곳 대상공간은 모두 인접실과 복도가 인접해있다. SPC값을 도출하기 위해 필요한 LD값과 기존의 차음성능 측정방법인 투과손실(Transmission Loss, TL)을 함께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측정결과, 5곳 대상공간은 SPC 최소 기준치인 70을 만족하지 못하였다. 5곳 대상공간의 평균 $L_b$값은 29.2 dB이며 SPC 최소 기준치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LD값이 41 dB 이상이어야 한다. SPC 최소 기준치를 만족하기 위해서 1/3옥타브밴드 160 Hz ~ 5000 Hz 주파수대역에서 평균 TL값은 40 dB 이상이 되도록 음향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LD값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음원실과 수음실 간 인접벽체의 개구부 유무이다. 따라서 인접벽체에 개구부가 존재할 경우 차음성능이 높은 재료로 개구부를 대체하여 적절한 SPC값을 만족할 수 있다.

국내 교육시설의 음향기준 제정의 필요성 제고 (Towards better acoustic conditions in school buildings in Korea-a need for Korean standard for classroom acoustics)

  • 최영지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13-123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국내 초·중·고 및 대학교 학습공간의 음향 상태에 관해 설명하고 국내 교육시설의 음향 기준 제정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여러 나라의 학교시설 내 다양한 학습공간에서 요구되는 배경소음, 잔향시간, 그리고 차음 설계의 음향 기준을 이해하기 위해 학교시설 음향설계기준 및 지침을 소개하였다. 국내 초·중·고 및 대학교 학습공간의 음향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현장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하였으며, 그 결과에서는 공석과 만석 상태의 음향 특성, 배경 소음레벨, 그리고 차음성능을 제시하여 비교하였다. 실제 대학 강의 현장에서 좋은 음성 명료도를 성취하기 위한 음향지표 값도 제시하였다.

共同住宅 뜬바닥構造의 바닥 衝擊音레벨 測定 (Measurements of the floor impact sound level for floating screeds in apartment house)

  • 박병전;신영무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38-49
    • /
    • 1992
  • 고체음은 건축음향에서 가장 중요한 인자의 하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건축음향설계에서 그 거동을 예측하는 연구는 아직 찾아볼 수 없는 실정이다. 여기에 바닥충격음 제어의 가장 확실한 방법중의 하나인 콘크리트 뜬바닥구조를 개발하여, 이 구조의 층ㅇ격음 차단성능을 기존바닥과 비교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5개소에 21개 샘플을 시공하고 그 성능을 KS F 2810의 규정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비교분석은 차음등급의 기준주파수 특성을 쓰고, JIS A 1419의 규정에 의해 구한 차음등급에 따랐다. 결과는 표 3.1의 번호 12의 구조이외는 크게 바닥충격음의 개선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고 기타는 자료의 축적에 뜻이 있다 하겠다.

  • PDF

전통주택의 차음성능 평가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of Korean Traditional Houses)

  • 김선우;이태강;김형렬;김항;최은석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141-148
    • /
    • 2006
  • Korean traditional houses have been evolved and developed in many years, adopting the natural environment to control exterior conditions. These control method are various Passive system of using natural materials, considering micro climate, building lay out, and these system are much natural and ecological to make the comfortable indoor climate than active systems of the present houses. This study aims to analyzed the acoust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houses varied with lay out and floor plan to reflect the way of control for environmental condition. The reverberation time and level difference between rooms of the main living room and other main floored room, master room and kitchen are measured in each houses. As a result, the reverberation time of Korean traditional rooms are below 0.6 second, and the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of Korean traditional door are mostly very low grade with D-15. The level difference between rooms are low grade not to meet minimum class except between main living room and master room away from main living building. These above results show that our traditional house are much more emphasized seeking visual privacy of rooms than aural privacy.

초등학교 창의융합교실의 음향성능 조사 (Investigation of acoustic performances of the creative convergence classrooms in elementary schools)

  • 조아현;한찬훈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85-297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한민국 학교 교실 중 학교공간혁신사업을 통해 도입된 9세 이하 초등학생이 사용하는 1, 2학년 창의융합교실의 음향성능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창의융합교실 3개를 대상으로 음향성능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음향인자는 배경소음, 잔향시간(Reverberation Time, RT), 음성명료도(D50), 음성전달지수(Speech Transmission Index, STI) 및 양이간 상호상관도(Inter-Aural Cross Correlation, IACC)였다. 또한 벽체의 차음성능분석을 위해 투과손실(Transmission Loss, TL), 표준화음압레벨차(DnT) 등을 측정하였고, 교실의 문과 창문의 개폐 여부에 따른 소음레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배경소음은 공조기를 가동하지 않았을 때 평균 28.0 dB(A) ~ 32.8 dB(A)로 나타났으며 잔향시간은 0.6 s를 초과하지 않았다. 다양한 책상 배치에 따라 양이간 상호상관도(IACC)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중심선과 음원 근처 좌석에서 IACC 값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음원을 정면으로 바라보는 중심선의 좌석에서 더 높은 IACC가 측정되었다. 문과 창문의 개폐에 따른 교실 내 소음레벨은 모든 창문과 문을 열었을 때와 복도측 창문과 문을 열었을 때 기준을 초과하였다.

우수한 교실음향 구현을 위한 설계기준 및 개선방향조사

  • 정정호
    • 방재기술
    • /
    • 통권42호
    • /
    • pp.17-25
    • /
    • 2007
  • 쾌적하고 명료성이 높은 교실내의 음향환경은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 및 교사의 언어전달 이해 향상을 이룩할 수 있는 중요한 사항이다. 이러한 우수한 교육환경을 위해서는 우선 우리나라의 교실 음향 실태 파악과 함께 교육시설의 음향상태 및 소음에 의한 학업 성취도, 심리적, 사회적 영향에 대한 정량적 조사가 이루어 져야 한다. 국내 교육시설의 음향 실태 파악을 통해 교육시설에서의 음향 및 소음 기준을 수립하여 교육시설내의 음환경 개선을 추진해야 한다. 교실 음향개선을 합리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표로서 잔향시간과 배경소음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알려져 있다. 교실의 우수한 음환경을 위해 적절한 잔향시간은 $0.4\sim0.6$초, 배경소음은 NC-$25\sim30$수준이 확보되어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교사의 음성레벨과 배경소음과의 비(S/N비)는 최소 10 dB이상 되어야 강의 내용 전달이 가능하며, 각종 기계설비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은 저소음 기기 선정을 통해 최소화하여야 한다. 인접 실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충분히 차단하기 위해서는 차음성능 우수한 구조의 벽계로 개선되어야 하며, 기밀성이 높은 출입문사용과 적절한 출입구 배치를 통해 인접한 교실로의 소음 전달을 최소화 할 수 있다.

  • PDF

바닥충격음 차음성능평가에 있어서 측정 레벨의 허용오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llowable Deviation for the Measured Level of the Impact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 장길수;김선우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한국과학기술회관; 6 Nov. 1997
    • /
    • pp.222-226
    • /
    • 1997
  • The reproducibility of measured level is a prior condition for the reliable assessment of the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To review the reproducibility of impact sound level, 20 floors were selected in highrise apartment house, and then impact sound levels of two kinds of typical floors were measured with 10 times in each receiving point. The impact sound insulation class values were derived with a standard tapping machine and bang machine. Inspection of the result showed that smaller scale of the room caused to lower the reproducibility and that the higher values of standard deviation in lower frequency caused to deteriorate the reliability of assesment. Thus to enhance the reproducibility of the impact sound insulation class, greater allowable deviation of measured level is required in lower frequency than in higher on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