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차세대 통합망

Search Result 156, Processing Time 0.04 second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Vertical Handover System for Next-generation Networks (차세대 네트워크를 위한 버티컬 핸드오버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Kim, Yong-Sung;Suh, Young-Joo
    • IEMEK Journal of Embedded Systems and Applications
    • /
    • v.2 no.3
    • /
    • pp.174-183
    • /
    • 2007
  • 4G 네트워크로 불라는 차세대 네트워크는 All IP 기반으로 구성되며 여기서는 다양한 특성을 갖는 네트워크 간의 통합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4G 네트워크에서의 동종 혹은 이종 망간의 이동 단말의 끊김없는 이동성 제공이 중요한 요소 기술 중 하나로 간주된다. 이동성 제공을 위해 IETF 워킹 그룹에서는 Mobile IP (MIP) 기술을 제안하였고, 차세대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MIP 기술은 이동 단말의 매크로 이동성 (macro mobility)을 지원하기 위해 제안되었기 때문에 긴 핸드오버 지연 시간에 따른 패킷 손실 및 성능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차세대 네트워크에서 이동 단말의 이종 망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기존 구축된 네트워크와의 호환성을 제공해 주는 것과 동시에 끊김없는 연결성을 제공해 주는 기법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이종 망간의 이동 단말의 움직임에도 끊김없는 연결성을 제공해 줄 수 있는 핸드오버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공통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설계되어 사용되는 무선 기술에 상관없이 투명한 서비스를 IP/MIP 레이어에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한 시스템을 바탕으로 약결합 네트워크 기반의 cdma2000/무선랜 설험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이동 단말의 버티컬 핸드오버 성능을 측정한다. 측정한 핸드오버 성능을 바탕으로 제안한 시스템이 기존 코어 네트워크 및 IP/MIP 레이어 수정없이 여러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 시에 끊김없는 서비스를 이동 단말에게 제공해 준다는 것을 보여준다.

  • PDF

VoIP 시험 서비스 현황

  • 배성용
    • TTA Journal
    • /
    • s.92
    • /
    • pp.86-91
    • /
    • 2004
  • 초기에 많은 관심과 투자가 집중되었던 VoIP 서비스가 여러 가지 이유로 그 동안 침체되어 왔으나, 향후 통신 서비스 사업자의 차세대 네트워크 및 광대역 통합망 도입과 함께 각종 규제와 제도가 정비됨에 따라 점차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향후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는 VoIP 장비 시험 인증에 대해 현재 TTA에서 제공하는 있는 시험 서비스에 대해 소개한다.

  • PDF

통합액세스기반의 광가입자망 전송기술

  • 김진희;남도현
    • Op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6 no.2
    • /
    • pp.19-28
    • /
    • 2002
  • 현재, 가입자들은 다양한 매체 접속의 호환성과 통신 시장의 변화에 있어서 가장 적절한 기술과 제반사항을 지원하며, 또한 현 통신 시장의 흐름의 적소에서 요구되어지는 새로운 시스템 설치 및 새로운 망을 구성시 비용절감 효과를 누릴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요구하고 있다. 새로운 변화에 부응하여 현 IEEE 802.3에서는 현 통신 시장에서 앞으로 나아갈 제 4세대라고 불리울 수 있는 NGN(Next Generation Networks)시장의 새로운 향방을 제시하고 있으며, xDSL 표준안과 이미 상호 호환하는 이더넷 기반의 제품들을 선보이고 있다. 회선기반의 네트워크에서 패킷기반으로의 전환이 전화서비스를 포함하여 새로운 사업모델을 포함하는 데이터 서비스와 기타 부가서비스 분야에서 매우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기존의 회선기반 네트워크와 새로운 패킷기반의 네트워크의 상호 보완적 진화차원의 액세스 전송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고에서는 차세대 전송기술이라고 불리고 있는 다양한 솔루션에 대해 기술적인 현안을 짚어보고 향후 통합액세스기반의 광가입자망 전송기술 적용방안에 대해 살펴본다.

  • PDF

3GPP IMS 서비스 연속성 지원 기술

  • Park, Se-Ung;Lee, Jong-Uk;Nam, Chang-Wo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7 no.6
    • /
    • pp.10-17
    • /
    • 2010
  • IMS는 IP 기반의 통합 서비스 관리 시스템으로 All-IP 기반의 차세대 통신망에서 모든 세션의 제어를 담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의 통신망은 회선망과 패킷망이 혼재되어 사용되는 이종망 환경이며, 이 때 패킷망 기반의 IMS가 어떻게 서비스 연속성을 제공하는지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3GPP의 표준화 문서를 바탕으로 이종망 환경에서 IMS 서비스 연속성 기술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Technologies and Standards of Future Railway Mobile Telecommunication (차세대 철도 통합무선망 기술 및 표준화 동향)

  • Yoon, Byungsik;Kim, Junsik;Lee, Sukjin;Kim, Kyung-Hee;Kim, Yong-Kyu;Park, Duk-Ky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6 no.6
    • /
    • pp.519-527
    • /
    • 2013
  • Mobile radio technologies have evolved in the railway industry offering seamless connectivity and various functionalities to improve railway service. Recently, advanced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e enabled a new level of railway customer services with more efficient railway operation. Since the LTE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offers many benefits and better performance for new railway services, it is considered to be a strong candidate for the future railway mobile telecommunication. However, communication networks in the railway sector are critical for secure operation and have stringent requirements for reliability and safety. In this paper, we explain the requirements for the future railway mobile telecommunication. The LTE, which would be the future railway mobile technology, is analyzed against these requirements. We also introduce the current state of standardization for the future railway mobile telecommunication and its implementation plan.

디지털홈을 위한 댁내 멀티미디어 분배 표준화 및 기술 동향

  • 조충래;전용일;한상우;이현룡;이동욱;김종원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1 no.8
    • /
    • pp.144-158
    • /
    • 2004
  • 각 가정으로의 초고속 인터넷이 보편화됨에 따라, 웹 기반의 단순 정보 서비스 및 저해상도 동영상 서비스를 벗어나 지능형 홈 네트워크 및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유무선 및 방송$.$통신 융합형 정보통신 환경에서 광대역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고품질로 이용할 수 있는 차세대 통합 네트워크인 광대역통합망(BcN: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이 2010년까지 2천만 가입자에게 제공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홈네트워킹은 다양한 홈네트워크와 초고속 액세스망을 연결할 것으로 판단된다.(중략)

Wireless Access Network Architecture and Virtualization Scenarios for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차세대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무선 액세스 망 구조 및 가상화 시나리오)

  • Kim, Myunghwan;Kim, Su Min;Jung, Bang Chul;Park, Yeoun-Si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6 no.10
    • /
    • pp.2150-2162
    • /
    • 2012
  • In accordance with evolution of next-generation mobile Internet, 2G, 3G, 4G, and B4G mobile communication wireless access networks will be co-existed and service providers will be merged as an integrated service provider. In addition, multiple virtual service operators will appear. In order to provide complicated unified-services, in the future Internet, wireless network virtualization where network resource is shared by various service operators is necessary. Therefore,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network architectures and virtualization scenarios for wireless access network virtualization where various wireless access technologies are flexibly operated by multiple service providers over next-generation wireless access networks. We expect that the virtualization scenario and network architecture yielded from this study can play a role as a basis for development of wireless access network virtualization algorithm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NAB for A-­MiDAS (A­-MiDAS 시스템의 MNAB 설계 및 구현)

  • Kim, Kyu-Hyung;Ryu, Jae-Hong;Ryu,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c
    • /
    • pp.325-327
    • /
    • 2003
  • 망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 관리 및 기존의 망을 흡수 통합하기 위해서 차세대통합네트워크(NGcN), ALL­IP 망으로 망 진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동기식 CDMA2000 과 비동기식 WCDMA의 이동 통신망도 통합 및 연동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망 개방화에 대한 분위기도 고조되는 상황에서 CDMA2000, WCDMA등과 같은 서로 다른 무선 액세스 망에서 동일한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움직임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망 진화에 따른 망통합 및 연동과 망 개방에 따른 COMA200 과 WCDMA 의 서로 다른 무선인터넷 액세스를 동시에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인 A­MiDAS(Advanced Mobile internet Data Access System)에 대해서 소개하고, A­MiDAS 내의 CDMA2000 과 WCDMA 를 수용하기 위해서 설계 및 개발된 MNAB(Mobile Network Access Board)에 대해서 기술한다.

  • PDF

차세대 이동통신 안전 체제에 관한 고찰

  • 전학성;김동규
    • Review of KIISC
    • /
    • v.7 no.1
    • /
    • pp.73-88
    • /
    • 1997
  •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인 FPLMTS(Future Public Land Mobile System)는 2,000년대에 전세계의 통신을 하나로 묶는 유무선 통합 이동통신 환경으로 자리 매김이 이루어질 것이다. 따라서 FPLMTS는 공중 전화망이나 종합 정보 통신망 과 같은 고정 통신망과의 호환성과 높은 품질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FPLMTS가 지니는 융통성과 가능성에 비해 통신 안전에 중요한 문제점을 지니게 된다. 본 고에서는 FPLMTS의 안전에 대하여 국제 표준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FPLMTS가 지녀야 할 안전 체제에 대하여 살펴본다.

  • PDF

MMT, UHDTV 서비스 제공에 최적화된 실시간/저지연 전송 프로토콜

  • Yang, Hyeon-Gu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3 no.7
    • /
    • pp.18-24
    • /
    • 2016
  • 본고에서는 MPEG에서 설계하여 ISO 표준화한 실시간/저지연 미디어 전송 기술인 MMT (MPEG Media Transport) 에 대해 알아본다. MMT는 인터넷 환경과 통합된 차세대 방송 시스템에의 적용을 목표로 설계된 기술로, IP 기반 전송 프로토콜의 사용과 HTML5 기반 서비스 제공을 가정하여 MPEG2-TS의 장점을 계승하면서 이종망 및 다기기 서비스의 지원을 고려하여 설계 되었다. 따라서 MMT는 고품질의 UHD TV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함과 동시에 인터넷 활용 부가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차세대 지상파 방송에 있어 최적화된 표준 기술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