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차세대 통합망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3초

LTE/WLAN 이종망 환경에서 범용링크계층과 통합무선자 원관리 기법이 적용된 VHO 방안 연구 (Vertical Handover between LTE and Wireless LAN Systems based on Common Radio Resource Management (CRRM) and Generic Link Layer (GLL))

  • 김태섭;오룡;이상중;윤석호;류승완;조충호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35-48
    • /
    • 2010
  •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3세대 진화망인 LTE(long-Term Evolution), WiMAX/WiBro, 차세대 WLAN등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이 All-IP 기반의 핵심망을 중심으로 통합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발전에 따라 중첩된 다양한 무선 이종망 환경에서 최적의 조건을 제공하는 망으로의 접속을 제공하거나 단말의 이동에 따라 중첩된 여러 접속망들 중 최적의 조건을 제공하는 망으로 접속하는 수직적 핸드오버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각각의 네트워크가 독자적 서비스 제공을 위해 독립적인 무선자원관리 기능을 제공하여 왔으므로, 이종망 환경에서의 다양한 네트워크를 끊김없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개별 네트워크의 무선자원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최근 이러한 무선 이종망 환경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적응적 이동성을 위한 범용링크계층(GLL)과 통합무선자원관리(CRRM) 방식의 개념이 도입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LTE와WLAN 사이에서의 수직적 핸드오버 지원을 위한 핵심 기술 및 통합망의 구조, 그리고 효율적인 수직적 핸드오버 방안을 제시한다. 우선 수직적 핸드오버 제공을 위한 통합망의 구조와 통합무선자원관리 기능을 정의하고, 효율적인 수직적 핸드오버를 위한 범용링크계층을 기반으로 정책기반과 다기준 의사결정법(MCDM)을 혼합한 수직적 핸드오버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시뮬레이션 연구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수직적 핸드오버 기법은 수신신호의 세기를 기반으로하는 방법과 다기준 의사결정법 방법에 비해 데이터 처리량, 핸드오버 성공확률, 서비스 사용비용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차세대 개방형 네트워크 QoS 미들웨어 기술

  • 정의헌;홍정표;김형민;김화성
    • 전자공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78-87
    • /
    • 2004
  • 우리나라의 통신서비스는 유선전화서비스를 시작으로 최근에는 데이터 서비스, 이동 통신서비스 등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서비스 시장은 포화 상태에 이르고 있어 통신사업자들은 신규 시장을 확보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신규 시장 확보는 새로운 지능형 서비스의 개발을 통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기존의 수직적인 통신망구조에서 서비스의 개발은 쉽지 않다. 최근 하부 전달 망의 특성에 독립적인 Open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망의 기능을 개방하고, 제3자 서비스 개발자들과의 제휴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유무선통합 지능형 서비스 개발을 유도하여 신규 서비스 창출이 가능한 차세대 네트워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중략)

  • PDF

SIP 기반 이동성 제어 기술

  • 전세일;김영한
    • 정보와 통신
    • /
    • 제26권2호
    • /
    • pp.38-43
    • /
    • 2009
  • SIP는 세션 제어 프로토콜로 IP 기반의 음성,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제어뿐만 아니라 차세대 네트워크에서 통합 어플리케이션 세션 제어를 위한 핵심 프로토콜이다. 이를 이용한 SIP 이동성 제어 기술은 Mobile IP 기반 네트워크 레벨의 프로토콜과 함께 차세대 이동성 제어를 위한 기술로 주목된다. 본 고에서는 All-IP 환경에서 SIP프로토콜을 이용한 이동성 제어 기술을 알아보고, 이종 액세스 망 환경에서 망의 특징 및 요구사항에 따른 SIP 이동성 제어 기법을 소개한다.

VoDSL 서비스를 위한 효율적인 동적 대역폭 할당 알고리즘 (An Efficient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Algorithm for VoDSL Services)

  • 김훈;박종대;남상식;박광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7권1C호
    • /
    • pp.48-58
    • /
    • 2002
  • 인터넷 트래픽이 증가하면서 이들을 기존 음성망에 효율적으로 수용해야 하는 문제는 기존 통신사업자들에게는 중요한 현안문제이다. 차세대 교환망의 모습은 인터넷 서비스 등의 데이터 트래픽을 기존 음성망과 연계하는 통합망의 형태로 이루어질 것이며, 망의 구성 시기나 사업의 성격에 따라 너무나 다양한 모습들로 제시될 수 있다. 기존 회선기반 통신망을 패킷기반 통신망으로 진화하는 전략은 그 적용 위치에 따라서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먼저 액세스망을 먼저 패킷화하는 기술로서 VoDSL을 적용하는 방법과 중계망을 먼저 패킷화한 후 액세스망으로 패킷화를 확대하는 SoftSwitch 기술 적용 방법이 있다. 본 논문은 음성 서비스와 DSL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현재의 통신망 환경에서 음성 서비스를 액세스망에서 패킷화하는 기술인 VoDSL을 적용하여 패킷기반의 차세대 통신망 구축에 바람직한 기술을 도출하고, 또한 현재를 기준으로 기존 음성통신사업자의 관점에서 차세대 교환망을 실현하고자 할 때, 현실적인 해결책들을 위주로 필요한 핵심 기술인 VoDSL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연구를 수행한다.

기존 교환망을 활용한 차세대 통신망 진화 전략 (Evolution Strategy for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using Traditional PSTN)

  • 김정윤;박영식;이규욱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하)
    • /
    • pp.623-626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별도 장비에 의하여 음성 서비스와 ADSL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각각 제공하는 현재의 통신망 환경에서 음성 서비스와 ADSL 서비스를 한 시스템에서 모두 제공하는 통합 액세스 장비를 이용한 액세스 망의 패킷화 방법과, VoATM/IP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중계망을 패킷화 방법, 그리고 통합 액세스 장비, VoATM/IP Gateway 그리고 SoftSwitch를 결합하여 통신망 전체를 패킷화 하는 차세대 통신망 진화 전략을 비교한다. 또한 경제성을 최대로 활용한 통신망 진화 전략과 패킷화 도입에 따른 고려사항을 방법을 도출하고자 한다.

  • PDF

IMS 기반의 서비스 제어 기술 동향 (The Trend of Technology on IMS-Based Service Control)

  • 김화숙;이현진;조기성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1권6호통권102호
    • /
    • pp.95-103
    • /
    • 2006
  • IMS는 현재 All IP 기반의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핵심기술로 자리잡고 있다. 본 고에서는 3GPP에서 이동통신망의 제어를 위해 개발되고, TISPAN의 NGN에 의해 유선망에 적용될 수 있도록 수정 보완 되었으며, ITU-TNGN 구조에도 반영되는 등 IP 기반의 유무선 통합망에서의 표준 플랫폼이 된 IMS의 기술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유무선 통합뿐 아니라 방송 통신 융합을 도모하는 BcN에서의 서비스 제어 구조 연구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유무선통합망에서의 통합 가입자 관리 기술

  • 김동완;방정희;전윤철
    • 정보와 통신
    • /
    • 제23권10호
    • /
    • pp.63-75
    • /
    • 2006
  • 통신 서비스 제공기반이 All-IP 멀티서비스 네트워크로 변화함에 따라 서비스 중심적 인프라 구축을 위한 가입자 프로파일의 관리 문제가 주요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휴대형 단말의 기능 확대와 이동 애플리케이션의 증가에 따라 네트워크에서 요구되는 제어와 관리 도메인의 역할이 점차 강조되고, 유무선 통합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간의 다양한 형태의 연동과 결합을 위한 백엔드 인프라의 통합이 논의 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차세대 유무선통합망의 구조 및 서비스 특성을 조망하고, 유무선통합망에서의 통합 ID와 개인화 서비스, 셀프 프로비저닝, Context-Aware 서비스 등의 지원을 위한 네트워크 인텔리전스 역할을 위한 핵심요소로 인식되고 있는 통합 가입자 프로파일에 대한 정의와 구조, 구축 전략 미 KT의 통합프로파일 구축 현황 등을 기술한다.

공존관계 다세대 Bass 확산 모형을 이용한 NGN 서비스 시장 수요 예측 (Forecasting Demands for NGN services Using Coexistiency Multi-generation Bass Diffusion Model)

  • 이병철;김재범;김윤배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2004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532-535
    • /
    • 2004
  • 현재 국내 초고속 인터넷 인프라는 세계 최고 수준으로 xDSL 계열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과 HFC(Hybrid Fiber Coxial) 망을 활용한 케이블 모뎀이 시장을 거의 차지하고 치열한 경쟁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서비스 가입자 수준은 거의 포화점에 다다른 것으로 보이며 앞으로 속도를 비롯한 품질 면에서 진보된 차세대 인터넷 접속 서비스 구축을 계획하고 있다. NGN은 유무선 통합을 통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을 목표로 정부나 기업에서 추진 중은 차세대 통합 정보통신 인프라이다. 이 NGN을 실현시킬 수 있는 가입자 망 기술로서는 FTTH가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수요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통하여 NGN 서비스 특성을 반영하는 적절한 예측 모형을 제시하였다. FTTH 가입자 수요를 예측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Bass 모형의 변형인 변형된 공존 Bass 모형을 이용하였다.

  • PDF

NGN환경에서 텔레매틱스 적용 시나리오 (Telematics Service Scenarios over NGN)

  • 인민교;이승윤;최영환;김상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5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1058-1060
    • /
    • 2005
  • 현재 통신 서비스 및 인터넷 서비스들은 각기 독립적인 형태의 서비스를 재공하고 있으며, 고유의 서비스 체계를 유지하면서 발전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서비스들은 향후 통합 및 융합과정을 거처 차세대 네트워크 망 즉, NGN(next generation network)에 통합되어 나가게 될 것이며 기존의서비스에 다양한 서비스를 부가하여 새로운 서비스가 창출 될 것이다. 된 논문은 이러한 추세를 고려하여, NGN에서 요구되는 언제 어디서나 사용자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인 텔레매틱스에 대한 NGN 서비스 시나리오를 보일 깃이다. 텔레매틱스는 정보기술과 자동차기술의 융합으로 이루어진 서비스로 위치측정시스템과 무선통신량을 이용하여 교통정보, 응급구조 구난, 인터넷 이공 및 전화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을 수 있는 시스템으로 차세대 네트워크 서비스로 각광 받고 있다. 그리나 아직까지 NGN에서의 활용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으로 본 논문에서는 텔레매틱스에 대한 NGN 망 및 기존의망과의 접속 시나리오와 서비스 시나리오에 대할 방법을 제안 한다.

  • PDF

공중 무선랜 망에서 이동성을 고려한 통합 인증 모델 연구 (A Study of Integrated Authentication Model considering Mobility in Public Wireless LAN Network)

  • 김진택;김관연;박세현
    • 한국정보보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보호학회 2003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625-633
    • /
    • 2003
  • 무선랜은 현재 무선 네트워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며, 앞으로의 차세대 무선 통합네트워크에서 또한 그 비중이 매우 높아 질 것이다 특히 핫스팟과 같은 공중망서비스의 확산으로 무선 인터넷 등의 차세대 정보 컨텐츠 산업의 중요한 매체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부합하여 무선랜 서비스에 있어 사용자의 프라이버시(Privacy) 및 접근제어(Access Control), 인증(Authentication), 과금(Accounting), 빌링(Billing) 등의 다양한 보안 문제가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는 공중 무선랜에서의 이동성이 고려된 인증 모델을 여러 국제 표준에 맞추어 제안하고, 그에 대한 검증 결과를 함께 제시한다. 제안된 모델은 상호 연동성 및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해 Diameter를 기반 기술로 사용하였다.

  • PDF